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LTC
LTC
image

리니어, 초저잡음과 높은 PSRR 앞세운 LDO 신제품 선보여

20V, 500mA 제품, 1MHz에서 초저잡음(0.8µVRMS) 및 76dB PSRR 제공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초저잡음과 높은 PSRR(power supply ripple rejection)이 특징인 LDO(low dro..

2016.10.12by 신윤오 기자

image

리니어, 95% 효율 제공하는 2.5A 동기식 스텝다운 DC/DC 컨버터 출시

듀얼 입력, 무손실 PowerPath 제어 리니어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듀얼 입력 PowerPath™ 제어 기능이 통합된 2.5A, 42V 동기식 스텝다운 스위칭 레귤레이터(제품명: LTC3126)를 출시했다. 고유의 파워 스테..

2016.10.07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 어드밴텍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 제공

M2.COM 사물 인터넷 센서 플랫폼에 채택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현에 SmartMesh IP 채택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임베디드 및 자동화 제품과 솔루션의 선도기업인 어드밴텍(Advantech)이 자사의 새로운 표준 M2.COM 센서 플랫폼..

2016.10.05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1dB 정확도 및 35dB 다이내믹 범위 제공하는 RMS 전력 검출기 출시

RF 및 마이크로파 신호의 전력을 정확하게 측정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고주파, 광대역 및 넓은 다이내믹 범위가 특징인 RMS 전력 검출기(LTC5596)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모듈레이션 및 파형에 관계없이 RF 및 마이크로파 신호의 전력..

2016.09.30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 옵토커플러가 필요 없는 100V 플라이백 레귤레이터 출시

TSOT-23 패키지로 최대 5W 제공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절연형 DC/DC 컨버터 설계를 대폭 간소화하는 TSOT-23 패키지의 모놀리식 플라이백 레귤레이터 신제품(제품명: LT8303)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1차측 플라이백 ..

2016.09.29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 LTC1668가 적용된 데모보드 발표

50Msps, 16비트 DAC 데모보드 출시 임베디드 마이크로의 ‘모조’ FPGA 개발보드와 호환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50Msps, 16비트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LTC1668가..

2016.09.27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 ‘H등급’ 온도 범위 지원하는 LDO 발표

40VIN, 2.1A 레일투레일 LDO+ 출시 고전압, 150°C H 등급의 TSSOP 패키지로 공급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더 높은 온도범위인 ‘H등급’을 지원하는 LT3086 신제품을 TSSOP 패키지로 제공한다..

2016.09.23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 벅-부스트 및 인버팅 구성 가능한 μModule 레귤레이터 출시

15mm x 9mm x 2.42mm 패키지 제공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15mm x 9mm x 2.42 BGA 패키지로 제공되며 2가지 기능을 갖춘 듀얼 출력 DC/DC µModule® (파워 모듈) 레귤레이터(제품명: LTM8..

2016.09.22by 홍보라 기자

image

리니어, 48V/12V 자동차용 동기식 벅 또는 부스트 DC/DC 컨트롤러 출시

듀얼 배터리 시스템에 이상적인 100V/30V 양방향 2상 DC/DC 컨트롤러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48V/12V 자동차용 듀얼 배터리 시스템에 이상적인 100V/30V 양방향 2상 동기식 벅 또는 부스트 컨트롤러 신제품(제..

2016.09.21by 신윤오 기자

image

리니어, 파워 내장하여 시스템 신뢰도 향상시킨 아이솔레이터 출시

4Mbps CAN FD µModule 발표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ISO 11898-2 규격을 완벽히 준수하고, 3.3V 또는 5V 애플리케이션에서 넓은 접지대접지(ground-to-ground) 차동 및 공통 모드 과도현상(commo..

2016.09.19by 김수지 기자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