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전지
전고체전지
image

KETI, 전고체전지 음극 비싼 은 대체 기술 개발

불화마그네슘 이용 석출형 음극 기술, 성능·수명 향상 석출형 음극 기반 전고체전지의 값비싼 소재였던 은(Ag)을 대체하면서도 성능과 수명을 향상 시킨 소재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전고체 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

2024.12.12by 배종인 기자

image

KETI, 전고체전지 보호층 기술로 전기차 화재 막는다

▲리튬 금속 전고체전지 구성 모식도 및 전지 성능평가 결과   배터리 에너지밀도 증가·안전성까지 확보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신희동)이 전고체 전지의 에너지밀도를 증가하면서도 안전성까지 확보한 기술을 개발해 향후 ..

2024.09.10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고체전지 양극·전해질 최적 혼합 찾았다

▲하윤철 박사(왼쪽)를 비롯한 KERI 연구진이 전고체전지용 양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을 최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블레이드 밀’ 장비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전기연구원, 양극활물질에 고체전해질을 코팅한 복합소재 개발 ..

2024.07.29by 배종인 기자

image

“전고체전지 고성능·고에너지 밀도 구현”

▲전극 첨가제 개념도   KETI, 전고체전지 차세대 양극 기술 개발 성공 전고체전지의 고성능, 고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양극 기술이 개발돼 향후 전고체 전지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기..

2024.04.17by 배종인 기자

image

KETI, 단일 입자 기반 전고체전지 양극재 기술 개발

▲(상단 모식도)다입자로 구성된 기존의 양극재(좌)에 비해 단입자 양극재(우)는 여러 금속입자 간 경계 저항을 최소한으로 조성하였기 때문에 리튬 이온의 고속 이동이 가능하다. (하단 그래프)단입자 양극재(SC-NCM-ASSB)는 높은 전류를 사용할수록 다입자(PC-..

2023.07.26by 배종인 기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