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이차전지
image

​엘앤에프, '하이니켈 복합 양극활물질'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

▲인터배터리 어워즈 2025 시상식에서 소재·부품 분야를 수상한 엘앤에프 전상훈 소재개발연구소장(왼쪽)이 코엑스 이동기 사장과 기념사진을 찍은 모습 / (사진:엘앤에프)   니켈 95% 다결정·단결정 혼합 배터리 수명&mi..

2025.02.25by 권신혁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리튬황전지 상용화 난제 극복…UAM·전기차 혁신 기대

▲이번 연구를 진행한 KERI 박준우(왼쪽 4번째) 박사팀   ‘리튬폴리설파이드’ 용출 억제 성공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차세대 리튬황전지의 상용화를 막던 난제를 극복하고, 대면적·고용량 시제품까지 ..

2025.01.20by 배종인 기자

image

KETI, 전고체전지 음극 비싼 은 대체 기술 개발

불화마그네슘 이용 석출형 음극 기술, 성능·수명 향상 석출형 음극 기반 전고체전지의 값비싼 소재였던 은(Ag)을 대체하면서도 성능과 수명을 향상 시킨 소재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전고체 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

2024.12.12by 배종인 기자

image

“이차전지 제조장비 시장, 2030년 50조”

▲글로벌 이차전지 장비시장 규모 분석(단위 : 천만 달러)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 기술 주목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이 2030년 이차전지 제조장비 시장이 50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며, 차세대 기술로 건식 전극 공정..

2024.12.09by 배종인 기자

image

한자연·전기안전公, 전기차·충전 안전 ‘맞손’

  전기차 배터리·충전 인프라 안전 기술 협력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손을 잡고 전기차 안전성과 신뢰성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나선다. 한자연은 5일 전기안전공사와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 인프라 안전 기술 개..

2024.12.06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기연구원, CNT로 이차전지 고용량화 길 열었다

▲KERI 한중탁 박사(앞줄 가운데)를 비롯한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CNT)를 파우더(가루) 형태로 만들어 손쉽게 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CNT 파우더 제조 기술, 건식 공정 적용 가능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응집하려는 성질이..

2024.11.25by 배종인 기자

image

ETRI, 집전체 제거해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20% 높였다

▲(왼쪽부터)김주영 박사, 이윤호 위촉연구원, 최재철 박사 등 ETRI 연구진   분리막 위 전극 직접 도포, 친환경적·가격경쟁력 우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이차전지의 에너지밀도를 약 20% 향상할 수 있는 셀 설계..

2024.11.12by 배종인 기자

image

“반도체 보조금 0원, 韓 첨단산업 보조금 인색”

▲자료 : 한국경제인협회   미중일 경제 안보 차원 수십조 지원 직접 지원 글로벌 공급망 차원 중요 경제안보 차원에서 수십조를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지원하는 미국, 중국,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첨단산업에 대한 보조금에 인색해 국가 ..

2024.10.07by 배종인 기자

image

고용노동부, 리튬·전지 사업장 대상 비상구·소화설비 등 준수 여부 집중 점검

화성 아리셀공장 화재사고 관련 후속 조치 화재·폭발 위험 방지 위한 안전수칙 준수 여부 점검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화성 아리셀공장 화재사고 관련 후속 조치로써 유사 화재·폭발 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에 나선다..

2024.07.10by 성유창 기자

image

[인터뷰]허훈 그랩실 대표이사-“이차전지 음극재 대표기업 될 것”

“이차전지 음극재 대표기업 될 것”   1,300㎃h/g·1,500㎃h/g 제품 개발 완료 생산공정 단순·자동화 시장 경쟁력 갖춰 [편집자주]전기차 산업의 성장으로 이차전지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2024.06.17by 배종인 기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