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배터리
Battery
image

UNIST, 비용 낮추고 생산성 높인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 개발

1+1 텐텀 구조로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약점’ 보완 가시광선·근적외선 모두 흡수해 효율 상용화 가까워져 국내 연구진이 상용화 분기점인 20%에 가까운 18%의 효율의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

2020.10.23by 김동우 기자

image

​NXP, 폭스바겐 MEB EV 플랫폼에 BMS 솔루션 공급

폭스바겐, 자사 EV 플랫폼 MEB의 BMS로  NXP 솔루션 채택... 상위 16개 업계도 채택 NXP와 폭스바겐이 전기차(EV)의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협업 중이라 밝혔다.  ▲ ​NXP, 폭스바겐 MEB EV 플랫폼에 ..

2020.10.21by 명세환 기자

image

ETRI-DGIST, 새로운 전고체 이차전지 전극 구조 개발

고체 전해질 없이 흑연 활물질로 리튬 이온 전극 구조 설계 성공 기존 대비 에너지밀도 1.5배 높여 15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공동연구팀은 활물질 간 원활한 리튬이온 확산 특성을 규명해 새로운 형태의 전고체 이차전..

2020.10.15by 김동우 기자

image

충전 한 번에 1,000km 달리는 EV 리튬공기전지 개발돼

리튬공기전지 내부 유기물질 세라믹 소재로 대체해 수명 저하 문제 해결... AEM 표지 장식 충전으로 한 번 서울과 부산 간 왕복 거리보다 긴 1,000km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 전지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

2020.10.15by 이수민 기자

image

"전기차 주행거리 확장, 안전한 BMS IC 필요"

BMS, 배터리 모니터링으로 최적의 상태 유지 ST L9963 BMS IC, ISO 26262 ASIL-D 만족 15개 데이지 체인 및 듀얼링 아키텍처 통신 가능 온실가스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내연기관차의 배기가스양을 줄이기 위해 전 세계 ..

2020.10.12by 이수민 기자

image

KAIST, 수명 길고 안전성 높은 수계전지 개발했다

레독스 흐름 전지로 구동 전압, 에너지 밀도 높여 ▲고밀도 탄소 결함 계면을 통한 아연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 기술 개요도 [사진=KAIST]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희탁 교수 연구팀은 5일 가장 긴 수명을 가진 수계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 개발에 성..

2020.10.06by 김동우 기자

image

LS일렉트릭, ESS 화재 차단기술 'BTS' 선보여

광기술로 셀 단위 온도 측정 과열 시 설비 가동 중단 솔루션 개발 셧다운 시 냉방•공조 조정 서비스 제공 ▲LS일렉트릭 청주 스마트공장 ESS 스테이션 전경 [사진=LS일렉트릭] LS일렉트릭은 지난 달 29일 BTS(Battery Tempe..

2020.10.05by 김동우 기자

image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분 취약성 문제 해결됐다

대기 중 수분 흡수한 태양전지, 효율성 크게 저하 UNIST·KIER 공동연구팀, 정공 수송층의 수소를 불소로 바꿔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취약성 해결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에 걸림돌이었던 수분 취약성 문제를 해결한 물질이..

2020.09.25by 이수민 기자

image

물로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높이는 분리막 기술 개발돼

유기물 강유전체 박막에 물 첨가해 실리콘 태양전지 후면 분리막 효율 높여 물을 이용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전지 효율을 올리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최경진 교수팀은 16일, 실리콘 태양전지의 후면 분리..

2020.09.17by 명세환 기자

image

ADI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GM 전기차에 적용된다

ADI, 업계 최초의 무선 BMS 출시 배선 90%, 배터리 팩 부피 15% 줄여 GM 얼티엄 배터리 플랫폼 탑재 EV에 적용 아나로그디바이스(ADI)가 14일,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wBMS)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 ADI, 전기차용 무선 배터..

2020.09.14by 명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