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image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새로운 전해질로 향상

▲(윗줄)곽원진 교수, (아랫줄 왼쪽부터)제1저자 이현욱 연구원, 김자영 연구원   UNIST·한양대 공동연구팀, 유기 전극 용출 억제 전해질 개발 친환경적인 유기 전극 기반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

2024.02.01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실시간으로 사람 감정 인식 기술 개발

▲(왼쪽부터)김지윤 UNIST 교수, 제1저자 이진표 연구원   감정 기반 맞춤형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전망 인간의 감정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감정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착용형 시스템 등 다양하게..

2024.01.29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산학협력관 준공

  산학 공동 연구·지역 스타트업 육성 전담 동남권 산학협력의 허브가 마련됐다. UNIST(총장 이용훈)는 25일 산학협력관 준공식을 열고, 동남권 대표 산학협력 허브 도약의 시작을 알렸다. UNIST 산학협력관은 ..

2024.01.26by 배종인 기자

image

순도 높은 그린 수소, 친환경·저렴 생산

▲RuSiW 촉매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좌), 원소매핑이미지(중), 텅스텐 도핑된 투과전자현미경사진(우)   UNIST·KAIST 공동연구팀, 고효율·안정성 수전해 촉매 개발 그린 수소를 더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

2024.01.11by 배종인 기자

image

3만 배 증폭된 전자기파로 6G 통신의 구현 눈앞

▲(왼쪽부터)김정훈 연구원, 제 1저자 이형택 연구원, 박형렬 교수   UNIST 등 3개 공동 연구팀, 6G 통신용 THz 나노공진기 개발 빛이나 적외선과 같은 테라헤르츠(THz) 전자기파를 3만 배 이상 증폭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

2023.12.21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AI로 동남권 산업 체질 바꾼다”

▲UNIST ‘인공지능 혁신의 날(AI Innovation Day)’ 행사 참석 귀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 혁신의 날’ 개최,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 참석 UNIST(총장 ..

2023.12.19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재료 다른 새로운 유기 반도체 재료 합성 성공

▲이번 연구를 주도한 (윗줄 왼쪽부터)박영석 교수, 최원영 교수, (아랫줄 왼쪽부터)제1저자 정성화 연구원, 김지연 연구원   안트라센에 연속적인 질소·붕소 도입, 낮은 전압에서도 10% 향상 성능 새로운 유기 반도체 재료를..

2023.12.14by 배종인 기자

image

재활용 가능 전자기기 나온다

▲(뒷줄 오른쪽 첫 번째)이번 연구를 주도한 심교승 교수 연구팀   UNIST 심교승 교수팀, 유기물 기반 전자 소자 개발 다 사용한 전자기기를 재활용해 다른 전자기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돼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미래형 ..

2023.12.07by 배종인 기자

image

ISSCC에 UNIST 전기전자공학과 논문 3편 채택

▲UNIST 김성진, 김재준, 이규호 교수 연구팀   김성진·김재준 교수, 이미저·MEMS·메디컬·디스플레이 분야(IMMD) 채택 이규호 교수, 디지털아키텍처·시스템 분야(DAS..

2023.12.06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새로운 촉매층 도입기술로 수전해 성능·안정성 향상

▲(아랫줄 왼쪽부터)제1저자 공태훈 연구원, 권영국 교수, 제1저자 탕가벨 판디아라잔 연구원 등 UNIST 연구진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권영국 교수팀, 음이온교환막 활용한 새로운 촉매층 제조기술 개발 수소를 만들어내는 전해조의 성..

2023.11.21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