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로저 다센 ASML CFO (사진제공 - ASML) 전기대비 하락, 매출 성장은 긍정 전망 차세대 EUV장비 ‘하이 NA’ 다수 수주 베닝크 CEO "수요가 생산능력을 상회“ ..
2022.04.21by 권신혁 기자
장기연평균성장률 9.4%에 근접, 지난해 이은 큰 폭의 성장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전세계 반도체 출하량에서 올해 9.2% 증가를 예상했으며, 향후 5년간 7~8%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 예측했다. ▲전세계 IC..
2022.04.14by 권신혁 기자
▲ 월별 ICT 수출액(단위: 1억달러, 그림 출처: 과기정통부) 전년동월比 23.7% 증가, 무역수지 74.9억불 흑자 2022년 2월 ICT 수출액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11개월 연속 두 자릿수의 수..
2022.03.14by 성유창 기자
▲삼성전자 LPDDR5X D램 고성능 저전력 특성 모바일 성능 획기적 향상 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 업계 최초로 개발한 14나노 기반 LPDDR5X D램을 퀄컴 최신 모바일 플랫폼에서 성능 검증을 마치고 차세대 저전..
2022.03.03by 배종인 기자
▲2021년 4분기 D램 브랜드별 매출 순위(단위 : 백만달러, 자료 : 트렌드포스) 삼성전자 9.4% ↓·SK하이닉스 2.8% ↑ 2021년 4분기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스마트폰, 서버, PC와 같은..
2022.02.21by 성유창 기자
▲(왼쪽부터) 삼성전자 함돈희 펠로우, 정승철 전문연구원, 김상준 마스터 차세대 저전력 AI 칩 유력 기술로 주목 향후 뉴로모픽 기술·연구·개발 도움 기대 삼성전자가 기존 자기저항메모리(이하 MRAM)의 한계를 뛰..
2022.01.13by 성유창 기자
10나노 4세대 기술 적용, 48GB·96GB 모듈 출시 SK하이닉스가 10나노 4세대 기술을 적용한 단일 칩 기준 업계 최대 용량을 구현한 D램을 선보이며, 차세대 D램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했다. SK하이닉스가 D램 단일 칩으로는 업계..
2021.12.15by 배종인 기자
차세대 5G 서비스 최적화, 속도 기존比 1.3배 ↑ 지속적 성능·전력효율 개선 AI·서버 등 분야 확대 삼성전자가 업계최초로 LPDDR5X를 개발해 모바일 D램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다졌다. 삼성전자는 &lsqu..
2021.11.09by 배종인 기자
▲삼성전자 업계 최선단 14나노 DDR5 D램 가장 높은 웨이퍼 집적도 달성, 생산성 20% ↑ DDR4比 속도 2배, 이전比 소비전력 20% 개선 삼성전자가 EUV(극자외선, Extreme Ultra-Violet)..
2021.10.12by 배종인 기자
e4ds 뉴스 중화권 ICT 소식 정리 2021년 9월 15일 수요일 [차이나 브리핑] 반도체 분야 长江存储64层3D NAND出货超3亿颗, 128层QLC即将量产! 中 YMTC, 64단 3D NAND 출하, 곧 128단 QLC 양산 台美半..
2021.09.15by 이춘영 외신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