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UNIST
UNIST
image

‘AI’ 북극 해빙 농도 1년 앞까지 예측

▲예측 결과의 성능 차이를 활용해 각 기후요인이 해빙농도 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UNIST 임정호 교수팀, UNET 딥러닝 기반 해빙 농도 예측 모델 개발 최대 1년 뒤의 북극 해빙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나..

2024.12.26by 배종인 기자

image

전자기기 위치 상관없이 어디서든 무선충전

UNIST, 전기공진 방식 무선전력전송 기술 구현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은 채로 충전하는 시대가 가까워졌다. 벽, 바닥, 공중 등 3차원 공간 안 어디서든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UNIST(총장 박종래) 전기전자공학과 변..

2024.12.12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울산 산업 혁신 가속할 AI 인재 배출

  AI 노바투스 아카데미아 7기 수료 울산 산업 혁신을 선도할 AI 전문 인재들이 배출됐다. UNIST와 울산시는 22일 AI혁신파크에서 열린 ‘AI 노바투스 아카데미아 울산과정 7기 수료식’에서 35명의 수료..

2024.11.25by 배종인 기자

image

[CES 2025]UNIST, 돌봄 로봇 ‘래미(LEMMY)’ 기술력·사회적 가치 인정

▲UNIST 디자인학과 연구진(사진의 왼쪽에서 세 번째에 위치한 김관명 교수)   CES 2025 혁신상, 고령자 삶의 질 향상 서비스 로봇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이때 UNIST(총장 박종래)의 고령자의 사람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

2024.11.20by 배종인 기자

image

생성 AI 323배 압축 저전력 AI 길 열렸다

▲(왼쪽부터)유재준 교수, 장유진 연구원, 여상엽 연구원 등 AI 경량화 알고리즘 연구팀   UNIST 유재준 교수팀, 경량화·비디오·디자인 혁신 발표 생성형 AI를 323배 압축해도 고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2024.10.09by 배종인 기자

image

CO2로 항공유 만든다

  UNIST·LG화학, 탄소배출 80% 감축 항공유 생산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 생산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고부가가치 탄화수소..

2024.09.12by 배종인 기자

image

환경 살릴 신소재 지르코늄 기반 구조 26종 발굴

▲(아래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조혜진 연구원(1저자), 김지연 연구원(1저자), 최원영 교수, 김지한 교수, 남동식 연구원(1저자)   UNIST, 새로운 금속-유기 골격체 구조 개발 성공 신소재 설계 전략으로 26개 지르코늄 기반 금..

2024.09.10by 배종인 기자

image

빛 주파수 자유자재 조절해 양자광원·홀로그램 구현한다

▲전기적 조절이 가능한 제3 고조파 발생 비선형 광학 메타표면 개념도. 메타아톰 배열에 전압인가 방식에 따라 제3 고조파의 광세기 변조(좌), 회절특성 변조(가운데), 빔조향 특성 변조가 가능함.   UNIST, 빛 밝기·상태 제..

2024.08.26by 배종인 기자

image

버려지던 부생가스, 고부가 ‘알데하이드’ 탈바꿈

▲(위)LAO 생산 과정 중 부생가스 업그레이드용 하이드로포밀반응 모식도. (아래)하이드로포밀반응 전/후 부생가스 내 올레핀 성분 변화   UNIST 안광진 교수 공동연구팀, 로듐 촉매 개발 UNIST 연구팀이 부생가스를 활용해 고부가가..

2024.08.23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차 달리면서 충전한다

▲두 대의 로봇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실험   UNIST, 주행 중 끊김 無 무선 전력 공급 트랙 개발 운행 중인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합하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전기차가 달리면서 충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UN..

2024.08.19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