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5by 이수민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재택 및 원격근무가 증가하는 가운데 엔비디아가 기업들의 원격근무를 지원하기 위해 vGPU 소프트웨어 평가판의 90일 무료 라이선스를 기존 128개에서 500개로 확대 제공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vGPU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통해 온프레미스 엔비디아 GPU로 가속화된 가상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직원들은 장소에 구애 없이 어디서나 업무 및 협업이 가능하다.
2019.12.19by 최인영 기자
엔비디아가 전 세계 개발자들이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실시간 대화를 지원하는 AI 추론 소프트웨어 텐서RT 7 을 출시했다. 엔비디아 텐서RT 7은 엔비디아의 7세대 추론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로 인간과 AI간 상호작용을 도와 음성 에이전트, 챗봇, 추천 엔진 등 애플리케이션의 실시간 구현을 지원한다.
엔비디아가 중국의 디디추싱과 협업해 자율주행 및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머신러닝 알고리즘 훈련을 위해 엔비디아 GPU를 사용하고 자율주행 레벨4 추론을 위해 엔비디아 드라이브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양사는 차량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이해와 자율주행 차량 개발의 안전성을 높일 계획이다.
엔비디아가 레벨 2에서 레벨 5 자율주행 차량까지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 호환 플랫폼 드리이브 AGX 오린을 공개했다. ISO 26262 ASIL D와 같은 안전표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자율주행 차량 및 로봇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딥뉴럴 네트워크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2019.11.26by 최인영 기자
메르세데스 벤츠가 최근 공개한 최고급형 SUV 3종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GLS, 메르세데스 GLS AMG 63, 메르세데스 GLE AMG 63 S 내부에 엔비디아의 MBUX 지능형 콕핏이 적용됐다. AI로 구동되는 이 시스템은 자연어 처리, 3D 그래픽, AR 내비게이션을 조합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9.11.25by 최수림 연구원
경기 침체,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올 한해 끝을 모르고 바닥으로 추락한 반도체 시장, 내년엔 '반도체 바닥론' 힘받나? 2020년 반등을 예고한 반도체 시장에서 주목해야할 분야는 무엇일까?
2019.11.07by 이수민 기자
엔비디아는 7일, 데이터센터와 네트워크 에지에서 AI 추론 워크로드 성능을 측정하는 새로운 다섯 가지의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독립적인 AI 추론 벤치마크 테스트인 MLPerf Inference 0.5에서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용 ‘엔비디아 튜링 GPU’와 에지 컴퓨팅용 ‘엔비디아 젯슨 자비에 SoC’를 활용했다. 다양한 폼 팩터와 네 가지 추론 시나리오를 적용하는 MLPerf의 다섯 가지 추론 벤치마크는 이미지 분류, 객체 감지 및 변환과 같은 기존 AI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엔비디아는 서버와 오프라인을 포함한 데이터센터 시나리오상의 5개 벤치마크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튜링 GPU는 상용 프로세서 중 프로세서당 최고 성능을 달성했다.
2019.11.08by 이수민 기자
엔비디아는 에지 단 로봇 및 임베디드 컴퓨팅 디바이스용 초소형 AI 슈퍼컴퓨터 젯슨 자비에 NX를 발표했다. 젯슨 자비에 NX는 70x45mm 크기의 소형 폼 팩터로 10W 동작 시 최대 14TOPS, 15W 동작 시 21TOPS의 성능을 제공한다. 엔비디아는 최근 데이터센터와 에지에서 AI 추론 성능을 측정하는 MLPerf Inference 0.5의 5개 벤치마크 테스트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 젯슨 자비에 NX 모듈은 이 벤치마크에 사용된 자비에 SoC의 저전력 버전이다.
2019.10.15by 최인영 기자
Arm이 완전 자율주행차량 구현 글로벌 협력체 AVCC의 출범을 밝혔다. AVCC는 자동차, 자동차 부품, 반도체, 컴퓨팅 등 다양한 산업을 이끄는 기업들로 구성된 자율 컴퓨팅 기술 협력체다. 초기 회원사로는 Arm, 보쉬, 콘티넨탈 AG, 덴소, GM, 엔비디아, NXP, 토요타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기업들이 컨소시엄에 합류하고 있다. AVCC 회원사들은 대규모의 자율주행차량을 구현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핵심 도전과제들을 협력을 통해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2019.09.23by 이수민 기자
자동차 한 대에 들어가는 반도체 수는 2010년에는 약 300개 정도였으나, 레벨 3 이상 자율주행차량이 본격적으로 상용화 될 2022년에는 약 2,000개의 반도체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까지 5년간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12.5% 성장할 전망이며, 2023년에는 약 585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이 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선 급변하는 기술 환경과 규제의 벽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OEM, 티어1·2, 반도체, ICT 업체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