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age

ETRI, AI에 활용 가능한 한국어 언어모델 '코버트' 공개

| 구글 한국어 언어모델 대비 평균 4.5% 성능 우수  | AI 비서·질의응답 등 한국어 처리 분야 활용 가능 | 파이토치와 텐서플로 환경 모두에서 사용 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로 추진..

2019.06.11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8K보다 250배 더 선명한 홀로그램 개발

| 인치 당 픽셀 25,000개… 연내 72K 개발 계획 | 수직 적층기술로 기존 1/3 크기 픽셀 제작 | 1㎛피치 픽셀 홀로그램 원천기술 확보 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의 시야각을 높인 초고해상도 픽셀(Pixel) 기술을 개발했다 이로써 보다 자연..

2019.05.26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2300V 고전압 견디는 산화갈륨 MOSFET 개발

| 차세대 전력반도체 활용 가능성 높여 | 고전압·전력에서 견디는 힘센 반도체 구현 | 기존대비 동작저항 50% 낮고, 항복전압 25% 높여 일상생활에서 노트북을 쓸 때 보통 어댑터를 사용한다. 220V의 전기가 들어오지만, 노트북 내 부품들은 전..

2019.05.19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5G-와이파이-유선 결합기술 개발… LTE 대비 40배 트래픽 수용

| 4G 대비 40배 트래픽 수용, 40Gbps 대용량 서비스 | 이종 유무선 접속환경,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 | 원천기술 개발로 국제표준화 통해 시장선점 노력 국내 연구진이 5G 이동통신망에서 무선망과 유선망을 하나로 묶어 서비스 속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

2019.05.12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나노결정 소재 메타물질 완전흡수체 개발 성공 "반사형 디스플레이, 보다 선명해진다"

| 빛 흡수대역 10배 넓혀 반사 색상 더욱 선명 | 반사형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등에 응용 | 용액 공정으로 유연한 기판도 쉽게 제작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ETRI) 나노결정 기반 광대역 메타물질 완전흡수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나노결정 용액과 은 ..

2019.04.24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양자점 표면치환기술로 QLED 효율 높였다

| 양자점 표면치환기술로 전자-정공 불균형 풀어 | 밝기 4.5배, 전류효율 1.7배, 전력효율 2.3배 | 양자점 표면 분자체 바꿔 QLED 효율 높여 동일 전압 조건에서 ETRI 연구진이 치환한 QLED가 기존 QLED보다 더 밝게 발광하고 있다 (위쪽..

2019.04.17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인공지능 API, 17년부터 지금까지 '1,164만 건 이상' 활용돼… "앞으로 더 공개할 예정"

| ETRI, 2017년부터 AI 기술 공개 중 | 언어·음성·시각지능 API 및 데이터 등 공개 | 공개 이후 지금까지 1,164만 건 이상 활용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자체 개발한 AI 기술을 공개해 누구나 AI 관련 서비스..

2019.03.24by 이수민 기자

image

"위 내시경 검사, 이젠 캡슐로 한다" ETRI, 인체통신 기반 캡슐내시경 개발

| 캡슐 내 전후방 카메라, 의사가 몸 밖 컨트롤 가능 | 위치 및 자세제어 가능, 초당 24장 촬영 고속전송 | 중국, 유럽 등 상부위장관 시장 우선진출 계획 국내 연구진이 인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사람의 소화기 질환 중 약 54%를 차지하는 식도와 위를 효과..

2019.03.18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교통사고 시 자동 구조요청 단말로 골든타임 확보한다

| 충격감지 센서내장 단말 7종 개발에 성공 | 충격, 기울기 등 복합요소 고려해 사고판단 | 데이터 통신망 이용으로 빠른 신고 가능 국내 연구진이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긴급 구난(救難) 서비스용 단말을 개발했다. ETRI가..

2019.02.21by 이수민 기자

image

"터치 태그를 부모님 집에 들이십시오" ETRI, 인체통신 기반 터치 케어 기술 개발

| 가정 내 주요물건에 태그 붙여 보호자 알림 | 냉장고 개폐횟수 파악으로 원격 건강관리 | 2mm 칩, 초저전력 10mW, 간편 설치 국내 연구진이 인체통신 기술을 활용해 사물을 만지게 되면 손목시계에 사물의 정보가 담겨져 통신이 가능한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2019.02.16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