CPU
중앙처리장치
image

[양자 톺아보기] 11. IBM의 ‘현재진행형’ 양자 컴퓨터 개발사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발달로 처리할 데이터양은 늘어 가는데 집적회로의 한계는 가까워지고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 게이트 대신 양자역학의 원리를 연산법칙으로 사용하는 양자 컴퓨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대체 양자가 뭔지, 또 그걸로 어떻게 하여 대안이..

2018.12.19by 이수민 기자

image

쿤텍, 임페라스의 RISC-V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riscvOVPsim 무상 배포한다

RISC-V, 오픈소스 적용 공개 CPU 아키텍처 riscvOVPsim, RISC-V CPU 코어 설계 검증 개인적, 학술적,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쿤텍 쿤텍은 11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인 ‘임페라스(Imperas)&rsqu..

2018.12.12by 이수민 기자

image

[양자 톺아보기] 10. D-웨이브, 상용 양자 컴퓨터의 문을 열다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발달로 처리할 데이터양은 늘어 가는데 집적회로의 한계는 가까워지고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 게이트 대신 양자역학의 원리를 연산법칙으로 사용하는 양자 컴퓨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대체 양자가 뭔지, 또 그걸로 어떻게 하여 대안이..

2018.12.04by 이수민 기자

image

[양자 톺아보기] 9. 양자역학의 부정, 양자 컴퓨터를 키우다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발달로 처리할 데이터양은 늘어가는데 집적회로의 한계는 가까워지고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 게이트 대신 양자역학의 원리를 연산법칙으로 사용하는 양자 컴퓨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대체 양자가 뭔지, 또 그걸로 어떻게 하여 대안이라..

2018.11.20by 이수민 기자

image

삼성전자, NPU로 AI 성능 7배 높인 엑시노스9(9820) 공개

NPU 내장해 자체적으로 AI 작업 가능 자체 개발한 4세대 CPU 코어 적용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 65% 개선 삼성전자가 14일, 향상된 CPU 성능과 통신 속도를 기반으로 AI 연산 속도를 약 7배나 향상시킨 프리미엄 모바일 AP '엑시노스 9(98..

2018.11.14by 이수민 기자

image

대한민국 전자산업 현재와 미래 한눈에, 2018 한국전자산업대전 개최

4일 동안 IT 코리아 현재와 미래 한눈에 전자, 비즈니스, 반도체, 디스플레이 행사 데이터 경제 사례 탐구 콘퍼런스 동시 개최 한국전자전, 스마트비즈엑스포, 반도체대전, 디스플레이산업전이 함께 개최된다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알 수 있는 2..

2018.10.25by 이수민 기자

image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2019년 ICT 트렌드 10가지

가트너, 2019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 발표 트렌드와 트렌드의 융합, 새로운 혁신 유도 도입 단계 넘어선 기술들, 5년 내에 절정 가트너가 2019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했다 가트너가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2019년 주요 전략 기술 트렌드..

2018.10.23by 이수민 기자

image

[양자 톺아보기] 8. 한계를 뛰어넘을 준비, 양자 컴퓨터의 개발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발달로 처리할 데이터양은 늘어가는데 집적회로의 한계는 가까워지고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 게이트 대신 양자역학의 원리를 연산법칙으로 사용하는 양자 컴퓨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대체 양자가 뭔지, 또 그걸로 어떻게 하여 대안이라..

2018.10.17by 이수민 기자

image

[양자 톺아보기] 7. 반도체, 현대 문명의 기반이 되다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발달로 처리할 데이터양은 늘어가는데 집적회로의 한계는 가까워지고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 게이트 대신 양자를 연산법칙으로 사용하는 양자 컴퓨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대체 양자가 뭔지, 또 그걸로 어떻게 하기에 대안이라는 걸까?..

2018.10.02by 이수민 기자

image

[양자 돌아보기] 모르는 것보다 배우지 않는 것이 더 부끄럽다

[양자 톺아보기] 1~6회 간략 정리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 사물인터넷 등의 발달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은 날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집적회로의 한계 역시 날마다 다가오고 있다. 아무리 미세공정을 도입해도 집적회로의 원리상 한계를 피..

2018.09.20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