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소재
Material
image

[기획]급성장하는 전력반도체 시장, 경쟁력 강화 시급

530억불 전력반도체 시장, SiC·GaN 선점 必 자동차·전력기기·5G 통신망 등 수요 급증 中 전기차·전자 등 자체 수요 바탕 급성장 韓 2025년 글로벌 수준 목표 투자 본격화 [편집자주]전력반도..

2021.07.20by 배종인 기자

image

뭐든지 만드는 비야디, IDM 도약 노린다

'IPO 신청' 비야디 반도체, 시총 한화 4.8조 원 예상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성장세가 빠르다. 하지만 대부분은 설계에 집중하는 팹리스다. 실제로 반도체, 반도체 장비, 반도체 소재 개발에 나서는 중국 기업의 수는 매우 적다. IDM이라 ..

2021.07.14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고체 전해질 없는 이차전지 양극 구조 개발

ETRI, 고체 전해질 없는 이차전지 양극 개발 TiS2 활물질과 바인더로만 양극 구성 제안 DIGIST 디지털트윈 분석으로 확산 특성 규명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3일, 고체 전해질 없이 활물질로 이황화티타늄(TiS2)만을 사용해 양극을 구성하는..

2021.07.14by 이수민 기자

image

2주년 맞은 소부장 R&D 지원책 "성과는 어땠나"

과기정통부, 소부장 지원 정책 성과보고회 개최 세륨, 도금액, 수소전지 소재 개발 성과 등 공유 10대 미래 이슈별 미래 첨단소재 50개 후보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소부장 정책 본격화 2주년을 계기로 그간의 정책 지원성과 공유와 향후 지원 방향..

2021.07.13by 이수민 기자

image

세계 2위 규모 나노 전시회 '나노코리아 2021' 개막

세계 2위 나노 기술 전시회 '나노코리아' 개막 270개 기업·기관, 473개 부스 참여해 기술 강조 김상우 성대 교수, 에버켐텍 등 국무총리상 수상 국내외 나노 산업 관계자의 교류와 협력을 지원하는 ‘나노코리아 202..

2021.07.07by 이수민 기자

image

재료연, 전기 만들고 밝기 조절하는 창문 나온다

스마트필름 개발, IoT 융합 스마트시티 구축 기여 전망 국내 연구진이 햇빛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이와 함께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창호형 유기계 기능성 필름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

2021.07.07by 배종인 기자

image

나노코리아 2021, 비대면 기업 매칭 서비스 첫 제공

싱가포르 포트리모트 플랫폼 기반 아바타 서비스 바이어와 출품 기업 간 대화/계약 실시간 연결 조직위, 대면 대비 시간/비용 90% 절감 확인 나노코리아 조직위원회는 2일, 이달 7일부터 9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나노코리아 20..

2021.07.05by 이수민 기자

image

'21年上, 수출 역대 최대 "차량·가전 등 상승세 견인"

올 상반기 수출, 3,032.4억 달러로 역대 최대 자동차 및 부품, 가전, 무선 등이 상승세 견인 백신 접종에 따른 경제 회복, 델타 변이가 변수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1% 증가한 3,032.4억 달러로 나타났..

2021.07.05by 이수민 기자

image

​마이크로칩, JEDEC 인증 내방사선 패키지 FPGA 출시

마이크로칩, JEDEC 플라스틱 패키지 채택해 가격 낮춘 고신뢰 내방사선 RTG4 FPGA 공개   우주에서 사용되는 소형 위성 및 기타 시스템 개발자는 고신뢰성과 내방사선을 제공하고, 동시에 엄격한 비용과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에 마이크로칩..

2021.06.30by 이수민 기자

image

난국에 빠진 미국 반도체 공급망, 어디부터 손댈까?

미국, 반도체 기술 기업 많지만, 수요 기업 적어 기술은 있지만, 비즈니스 기회는 중국보다 낮아 대중국 기조 유지하고 동맹국 협력 강화 방향 미국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역량은 12%에 불과하다. 팬데믹에 ..

2021.06.28by 이수민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