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Material
image

UNIST, 유연 반도체 재료 '익센' 합성에 최초로 성공

익센, 존재 밝혀진 지 79년 만에 실제로 합성 유연성 높고 가공 쉬워 유연 소자 소재로 적합 79년 전에 존재가 밝혀진 유기 반도체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합성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박영석, 이근식, 신형준 교수 공동연구팀은 2..

2020.08.26by 이수민 기자

image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래핀으로 만들어진다

그래핀, 유연하고 잘 늘어나 웨어러블에 적합 인체 휴대/착용/부착/이식/내장하는 연구 진행 코로나19로 웨어러블 수요 늘며 연구 활성화 그래핀(graphene)은 2차원 평면상에서 6각형의 벌집 형태로 결합한 탄소 원자 1층으로 구성된 소재다. ▲ 그..

2020.08.13by 이수민 기자

image

자화 형태 재설계 가능한 자성 스마트 소재 개발됐다

UNIST 김지윤 교수팀, 서울대 권민상 교수팀과 자화 형태 재설계 가능한 자성 스마트 소재 개발 의공학, 유연 소자, 소프트 로봇 등에 응용 전망 자기장에 반응해 스스로 움직이는 자성 스마트 소재의 모양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 수 있게 됐다. ▲ 자화..

2020.08.03by 이수민 기자

image

전자파 차폐 성능 극대화한 세라믹 나노소재 개발돼

금속, 전자파 반사 특성에 차폐 소재로 부적절 개발된 Ti3CN 맥신 소재, Ti3C2보다 전도성 낮아 머리카락 두께로 116dB 전자파 차폐 가능해 기존 차폐 소재의 한계를 극복한 맥신 소재 기술이 개발됐다. 맥신은 금속에 비해 가볍고, 저비용이며, 유연..

2020.07.24by 이수민 기자

image

서울공대, 산화텅스텐 나노 박막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서울대·군산대 공동 연구팀, 산화텅스텐 나노 박막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색 유지하기 위한 전압 필요하지 않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16일, 이병호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정택동 화학부 교수, 선호정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

2020.07.16by 이수민 기자

image

반도체 소자 내 배선 간격, 지금보다 더 줄일 수 있어

반도체 내부 전기 간섭 최소화하는 소재 개발로 집적도 향상 가능해져 반도체 칩 안의 소자를 더 작게 만들 수 있는 소재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신현석 교수팀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의 신현진 전문연구원팀, 기초과학연구원..

2020.06.25by 이수민 기자

image

KETI, 섬유와 일체화된 전극 구조체 개발로 "플렉서블 배터리 상용화 난제 극복"

KETI, 전극 물질과 섬유 소재 일체화한 새로운 Sn@Ni 섬유 전극 구조체 개발 플렉서블 배터리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 IoT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성장하면서 기계적 변형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구현하는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한 요구가..

2020.06.08by 이수민 기자

image

"전자기기 폼 팩터 더욱 다양해진다" IBS, 대면적 단결정 금속 박막 합성 성공

IBS, A4 용지보다 큰 단결정 금속 기판 제작 고성능 2차원 소재 합성 소재 다양화 성공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펑딩 그룹리더(UNIST 특훈교수) 연구팀이 중국, 스위스 연구진과 함께 그래핀과 같은 고성능 2차원 소재 합성을 위한..

2020.05.28by 이수민 기자

image

신규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 위해 과기부-충북도-청주시 MOU 체결

과기부-충북도-청주시 MOU 체결 가속기 이용자 협의회 육성과 지원 부지 내 관련 연구․산업 기반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충청북도와 청주시는 21일,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과기부-충북도-청주시,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 M..

2020.05.22by 이수민 기자

image

소재기술 국산화 닻 올렸다 '9개 산학연 연구단' 가동

100대 품목 연계, 소재·공정·시스템 묶음 개발 11개 공공연, 35개 대학, 40개 기업이 참여 사업 기간 내에 연구단별 대형 기술 이전키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분야 핵심소재 공급 안정화에 필수적인 독자기술..

2020.05.18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