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6by 이수민 기자
자일링스가 자일링스 개발자 포럼(XDF) 유럽 2019에서 슈퍼마이크로, 코티컬, 보스턴 등 3사와 함께 알베오 데이터 센터 가속기 카드에 기반한 솔루션을 발표했다. 알베오 가속기 카드를 활용하면 실시간 AI 추론 및 비디오 트랜스코딩과 같은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높이고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2019.12.11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칩이 폴라파이어 SoC FPGA에 대한 조기 이용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에 가입하면 마이크로칩의 리베로 SoC 12.3 FPGA 개발 스위트와 임베디드 개발자를 위한 소프트콘솔 6.2 IDE를 이용하여 개발을 시작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서브시스템 가상 모델인 리노드를 사용하여 자신의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할 수도 있다.
래티스 반도체가 새로운 저전력 FPGA 플랫폼인 넥서스와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첫 디바이스인 크로스링크-NX를 발표했다. 래티스 넥서스 플랫폼은 에지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려는 임베디드 개발자를 위해 설계됐으며, 삼성전자 28nm FD-SOI 공정 기술로 개발됐다.
2019.11.14by 이수민 기자
자일링스가 전장용 AEC-Q100 인증을 획득한 16nm 기반 XA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인 7EV와 11EG를 출시했다. 7EV와 11EG는 공통적으로 65만 개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셀과 약 3천 개의 DSP 슬라이스를 제공한다. 7EV는 H.264/H.265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비디오 코덱을 포함하고 있으며, 11EG는 32개의 12.5Gb/s 트랜시버와 4개의 PCIe3 x16 블록을 제공한다. XA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 포트폴리오는 자일링스 프로그래머블 로직을 비롯해 저전력 도메인에서 ASIL-C 레벨로 인증된 64bit 쿼드코어 Arm Cortex-A53 및 듀얼코어 Arm Cortex-R5 기반 프로세싱 시스템을 통합하고 있다.
2019.10.24by 이수민 기자
우주용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가공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또 제한된 다운링크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더욱 우수한 컴퓨팅 성능을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칩은 이에 내방사선 폴라파이어 FPGA를 출시했다. 최대 5배의 컴퓨팅 스루풋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1.5배의 성능, 3배의 논리 소자 및 SERDES 대역폭을 제공한다. 6배 높은 임베디드 SRAM를 제공하며,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대다수 인공위성과 다수의 심우주 사업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100kRad 초과치의 TID 노출도 견딘다.
2019.10.15by 이수민 기자
래티스는 MIPI D-PHY 기반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용 크로스링크플러스 FPGA 제품군을 발표했다. 크로스링크플러스는 인스턴트 온 패널 디스플레이를 위한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 하드웨어 기반 MIPI D-PHY 및 고속 I/O를 탑재했으며, 온디바이스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저전력 FPGA다. 즉시 사용할 수 있는 IP와 레퍼런스 디자인도 함께 제공된다.
2019.10.04by 명세환 기자
자일링스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하드웨어 엔지니어를 위한 통합 설계 플랫폼인 바이티스 런칭을 발표했다. 바이티스는 기존의 하드웨어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코드를 자동으로 자일링스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맞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기존 적응형 하드웨어에 접근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도 쉽게 자일링스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맞게 알고리즘 코드를 구현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2019.09.24by 이수민 기자
용량 데이터 세트를 처리할 경우, 대역폭은 매 단계마다 작업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보안 처리, 빅 데이터 분석, 데이터베이스 가속, 비디오 트랜스코딩과 같은 데이터 집약적 작업부하의 경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많은 HBM 용량이 필요하다. 자일링스가 새로 개발한 16GB 버텍스 울트라스케일+ HBM FPGA는 메모리 대역폭이 460GB/s으로 DDR4 DIMM보다 20배 더 크며 전력소모는 75% 수준이다.
2019.09.17by 이수민 기자
핀테크가 대중화되면서 금융계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효율적 처리라는 과제에 직면하게 됐다. 금융계는 데이터의 원활한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서버 증설, 데이터 센터 설립 같은 인프라 증설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무어의 법칙이 생명력을 잃어가면서 프로세서의 성능은 전보다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금융계는 나날이 발전하는 AI, 머신 러닝, 딥 러닝 기술을 금융 업무에 접목하는 방법에 고심하고 있다. 금융계는 알고리즘을 전개하고 신경망을 구축하는데 GPU보다 더 적합한 FPGA에 주목하고 있다. 가령 JP모건은 금융 거래에 AI 추론을 활용하고 있는데, FPGA는 구조 상 GPU보다 추론 분야에서 우위에 있다.
2019.09.02by 이수민 기자
인텔이 10나노 공정으로 제조된 인텔 애질렉스 FPGA를 얼리 액세스 프로그램 고객들에게 출하하기 시작했다. 재구성 가능하고 전력 소비를 줄인 애질렉스는 높은 성능과 짧은 지연 시간으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유연성과 민첩성을 제공한다. 또한 에지와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수행되는 가속화된 AI 및 기타 분석을 통해 지능적이면서 더 높은 대역폭의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실시간으로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전달하는 계산 기능과 고속 인터페이스 기능도 제공한다. 인텔은 개발자가 FPGA에서 구조화된 ASIC으로 설계를 원활하게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지정 로직 컨티뉴엄을 제공한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