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소재
Material
image

한국, 국제표준화기구 총회에서 이사국으로 선임돼

| 1993년 이사국 첫 진출 이후 7번째 선임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지난 9월 16일부터 20일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제42차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한국이 이사국으로 선임됐다고 21일 밝혔다. ..

2019.09.23by 이수민 기자

image

과기부, 비수도권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4개소 선정

| 권역별 혁신 성장분야 특화 4개 센터로 | 창원대, 영남대, 전북대, 순천향대 선정 | 7년간 기초연구 지원금으로 연 15억 지급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일,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기초연구 역량을 결집하고 우수 지역인재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lsquo..

2019.09.20by 이수민 기자

image

소재부품장비 원천 R&D 투자액, 내년부터 2배 UP

| 소재부품장비 R&D 투자액 2배 확대 | R&D 투자효율 높이기 위해 수행방식 혁신 | 개방, 공유, 협력의 연구개발 인프라 확충 일본의 수출규제 등 글로벌 소재전략무기화에 대응하여 중장기적 관점의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R&D 예산이 ..

2019.09.11by 이수민 기자

image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차세대 메모리 3종 'M램, Re램, PC램' 양산 솔루션 출시

| 고속 메모리, 컴퓨팅 리소스 근접 장착 ‘추세’ | 스토리지-컴퓨트 사이 짧을수록 병목현상↓ | M램, Re램, PC램 대량 생산 시스템 출시   AI 시대에는 메모리 기술의 혁신이 필요하다. 혁신의 핵심은 고속 메모리..

2019.09.09by 이수민 기자

image

정부, 소재부품장비 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수립하고 5조원 투입

| 정부, 핵심 원천기술 자립역량 강화를 위한 | 소재·부품·장비 R&D 투자전략 및 대책 수립 | 내년부터 2022년까지 5조원 이상 집중 투자 일본의 수출규제를 전화위복으로 삼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

2019.08.28by 이수민 기자

image

과기부, 소재부품장비 분야 미취업 R&D 인력 연수 추진

| 석·박사 80명 대상 12개 연구기관 연수 추진 |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산업계 R&D 수행 후 | 우수 기업으로 취업 지원, 연수수당도 지급 과기정통부가 미취업 석·박사의 취업을 도우면서 소재부품장비 R&D 역량을 강화..

2019.08.28by 이수민 기자

image

​한국분석과학회, 소재·부품 분석기술자문단 출범

| 한국분석과학회와 한국연구장비협회 공동 출범 | 분석 상 애로사항을 분석기술자문단에 의뢰하면 | 해당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TF가 해결책 제공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초고순도 불산은 머리카락 1/100,000 두께의 박막을 불순물 없이 깎아 내는..

2019.08.11by 이수민 기자

image

일본 저격한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발표 "대외의존형 산업구조 탈피한다"

| 100대 품목 조기 공급안정성 확보 |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모델 구축 | 경쟁력 위원회 설치, 특별법 전면 개편 소재부품장비산업은 제조업의 허리다.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 역시 소재, 부품, 장비에 좌우된다. 지난 2001년, 소재부품특별법 제정 이후 ..

2019.08.05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전자파 차폐력 뛰어난 그래핀 복합소재 개발 성공

| 99.9999994% 전자파 차폐율 기록 | 그래핀에 티타늄 카바이드 첨가로 한계 극복 | 전자파 노출 많은 환경의 전자기기에 적합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 복합소재로 전자파 차단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ETRI, 전자파 차폐력 뛰어난 그래핀 복합소..

2019.07.26by 이수민 기자

image

​부품 재고 관리, 마우저 모바일 앱으로 가능해진다

| 각종 웹브라우저, iOS, 안드로이드 앱 지원 | 재고 보고서 생성, 재고 데이터 가져오기 가능 | 온라인 대시보드, 빠른 단계별 설정 마법사 탑재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무료 재고 관리 도구 및 iOS와 안드로이드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2019.07.12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