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ADI
아나로그디바이스
image

ADI, 높은 전력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위한 컨트롤러 개발

표준 IEEE802.3bt에 따라 전력 예산 늘리고 기존 장비와 역호환성 갖춰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최대 71W의 공급 전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LT4294 IEEE 802.3bt PD(Powered Device)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2017.05.23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실시간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 POWERLINK 추가

산업용 이더넷을 빠르고 적은 지용으로 플랫폼에 추가 가능 프로토콜 및 트래픽 관리 개발 위험성 줄여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자사의 ‘확정적 이더넷 기술 그룹’ 부문(Deterministic Ethernet Technology Group, 인수 전..

2017.05.17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본질 안전 인증 받은 디지털 절연기 출시

위험 지역에서 전기 장비 설계 시 적합 적은양의 에너지로 절연 구현 가능   아나로그디바이스는 IEC 60079-11:2011 표준을 준수하며 업계 최초로 본질 안전(intrinsically safe, IS)을 인증 받은 디지털 절연기를 출시했다. &nb..

2017.05.11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65V 입력 지원하는 스텝다운 레귤레이터 출시

대기전류 소비량 적어 동작 수명 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EMI/EMC 방출 줄여 설계 간소화 시켜 아나로그디바이스는 8A, 65V 입력을 지원하는 동기식 스텝다운 스위칭 레귤레이터 신제품 LT8645S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에 적용된 사일..

2017.04.26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IoT 에지 노드에서 전력 소비 최소화하는 MCU출시

로컬 위치에서 결정으로 중요 데이터만 클라우드 전송 구현 RF 기술로 데이터 수집하는 동안 저전력 상태 유지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사물인터넷 (IoT) 에지 노드에서 시스템 전력 소비는 최소화하면서 첨단 알고리즘을 탑재하고자 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초..

2017.04.25by 김지혜 기자

image

[인터뷰]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 5G시대 고속 컨버터가 필요한 이유는

늘어나는 모바일 데이터 요구 충족하려면 무선 백홀 기지국 필요 빠른 디지털 신호 변환을 위한 ADC, DAC 중요 KT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5G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조기 상용화를 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5G 시장을 선점..

2017.04.21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넓은 입력 범위 지원하는 SEPIC 컨트롤러 출시

석유 시추 장비 같은 고온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 온저항 활용으로 효율 극대화 할 수 있어   아나로그디바이스는 넓은 입력 범위를 지원하는 전류 모드, 부스트, 플라이백 또는 SEPIC 컨트롤러 신제품 LTC1871X 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2017.04.21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고가치 자산 장기적 모니터링 하는 가속도계 출시

‘즉시 가동’ 기능으로 전력 소모 줄일 수 있어 로컬 위치 분석으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방지   아나로그디바이스는 고가치 자산의 물리적 상태를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차세대 가속도계를 출시했다.   초..

2017.04.19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피코암페어 입력 버퍼 내장한 SAR ADC 출시

프런트엔드 신호 컨디셔닝 회로 제거로 공간, 비용 줄여 CMRR 특성으로 측정 정확도 저하 없이 센서 직접 연결   아나로그디바이스는 피코암페어(pA) 입력 버퍼를 내장한 18비트 8채널 동시 샘플링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

2017.04.18by 김지혜 기자

image

[기획-자율주행차②] '플레이어' 많아지는 레이더용 IC 시장, 반도체사들 경쟁 뜨거워지나

차량용 레이더 시장, 2020년 4200만대 180억 달러 시장 규모 전망 24GHz는 저가형으로, 자율주행차 확대따라 77• 79GHz급도 늘어나 꿈이 현실이 됐다, 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기술이 있다면 바로 그것은 자율주행 자동차일 것이다. ..

2017.04.17by 신윤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