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Memory
image

"옵테인 기술로 메모리 계층 구조 한계 극복한다" 인텔, 한국에서 처음으로 메모리 기술 행사 개최

| 인텔, 메모리 & 스토리지 데이 2019 개최 | 차세대 제온 프로세서, 옵테인 메모리, | 144단 QLC 낸드 제품 등 선공개 인류는 물론 인류가 만든 기계에서도 데이터가 쏟아지고 있다.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원이라고까지 일컬어진다..

2019.09.27by 이수민 기자

image

2020년 팹 건설 투자규모, 500억 달러에 이른다

| '19말까지 15개, '20말까지 18개 팹 신규 건설 | '19 건설 팹, '20 중반부터 월 74만 웨이퍼 생산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16일 공개한 전 세계 팹(Fab)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새롭..

2019.09.16by 이수민 기자

image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차세대 메모리 3종 'M램, Re램, PC램' 양산 솔루션 출시

| 고속 메모리, 컴퓨팅 리소스 근접 장착 ‘추세’ | 스토리지-컴퓨트 사이 짧을수록 병목현상↓ | M램, Re램, PC램 대량 생산 시스템 출시   AI 시대에는 메모리 기술의 혁신이 필요하다. 혁신의 핵심은 고속 메모리..

2019.09.09by 이수민 기자

image

바이두, '인텔 옵테인 DC 퍼시스턴트 메모리'에 기반을 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 바이두, 인텔 옵테인 기반 메모리 플랫폼 구축 | 인텔 옵테인 DC 퍼시스턴트 메모리와 DRAM | 모두 탑재되는 하이브리드 메모리 구성 설계로 | 고객 맞춤 콘텐츠 제공하는 '피드 스트림' 개선 바이두의 인터넷 서비스에 인텔의 메모리 역량..

2019.09.09by 이수민 기자

image

​자일링스, 시스템 로직 셀 900만개 탑재한 FPGA 발표

| 900만 시스템 로직, 350억 트랜지스터 갖춰 | 초당 최대 1.5Tbit DDR4 메모리 대역폭 | 버텍스 울트라스케일 440보다 1.6배 더 커   현존하는 FPGA 중 가장 큰 FPGA가 출시된다. ▲자일링스, 버텍스 울트라스케일+ VU..

2019.08.22by 이수민 기자

image

D램 속도 혁신의 선봉, HBM2E 출시 "HBM2보다 50% 빨라"

| 기존 HBM2 대비 처리 속도 50% 높여 | 1,024개 I/O로 초당 460GByte 데이터 처리 | 16Gb 칩 8개 TSV로 수직 연결해 16GB 구현 DDR4보다 빠른 HBM2보다 빠른 D램이 출시된다. 영화 124편 분량 1초만에 처리하는 ..

2019.08.19by 이수민 기자

image

마이크로칩, '멤브레인 뉴로모픽 메모리 솔루션'으로 임베디드 AI 프로세싱 아키텍처 구축 지원

| AI 프로세싱, 클라우드에서 에지로 이동해 | 슈퍼플래시 기술 기반 신경망 VMM 최적화 | 멤브레인 솔루션, 시스템 지연 시간 개선 AI 프로세싱이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 에지로 이동함에 따라,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하는 고성능 임베디드 디바이스는 컴퓨터 비..

2019.08.19by 최인영 기자

image

삼성전자, 차세대 서버용 SSD 및 D램 모듈 양산

| AMD 2세대 EPYC 프로세서와 함께 탑재 예정 | 서버 SSD PM1733에 PCIe 4.0 인터페이스 적용 | 5세대 V낸드 기반 NVMe U.2, HHHL 양산 | 최대 256GB 용량의 DIMM도 양산 삼성전자가 AMD와 손잡고 차세대 서버용 시..

2019.08.10by 이수민 기자

image

삼성전자, '12Gb LPDDR5 양산 시작' 차세대 5G 스마트폰, 44GB 데이터 1초 만에 처리 가능해져

| 6GB에 이어 7월, 12GB 패키지 라인업 확대 | 기존 제품 대비 속도 약 1.3배 향상 | 소비전력 최대 30% 감소 삼성전자가 12Gb LPDDR5 양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삼성전자 12Gb LPDDR5 모바일 D램 삼성전자는 18일..

2019.07.22by 이수민 기자

image

SK하이닉스, 128단 4D 낸드 양산… 1테라비트 TLC 낸드 세계최초 상용화

| TLC 낸드 최고 용량인 1Tb 제품 양산 | 생산성 40%, 투자효율 60% 향상 | 기업용 SSD 시장 먼저 공략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128단 1Tbit(테라비트) TLC(Triple Level Cell) 4D 낸드플래시를 개발하고 양산에 나선다..

2019.06.26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