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소재
Material
image

18개 정부출연연, 미취업 석박사 연수취업 지원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 사업 석‧박사 연수생 290명 모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8일부터 2020년도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석‧박사)사업’에 참여할 석‧박사 연수생 29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과기부, 이공..

2020.02.18by 이수민 기자

image

​힌지 부위 화면 주름 덜 잡히는 폴더블폰 등장 임박

생기원, 플렉시블 하드코팅 신소재 기반  커버윈도우 제조기술 독자 개발 성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7일,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하드코팅 신소재를 독자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복합구조 형태의 커버윈도우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

2020.02.07by 이수민 기자

image

韓獨, 스마트 제조-소재·부품·장비-스타트업 분야에서 중소기업협력 강화한다

중기부, 한-독 기업협력 업무협약 체결식 열어 스마트 제조, 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분야서 한-독 중소기업·스타트업 간 협력기반 마련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16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 창업진흥원(창진..

2020.01.17by 이수민 기자

image

소부장 국산화 위한 대중소기업 상생모델 4건 선정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서 상생 모델 심의 수입대체 위한 소부장 기술 국산화 추진 국산화 상생 모델 4건 정부 지원 건의 국내 중소기업과 대기업들이 수입의존도가 높은 고강도 산업 자재용 첨가제 등의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하면서 주요 기술 국산화..

2020.01.15by 이수민 기자

image

日 3대 수출규제 품목 '고순도 불화수소' 국산화 성공

솔브레인, 12 Nine 불화수소 대량생산력 확보 12 Nine, 불순물이 1조분의 1 남아있는 상태 정부, 올해 소부장 분야에 2.1조 원 투자하기로 일본 수출규제 3대 품목 중 하나인 고순도 불화수소의 완전 자립화가 머지않았다. ▲솔브레인 솔..

2020.01.03by 이수민 기자

image

​소부장 기술력 집결할 국가연구인프라 지정식 열려

N-LAB, N-Facility, N-TEAM 지정, 소부장 R&D 투자전략 및 대책 후속 조치 국가연구협의체, 2차 지정부터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경남 창원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에서 국가연구실 및 국가연구시설을 지정하는 국가연..

2019.12.12by 이수민 기자

image

JEC ASIA 2019 국제 복합소재 전시회 개막

13일부터 15일까지 JEC ASIA 2019 개최 49개국 200개 이상 출품업체 참가 내년부터 JEC Korea로 이름 바꿔 열려 JEC 그룹이 주최하는 제12회 국제 복합소재 전시회 ‘JEC ASIA 2019’가 13일부터 15일..

2019.11.13by 이수민 기자

image

생기원,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시블 투명전극 제작 성공

PEDOT:PSS에 1,064nm 레이저 조사 日의존 70% 상당 ITO 소재 대체 가능 스마트폰 터치패널 같은 각종 IT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는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투명전극이 들어간다. 박막 형태의 이 투명전극 소재로는..

2019.10.21by 이수민 기자

image

​한국-호주, 無 배터리 IoT 고감도 센서 만든다

| 4차 공동위에서 과학기술정책 공유 합의 | 수소 충전소 실증연구, 희토류 제련 및 | 바이오 융합, IoT 등에서 협력 기반 마련     한국과 호주가 수소경제, 희토류 제련, 배터리 필요 없는 IoT 센서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

2019.09.30by 이수민 기자

image

멍게껍질로 만든 웨어러블 센서, 유해가스 감지한다

| KIST, 후처리 공정 및 촉매 없이 | 유해가스 감지 센싱 기능 섬유 개발 | 차세대 웨어러블 센서에 활용 기대 웨어러블 센서는 착용함으로써 상태와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여러 소재와 결합하여 그 모양과 기능을 달리할 수 있다. 섬..

2019.09.24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