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image

초강력 넘어 극초강력 레이저 제작 방법 찾았다

▲(왼쪽부터)GIST 석희용 교수, UNIST 허민섭 교수, 스트라스클라이드 야로스진스키 교수   UNIST·GIST·Strathclyde, 초고출력 레이저 펄스 출력 방법 제시 세계 최고 출력 레이저보다 더 강..

2023.11.15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다 쓴 車 배터리, ‘원스톱’ 진단”

▲딥러닝 알고리즘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실험 셋업   배터리 분해 없이 내부 진단해 재활용 여부 판단 다 써버린 배터리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재활용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기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진단 가능해..

2023.11.08by 배종인 기자

image

그린 수소부터 질소·산소까지 원하는 대로 만든다

▲(왼쪽부터)제1저자 강윤석 연구원, 류정기 교수   UNIST 류정기 교수팀, 대면적 하이드로젤 박막 기술 개발 만능 전극 기체 생산 효율 대폭 높여, 장시간 안정적 구동 그린 수소와 같은 청정 기체 원료를 손쉽게 생산할 수 있는..

2023.10.24by 배종인 기자

image

반려견 코 주름으로 개체식별 길 열린다

UNIST 학생창업기업 파이리코 비문인식 기술 국제표준 UNIST 학생창업기업 파이리코가 ‘코 주름’(비문) 기반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의 국제 표준을 만들었다. 간편한 비문 인식 기술로 전 세계 어디서든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신원인증 할 수 ..

2023.09.15by 배종인 기자

image

“음극재, 실리콘 크기 5㎚이하 줄여야 수명저하 막는다”

▲(왼쪽부터)UNIST 조재필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성재경 교수   UNIST 조재필 교수팀, ‘Nature Energy’ 리뷰 논문 게재 조재필 교수 2021년 실리콘 입자크기 1㎚이하 기술개발 이차전지 음극재에서 ..

2023.08.29by 배종인 기자

image

2차원 물질 p형 반도체 소자 제작 성공

UNIST, 4인치 대면적 소자 합성 기술 개발 이차원 전극 기반 차세대 산업에 적용될 것 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제작기술이 개발돼 초미세화 기술이 적용될 차세대 상보형 금속산화 반도체(CMOS) 산업에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2023.08.24by 배종인 기자

image

이차원 반도체, 저온에서 한 층씩 쌓아 만든다

▲저온 원자층 증착법 기반 텔레륨 박막의 특성 및 이들의 전자소자 응용   UNIST 서준기 연구팀, 원자층 증착법 기반 텔레륨 박막 증착법 개발 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원자층 수준에서 정밀하게 쌓는 기술이 개발됐다. 낮은 온도에서도 나노 수..

2023.08.03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레드닷 어워드 ‘베스트 오브 베스트’

‘골목 책방과 손님 잇는 앱’ 디자인 골목 책방과 손님을 잇는 모바일 앱 디자인이 상위 1% 디자인상을 받았다. UNIST(총장 이용훈)는 김황·이희승 교수팀이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인 레드닷(Red-dot) 디자인 어..

2023.07.26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만능 집게·착용형 보조 로봇 가능케 할 ‘소프트 밸브’ 개발

▲소프트 밸브의 구조 (a)개발된 소프트 밸브의 사진. (b) 인장이 없을 때(상단)와 최대일 때(하단) 소프트 밸브의 모식도와 각각의 시뮬레이션 단면도 해석 결과(우단).   전기 없이 쓸 수 있고 저렴, 구동 제어 부품도 부드럽게 감자 ..

2023.07.20by 배종인 기자

image

인체의 ‘열’만으로 배터리 충전 가능한 웨어러블 소재 눈앞

▲개발된 이온성 고분자 열전소재의 자가 치유 능력과 신축성(개발된 열전소재는 원래 길이의 10배 이상 늘일 수 있고 자가 치유 능력이 있어 상처를 스스로 치유함. 또한 반복된 절단과 치유과정에도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유지했다.)   UNIST&m..

2023.07.10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