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IBS
image

웨어러블 기기로 내일 기분 일기예보처럼 예측

▲수면-각성 데이터만을 이용한 기분 삽화 예측 모델 개발   IBS, 수면·생체리듬 기반 기분 장애 예측 기술 개발 웨어러블 기기로 내일 기분을 일기예보처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우울증, 조증 등 기분 장애 환자들의..

2024.11.25by 배종인 기자

image

VR·AR 등 가상현실에서 촉감으로 현실감 부여

▲디바이스가 작동하면 압력 센싱과 동시에 동영상에 맞는 촉각 정보가 전달되고, 사용자는 눈을 가린 상태로도 손끝에서 구현된 가상 전기 촉각을 통해 공이 굴러가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투명 햅틱 디스플레이, 털부터 유리까지 다양한 실제..

2024.09.13by 배종인 기자

image

0.4㎚ 게이트 전극 극소형 반도체 소자 구현

소자 단순화· 좁은 게이트 길이, 정전 용량 최소화 회로 성능 향상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2037년까지 전망한 반도체 기술 수준을 월등히 넘어서는 극소형 반도체 소자가 구현됐다.   기초과학연구원(I..

2024.07.04by 배종인 기자

image

전자 소자, 스티커 떼어내듯 손상 없이 분리

▲다양한 2차원 박막의 3차원 구조로의 변환   IBS, ‘무손상 건식 전사’ 방법 개발 스티커를 떼어내듯 고성능 전자 소자를 기판에서 손상 없이 분리하는 새로운 전사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

2024.06.25by 배종인 기자

image

독수리 눈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카메라 나왔다

▲연구진이 개발한 새 눈을 모방한 카메라의 모식도 및 측정 결과   물체 감지 필요한 무인 로봇·자율주행차·드론 적용 수 ㎞ 떨어진 곳에서 움직이는 먹잇감을 포착하는 독수리의 눈을 닮은 새로운 카메라 나왔다. ..

2024.05.30by 배종인 기자

image

IBS 초저온 전자현미경, 이용자 선호도 3년 연속 1위

  대형 연구 인프라 공동 활용 통해 국가 기초과학 경쟁력 제고 살아있는 세포를 ‘스냅샷’ 찍듯 관찰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의 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이 분야 연구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비로..

2024.05.17by 배종인 기자

image

대기압 다이아몬드 합성 성공, 세계 최초

▲RSR-S 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다이아몬드 결정   ‘RSR-S’ 이용 1,025℃·1기압서 15분만에 합성 나노 크기 자기센서·양자 컴퓨터 등 응용 기대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는 고온고압 ..

2024.04.25by 배종인 기자

image

IBS, 문신처럼 얇은 전자회로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구현

▲(왼쪽)뇌에 삽입되는 액체금속 기반의 부드러운 신경전극과, 두개골 표면을 따라 얇게 형성되는 전자회로를 설명하는 그림. (오른쪽)두개골 곡면을 따라 형성된 생체통합적 통신 전자회로의 사진.   부드러운 인공 전극, 동물실험서 뇌 손상 無 3..

2024.03.12by 배종인 기자

image

반도체 성능 저하 없는 청정 공정 개발

성능 저하 유발 잔여물 제거, 상용화 가능성 고집적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걸림돌이 돼 왔던 반도체 공정에서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잔여물이 없는 공정이 개발돼 향후 상용화가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영희 연구단장(..

2023.09.06by 배종인 기자

image

반도체 특성 띤 2차원 탄소 동소체 개발

▲이효영 IBS 부연구단장     IBS, 그래핀 단점 보완 ‘홀리그래파인’ 합성 반도체 특성을 띤 2차원 탄소 동소체가 개발돼 향후 광전자공학, 촉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2022.05.19by 배종인 기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