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
센서(sensor)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리량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자부품이다.
image

자율주행 첫걸음, '악천후에 강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원리

| 자율주행, 자동차 OEM들의 궁긍적 목표 | 레벨 3 자율주행차량, 아직 상용화 모델 없어 | 레이더, 여러 기상 악조건에서도 물체 인식 우수 자율주행차량은 자동차 OEM들의 궁극적인 목표다. 기존 기계적 부품들로는 자율주행이 불가능하다. 기계만 있는..

2019.07.08by 이수민 기자

image

광음향분광법 기반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출시

| 센시브 PAS210, 광음향분광법 기반 센서 | MEMS 마이크로폰을 감지기로 사용 | 실내 공기질 측정 IoT 디바이스에 적합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측정하는 초소형 센서가 출시됐다. 인피니언 센시브 PAS210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4일..

2019.07.07by 명세환 기자

image

인피니언, 고정밀 디지털 터보 MAP 센서 출시

| KP276, 고정밀 디지털 터보 MAP 센서 | 엔진 매니폴드 공기압 측정에 적합 | 10ms NTC 스타트업 시간   매니폴드 절대압력(Manifold Absolute Pressure; MAP) 정보는 엔진으로 제공되는 공기-연료 비율을 계산하기 ..

2019.07.05by 이수민 기자

image

​SKT, 상암 DMC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공개

| 서울 상암 DMC에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 자율주행 페스티벌에서 5G 교통 기술 첫 선 | 앞선 차량 영상으로 경로 예측하는 기술 선봬   SK텔레콤이 서울특별시와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에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공개한다. SK..

2019.06.24by 이수민 기자

image

인피니언, 'ASIL D 만족' 모노리틱 리니어 홀 센서 출시

| ISO26262, 한 부품 결함에도 시스템 작동해야 | ASIL D 만족 결함 허용 시스템 개발 가능 | 개별적인 홀 소자를 통합 모노리틱 디자인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자동차용 안전 표준 ISO26262를 충족하는 단일 집적 선형 홀 센서를 출..

2019.06.21by 이수민 기자

image

KETI, 압전 에너지하베스팅용 광대역-초소형 전력변환회로 개발 "IoT 시장 활성화 기여할 것"

| 배터리 정기교체 필수인 IoT 센서에 필요 기술 | 저전력, 고효율 특성으로 진동, 마찰, RF 등 | 다양한 에너지하베스팅 분야에 적용 가능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프랑스 남파리대학(UPSUD)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별도의 알고리즘 없이 다..

2019.05.22by 이수민 기자

image

삼성전자, 초소형 0.8㎛ 픽셀 이미지센서 2종 공개

| 초소형 픽셀 적용, 작은 크기로 고품질 촬영 가능 | 아이소셀 +, 테트라셀, DCG, 슈퍼 PD 기술 적용 | 멀티 카메라, 풀 스크린 등 최신 트렌드 구현 최신 모바일 기기는 전면을 스크린으로 가득 채운 풀 스크린과 여러 개의 카메라를 탑재한 멀티 카메..

2019.05.10by 이수민 기자

image

마이크로칩, 오토모티브 반도체 시장 4대 성장 요인 선정하고 대응 전략 발표

| 오토모티브 반도체 시장 성장 4대 요인 선정 | 전기화,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사이버 보안 | 차내 모든 노드에서 보안 구현할 것   전장화가 가속화되면서 자동차는 이제 바퀴 달린 컴퓨터가 되었다. 그리고 점점 더 많은 칩을 요구하고 있다. &..

2019.05.09by 이수민 기자

image

LG이노텍, 3D 센싱 모듈 브랜드 '이노센싱' 런칭

| 혁신 기술로 고객에 최고의 극적 경험 제공할 것 | 3D 센싱 모듈 및 모듈 적용 완제품에 사용 | 브랜드 앞세워 선도 기업 입지 확보 LG이노텍이 1일, 3D 센싱 모듈 브랜드인 ‘이노센싱(InnoXensing)’을 런칭했다.&nbs..

2019.05.04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나노결정 소재 메타물질 완전흡수체 개발 성공 "반사형 디스플레이, 보다 선명해진다"

| 빛 흡수대역 10배 넓혀 반사 색상 더욱 선명 | 반사형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등에 응용 | 용액 공정으로 유연한 기판도 쉽게 제작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ETRI) 나노결정 기반 광대역 메타물질 완전흡수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나노결정 용액과 은 ..

2019.04.24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