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4ds+ 멤버십

Sign up for e4ds+ membership and experience premium paid articles

You can use paid webinars, conferences, conference review content, etc.
at a special membership discount price.

전체기사 315건
  • “그린수소 플랜트 디지털 트윈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

    2025.08.25by 배종인 기자

    청정수소 확대에 있어 핵심적인 수소 균등화 비용을 낮추기 위한 기술, 경제적 최적화를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이 시장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 임의철 SK하이닉스 부사장, “AI 시대의 병목을 푸는 열쇠 ‘PIM’”

    2025.08.20by 배종인 기자

    임의철 SK하이닉스 부사장이 ‘2025년 제2회 상생포럼 Deep Tech Convergence 네트워킹 데이’ 행사에서 ‘Crushing the token cost wall of LLM Service-Attention offloading with PIM-GPU het..

  • 인텔, 국가안보·거버넌스·기술경쟁 삼중고…오하이오 팹 분수령 될까

    2025.08.19by 배종인 기자

    미국 정부가 인텔(Intel) 지분 투자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지지부진했던 오하이오 ‘실리콘 하트랜드’ 팹 건설에 급물살이 붙을지 주목된다.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립부 탄 인텔 CEO가 회동한 직후 부상한 카드로, 지분·선구매·대출·민간자본을 결합..

  • “게임 산업, 비용 부담·경쟁 속 ‘AI’ 해법 급부상”

    2025.08.05by 배종인 기자

    옴디아(Omdia)가 최근 발표한 게임 테크 혁명(The Games Tech AI Revolution)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비용·경쟁·인력 문제에 직면한 게임 산업이 이제 AI를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 기술, AI 탑재·개인화 필수”

    2025.08.04by 배종인 기자

    옴디아(Omdia)·Canalys는 최근 ‘한눈에 보는 소비자 기술 트렌드 2025’ 보고서를 발표하고, 2025년 소비자 기술 시장이 수익화 전략의 다변화, AI·서비스 통합, 전략적 파트너십을 축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정교한 전자 장치의 설계·통합 必”

    2025.07.23by 배종인 기자

    수소에너지는 깨끗하고 풍부하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전자 장치의 설계와 통합이 필수적이다.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주요 구성인 양성자 교환막(PEM) 연료전지는 셀 스택 내부에서 저전압·고전류의 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다양한 기기에 활용..

  • “자율주행의 미래, 반도체 기술에 달렸다”

    2025.07.23by 배종인 기자

    오늘날 자동차 산업은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능의 확산은 자율주행 시대를 향한 본격적인 전환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반도체 기술이 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

  • “온디바이스 AI, 경량화된 AI 모델·시스템 소프트웨어 스택·AI 하드웨어 3박자 맞아야”

    2025.07.21by 배종인 기자

    권진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온디바이스 AI 연구본부 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 주최로 개최된 ‘2025 임베디드 AI 트렌드 포럼’에서 ‘사족로봇 가이드독 사례로 살펴보는 ..

  • “韓 피지컬 AI 대규모 투자 통한 핵심 기술 자립 必”

    2025.07.21by 배종인 기자

    이해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 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 주최로 개최된 ‘2025 임베디드 AI 트렌드 포럼’에서 ‘Physical AI 개발 동향 및 관련 정책 시..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