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전기연구원
전기연구원
image

전기 통하는 3D 미세 프린팅 성공, 고효율 배터리 주목

▲KERI 설승권(앞줄 왼쪽) 박사팀이 맥신을 이용한 3D 프린팅용 잉크와 노즐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전기연구원, ‘맥신’ 활용 머리카락 굵기 약 1/100 수준 인쇄 높은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단 능력..

2025.03.10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차 AI 기반 충전·상호운용성 위해 전문 기관 뭉쳤다

▲협약 참석자 전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기연구원, 10여개 기관·업체와 MOU 전기차의 AI 기반 충전 신기술 실증 및 전기차와 충전기간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기관 및 기업들이 하나로 뭉쳤다. 한..

2025.03.06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펄스파워 제어 ‘반도체 기반 대용량 스위치’ 9조3천억 시장 정조준

ORNL·SLAC 등 협력 제안, 국제 공동 연구 활발 가속기·레일건·직류 차단기 등 다양한 분야 활용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개발한 ‘반도체 기반 대용량 스위치’ 기술이 세계 최정상급 연..

2025.02.24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SiC 전력반도체 방사선 피해 막는다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개발, 고에너지 우주 환경 모사 분석 신뢰성 확보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국내 최초로 고에너지 우주 환경을 모사 분석해 국제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한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며, 차세대 SiC 전력반도체의..

2025.02.17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더 빠르고 품질 좋게 만든다

▲업그레이드형 공침법을 개발한 KERI 하윤철 박사(왼쪽) 및 KAIST 변혜령 교수   전기연구원, 하윤철 박사팀, 업그레이드형 공침법 개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을 더 빠르고 품질 좋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돼 향후 전고체전지..

2025.02.10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리튬황전지 상용화 난제 극복…UAM·전기차 혁신 기대

▲이번 연구를 진행한 KERI 박준우(왼쪽 4번째) 박사팀   ‘리튬폴리설파이드’ 용출 억제 성공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차세대 리튬황전지의 상용화를 막던 난제를 극복하고, 대면적·고용량 시제품까지 ..

2025.01.20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로 복사열 난방 소재 기술 혁신

▲KERI 이동윤 박사(가운데)팀   균일한 열 분포 및 높은 내구성·효율성 강점, 반도체 등 제조 분야 활용 전기차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 사용되는 복사열 난방 시스템에서 기존 소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소재 기술이 개발..

2025.01.14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2024년 숨은 가치 연구성과 사진 공개

  ‘고전압 펄스전원 기반 플라즈마’ 등 6개 사진 선정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연구개발 현장의 숨은 가치를 담은 사진 6점을 발표했다. KERI는 지난해 자체 공모를 통해 총 28점의 사진 후보를 지원받았고..

2025.01.06by 배종인 기자

image

김남균 전기연구원 원장, “월드 클래스급 성과 창출할 것”

  기술사업화 전략 강화 및 조직·제도 정비 다짐 김남균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월드 클래스 급 성과 창출에 나서겠다며 기술사업화 전략 강화 및 조직·제도 정비를 다짐했다. 전기연구원은..

2025.01.02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2024년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 2건 선정

  스마트 전극 연구팀·PCS제어팀 선정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나노융합 및 전력변환 기술 분야에서의 선도적인 성과를 인정받았다. 전기연구원은 ‘2024년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 총 15개 중..

2024.12.26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