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3D낸드
3D낸드
image

WD, ‘프로 블레이드’ 라인업 국내 출시

▲프로 블레이드 라인업, 왼쪽부터 △프로 블레이드 스테이션 △프로 블레이드 트랜스 포트 △프로 블레이드 SSD 맥 (사진-웨스턴디지털)   프로 블레이드, SSD 맥·트랜스포트·스테이션 3종 공개 최근 디지털 콘텐츠 수..

2022.09.06by 권신혁 기자

image

USB타입A 보유 多, 타입C듀얼 미래 수요 高

▲‘USB 타입 C 리서치’ 인포그래픽 (이미지-웨스턴디지털) WD, USB 트렌드 관련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 공개 USB 규격이 타입 A에서 C로 전환되는 과정 속에 있지만 전세계 및 국내 소비자들은 여전히 USB 타입..

2022.08.25by 권신혁 기자

image

인텔, 핫칩스34서 최신 아키텍처·패키징 혁신 공개

▲인텔, 핫칩스34 학술행사에서 최신 아키텍처 및 패키징 부문 혁신 공개 (이미지-인텔)   팻 겔싱어 인텔 CEO, 첨단 컴퓨팅과 패키징 기술의 중요성 강조   현재 반도체 업계는 기존의 파운드리 모델에서 시스템 파운드리 모델로 사..

2022.08.25by 권신혁 기자

image

200단 낸드 시대, 삼성·SK·마이크론 불붙은 적층 경쟁

▲SK하이닉스가 지난 3일 공개한 238단 낸드플래시 (사진-SK하이닉스)   SK·마이크론, 200단 적층 경쟁 중 삼성은 침묵 삼성이 바라보는 1000단 미래 낸드, 기술혁신必 [편집자주] 반도체 업계 낸드플래시 적층이 2..

2022.08.12by 권신혁 기자

image

마이크론 176단 낸드, 데이터센터용 SATA SSD로 첫 출시

▲데이터센터 워크로드용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176단 낸드 SATA SSD   마이크론, " 입증된 11세대 아키텍처로 보다 높은 안정성 실현" 가장 먼저 176단 낸드 플래시 양산 기술 확보에 성공한 마이크론이 올초 ..

2022.08.08by 권신혁 기자

image

삼성전자,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대거 공개

▲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솔루션개발실 최진혁 부사장이 미국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플래시 메모리 서밋 2022'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최진혁 부사장, "빅데이터 시대의 메모리 혁신"..

2022.08.03by 권신혁 기자

image

日 지진, 반도체 공장 산발적 피해

르네사스 지진 큰 피해 無, 키오시아 가동 중단   지난 16일 밤 11시 36분경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진도 7.3의 강진이 발생해 글로벌 반도체 공장의 가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글로벌 자동차 반도체 기업인 르네사스와 ..

2022.03.21by 성유창 기자

image

낸드플래시 가격 전망 뒤집혀…5~10% 상승 예상

▲ 2022년 NAND 플래시 가격 전망 (그림 출처: 트렌드포스) WD·키오시아, 생산 재개 일정 불투명…2분기 가격 영향 있을 것   2022년 3분기까지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을 점쳤던 트렌드포스가 가..

2022.02.14by 성유창 기자

image

SK하이닉스, 24Gb DDR5 샘플 출하…업계 최대 용량

10나노 4세대 기술 적용, 48GB·96GB 모듈 출시 SK하이닉스가 10나노 4세대 기술을 적용한 단일 칩 기준 업계 최대 용량을 구현한 D램을 선보이며, 차세대 D램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했다. SK하이닉스가 D램 단일 칩으로는 업계..

2021.12.15by 배종인 기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