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UNIST
UNIST
image

UNIST·ADNOC, 석화 공정 AI 기반 탈탄소 맞손

  UNIST·ADNOC·AIQ 전략적 협력 협정, 공동 연구·기술개발 UNIST(울산과학기술원)가 UAE(아랍에미리트) 최대 국영 석유회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디지털 탄소중립 시장 개척에 나..

2023.05.11by 배종인 기자

image

뇌 동작 정밀 모사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

▲이중 플로팅 게이트 소자를 활용한 시냅스 특성 모사   UNIST, 2차원 소재 기반 이중 플로팅 게이트 소자 구현 복잡한 아날로그 신호처럼 고밀도의 데이터를 정밀하게 제어 가능한 차세대 반도체 소자가 개발돼 향후 인공신경망 등 다양한 분..

2023.05.04by 배종인 기자

image

저온·저압으로 고성능 암모니아 합성

▲최근에 보고된 분산형 암모니아합성법 성능 비교. 기계화학법>>열화학법>>광화학법>>전기화학법 등의 순으로, 이번 연구에서 칼륨 반응촉진제를 활용한 기계화학 암모니아 합섭법이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UNIS..

2023.04.27by 배종인 기자

image

티타늄 표면 티타늄카바이드 코팅, 해수전지 성능 ↑

▲기존의 티타늄(Normal Ti)을 쓴 경우와 TiC를 코팅한 티타늄(Black Ti)를 쓴 경우 배터리 전자 이동 비교   탄소집전체 부식현상 억제 해수전지 탄소집전체의 부식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해수전지 성능 향상..

2023.03.20by 배종인 기자

image

L-CO2, 블루 수소와 같이 생산한다

  UNIST, 지속가능한 L-CO2 생산 가이드라인 제시 블루수소를 기반으로 한 액체이산화탄소(L-CO2)를 생산하는 최적의 방법이 개발돼 향후 L-CO2 수급과 L-CO2 생산에서의 탄소 저감이 기대되고 있다. UNIST(총장 이용훈..

2023.03.17by 배종인 기자

image

펨토초 레이저 활용 반도체 미세패턴 형성

▲펨토초 레이저의 편광을 다르게 하여 만든 다양한 형태의 흑린 나노 구조체들   광학 현상 이용 반도체 소재 나노미터 수준 자유자재 조각 반도체 초미세 회로 패턴 공정에서 극자외선 노광 장비가 가진 높은 희소성으로 인해 차세대 포토리소그래피..

2023.03.09by 배종인 기자

image

지방 조직 미세 환경 모사 ‘생체모사칩’ 개발

  비만 관련 질병 규명·치료제 개발 가능 지방 조직의 미세환경을 모사한 생체모사칩이 개발돼 비만관련 질병 규명 및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팀은 인체 백색..

2023.03.06by 배종인 기자

image

스마트 콘택트렌즈 상용화, 3D 프린터로 열었다

▲AR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구성   전기연·UNIST, 렌즈 디스플레이에 마이크로 패턴 인쇄 AR 구현 3D 프린터 기술을 이용해 내비게이션 기능 가진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제작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개발돼 향후 스마트 콘택트..

2023.02.07by 배종인 기자

image

비싼 장비 없이도 왜곡된 영상 복원하는 방법 나왔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박정훈 교수팀   UNIST, 왜곡영상 숨은 정보 추출 고해상도 복원 비싼 장비가 없이도 왜곡된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이 개발돼 자율주행용 고품질 영상, 살아있는 동물 내부 관찰 등에 적용이 기대된다. UNIST(총..

2023.01.04by 배종인 기자

image

㈜후성·UNIST, Low GWP 식각기술 개발 본격화

  개방형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 UNIST(총장 이용훈)와 ㈜후성이 Low GWP 식각기술 개발 공동 연구에 나서며, 산학 융합 연구 및 반도체 소재 발전 등 미래기술 개발이 기대된다. UNIST는 15일 제4공학관(110동)에서 ..

2022.12.20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