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자동차
Automotive
image

KETI, 실감성 높인 차량 인포테인먼트 AR HUD 개발

KETI, 홀로그램 기술 이용한 AR HUD 기술 개발 주행 중 시야 왜곡 줄여 운전자 중심 HUD 구현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8일,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용 HUD(Head Up Display) 기술의 실감성을 높인 증강현실(AR) HUD ..

2020.12.08by 명세환 기자

image

자일링스 "차량용 반도체, ASIC 대신 FPGA 채택해야"

'40년 차량용 반도체 시장규모, '20년의 4배 자동차 트렌드 앞서려면 적응형 솔루션 필요 자일링스, ISO 26262, ASIL B/D 제품 지원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

2020.12.09by 이수민 기자

image

자율주행 안전성 높이는 객체 인식 기술, "어디까지 왔나?"

자율주행 객체 인식, 카메라-라이다-레이더 유용 딥러닝 객체 인식, AI 학습 위한 데이터셋 필요 자율주행 시나리오로 데이터셋 보충 가능해 진정한 자율주행은 차량이 운전자의 역할을 모두 해낼 때 실현된다. 주행 시 운전자는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 차..

2020.12.07by 이수민 기자

image

과기정통부, '한국판 뉴딜과 포스트 코로나' 대응에 17.5조 투입한다

내년도 과기정통부 예산, '17.5조'로 1.2조 증액 한국판 뉴딜, 원천 연구, 3대 신산업 육성 초점 정부 R&D 예산, '27.4조'로 '20년 대비 1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총 17조..

2020.12.03by 이수민 기자

image

EV 품질, "배터리 활성화·테스트 공정" 효율화에 달려

전기차, '25년 자동차 판매량의 10% 차지할 전망 배터리, 전기차 가격의 40% 차지하는 핵심 부품 활성화·테스트 공정 효율화, 전기차·배터리 품질↑ 대도시 중심가의 도로를 보면 자동차 산업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

2020.11.26by 이수민 기자

image

CEVA DSP, 르네사스 차세대 차량용 SoC에 채택

카메라, 레이더 등 차량 내 센서 숫자 증가 추세 DSP, 차량 내 센서 데이터 처리하는 핵심 디바이스 CEVA는 25일, 자사의 고성능 디지털신호처리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솔루션이 日 르네사스의 차세대 차량용 SoC에..

2020.11.25by 명세환 기자

image

ST, 산켄과 IPM 개발 맞손, 차량용 제품도 내년 공개

ST, 산켄과 3kW 이상 애플리케이션 대응할 지능형 전력모듈(IPM) 개발 파트너십 맺어 IPM 엔지니어링 샘플, 2021년 출시 예정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16일, 고전압 고출력 장비 설계에서 지능형 전력모듈(Intelligent Power Modu..

2020.11.17by 강정규 기자

image

첨단자동차 검사 기준 마련하는 연구센터 '카빅' 출범

국토부-교통안전공단, 김천혁신도시 내에 첨단자동차검사연구센터 '카빅' 구축하고 개소 첨단자동차의 운행단계 안전 확보 검사 기술 개발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8일, 자율주행차와 전기차(EV) 등 첨단자동차의 운행 안전 확보를 위한 첨단..

2020.11.18by 명세환 기자

image

GaN 제품군 확장 나선 TI, 600V GaN FET 4종 공개

산업용·차량용 디바이스 전력 밀도, 증가 추세 TI, SiC 대비 저렴한 GaN FET 솔루션 4종 공개 고속 스위칭 장점인 GaN으로 PFC 효율 높였다 차량 전동화는 자동차 산업을 바꾸고 있다. 이제 소비자들은 고속 충전과 장거리 주행이 가..

2020.11.12by 이수민 기자

image

"드론 택시가 뜬다" 국토부-서울시, 도심서 'UAM' 시연

국토부-서울시, 여의도서 UAM 실증 나서 中 eVTOL 'EH216' 기체로 7분간 1.8km 비행 서울시, 2023년부터 소방용으로 UAM 활용 계획 2025년을 목표로 드론 택시 상용화가 추진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는 11일,..

2020.11.12by 명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