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UNIST
image

충전無 적외선 센서 나온다

▲(a) 이중층 TMD 나노튜브의 구조 모식도. (b) 본 연구에서 핵심으로 다룬 단일층과 이중층의 시프트 전류. 이중층의 시프트 전류는 각각의 단일층이 갖는 시프트 전류보다 약 20배 더 큰 광전류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이고 있음 (노란색 화살표). (c) 노란..

2022.06.27by 배종인 기자

image

현대차그룹·UNIST, 고효율 태양전지 소자 개발 맞손

▲(왼쪽부터)이종수 현대자동차 선행기술원장과 이용훈 UNIST 총장 (사진 제공: UNIST) ‘현대차그룹-유니스트 공동연구실’ 협약과 현판식 진행 2025년까지 공동연구 추진, 태양전지 세계 석학 참여   U..

2022.06.13by 성유창 기자

image

​UNIST, 6G 저전력·초고속 반도체 소자 개발

▲이차원 물질 기반 비휘발성 6G 스위치 UNIST 김명수 교수 연구진, 2차원 반도체 기반 아날로그 스위치 개발 대기전력 0, 에너지 효율성 만족…차세대 6G 시스템 응용 가능 전기 효율성이 높고, 신호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2022.06.07by 김예지 기자

image

UNIST, 무어의 법칙 한계 뚫을 차세대 소재 개발

▲제1저자인 마경열 연구원인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코팅된 기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 단결정 다층 박막 형태 합성 봉지막·멤브레인·이차전지·양자광원 등 응용기대 UN..

2022.06.03by 배종인 기자

image

나사 풀림 위험 감지하는 똑똑한 금속

▲L-PBF 기법을 활용한 지능형 금속 제작 개략도(A : 4가지 지능형 금속 제작 구성요소(1차 L-PBF 부품, 프로텍티브 레이어, 스트레인게이지 센서, 2차 L-PBF 부품), B : 3단계로 구성된 지능형 금속 제작 과정, C : 프로텍티브 레이어를 활용한 ..

2022.05.30by 배종인 기자

image

1,200㎞/h 하이퍼루프 통신 원천기술 개발

▲개발한 하이퍼루프 튜브내 통신환경 분석 기법 모델   UNIST·동국대, 하이퍼루프 튜브 내부 통신 채널 특성 규명 1,200㎞/h의 고속으로 달리는 하이퍼루프 내에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향후 고속 교통수단에..

2022.05.18by 강정규 기자

image

화학폐기물로 만들 수 있는 약물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바르토슈 쥐보프스키 교수   UNIST 그쥐보프스키 교수·폴란드 연구팀, 공동 개발 소프트웨어 설계 공정 ‘현장 생산용 제약 기계’ 실증 화학공정 폐기물들을 고부가가치 의약품이나 농약으로 합성..

2022.04.29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소리 듣는 인공피부 개발

▲연구팀이 제작한 센서     귀의 달팽이관 구조 모방 인공피부 센서 기반 아바타로봇·햅틱장갑 응용 등 VR·AR·IoT 기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인공피부로 로봇을 조종하는 인터페이스 기술..

2022.03.28by 배종인 기자

image

UNIST, 6G 소자 상용화 눈앞

▲E-band 메타표면 기반 OAM 통신 시스템 개념도     메타표면으로 E-band 대역 다중 OAM 모드 발생·검출 UNIST 연구팀이 자체 설계한 메타표면을 활용해 이러한 OAM 신호를 빠르게 판별할 수..

2022.03.22by 배종인 기자

image

과기부·4대 과기원, 반도체 인재양성 논의

반도체 연구개발·인재양성 지원 목표   과기부와 4대 과학기술원이 협의회를 구성하고, 과학기술원의 반도체 교육과정 설계 및 인재양성, 연구개발 방향 등을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제1회 ‘4대..

2022.03.07by 성유창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