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로 검색하여 544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입는 로봇 나온다" 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안전 입증

개인용 서비스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다르게 일상생활에서 사람과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요구된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인 GEMS Hip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으로부터 국제표준인 ISO 13482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2020.09.21by 명세환 기자

에이디링크, 자율이동로봇에 적합한 ROS 2 컨트롤러 출시

에이디링크는 첨단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실시간 ROS 2 로봇 컨트롤러로 ROScube-X 시리즈를 출시했다. ROScube-X 시리즈는 엔비디아 젯슨(Jetson) AGX 자비에(Xavier) 모듈로 구동한다. 해당 모듈에는 첨단 로봇 시스템에 적합한 엔비디아 볼타 GPU, 듀얼 딥 러닝 가속기와 함께 GMSL2 카메라 커넥터와 같은 여러 인터페이스가..

2020.06.16by 이수민 기자

턱스크·입스크 가려내는 5G AI 방역 로봇 실증 시작

LG유플러스와 퓨처로봇과 넷온이 5G 기반 AI 방역 로봇 사업 MOU을 체결했다. 3사가 개발하는 5G 방역 로봇은 자율주행으로 건물 내부를 이동하며, 얼굴 인식과 온도측정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온을 확인한다. 다중얼굴인식 기술이 적용되어 최대 10명의 얼굴까지 동시에 인식하며, 0.3초 이내로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딥러닝 기반 분석을 통해 ..

2020.09.04by 명세환 기자

로옴, 광원과 구동 소자 통합한 VCSEL 모듈 기술 개발

로옴이 공간 인식 및 거리 측정 시스템의 정밀도를 높이는 고출력 VCSEL 모듈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채용한 VCSEL 모듈은 모바일 기기의 얼굴 인증 시스템이나 산업용 무인 운반 로봇 등에 적합하며, 2021년 3월에 첫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2020.09.02by 이수민 기자

튼튼하고 유연한 소프트 로봇, 3D 프린터로 만든다

소프트 로봇을 만들 때 재료 자체의 부드러운 특성에만 의존하면 복잡한 로봇의 구동 시스템을 구현하기 힘들다. 이에 UNIST 김지윤 교수팀은 텐세그리티 구조를 다양한 소프트 로봇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 제작방식을 개발했다.

2020.08.27by 이수민 기자

5G 기반 자율주행 로봇으로 공장 순찰 및 물류 자동화

LG유플러스와 언맨드솔루션이 자율주행 로봇사업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순찰·물류·방역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실외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언맨드솔루션이 보유한 자율주행 로봇에 LG유플러스의 영상분석 솔루션, 가스감지 IoT 센서 등 산업 솔루션과 통신 기술이 융합할 계획이다.

2020.08.06by 명세환 기자

자율주행 로봇에 5G 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술 접목된다

SK텔레콤은 4일, 로보티즈와 ‘5G MEC 기반 자율주행 로봇 개발 및 사업화 공동협력 업무 협약’을, 우아한형제들과 ‘5G MEC 및 스마트 로봇 기반 사업 협력’을 체결했다. 이번 두 협력을 바탕으로 SK텔레콤은 산업 및 물류 현장에서 활용될 자율주행 로봇에 5G MEC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2020.08.05by 명세환 기자

자화 형태 재설계 가능한 자성 스마트 소재 개발됐다

UNIST 신소재공학부 김지윤 교수팀과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권민상 교수팀이 자화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자성 스마트 소재를 개발했다. 개발된 소재는 유연성도 갖춰 의공학, 유연 전기소자, 소프트 로봇 등 가변 구조형 스마트 소재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전망이다.

2020.08.03by 이수민 기자

LG전자-KIRIA, 산업용 자율주행 로봇 안전성 높인다

LG전자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모바일 매니퓰레이터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는 인간의 팔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직 다관절 로봇과 자율주행 로봇이 결합한 것으로, 공장 내 생산 라인 등을 스스로 이동하면서 부품 운반, 제품조립, 검사 등 각종 공정을 수행한다.

2020.06.30by 이수민 기자

코그넥스, 일체형 산업용 비전 센서 얼라인사이트 공개

코그넥스가 비전 가이드 모션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일체형 솔루션인 얼라인사이트 얼라인먼트 센서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얼라인사이트는 비전 가이드 로봇 및 스테이지 얼라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비전 센서 솔루션으로, 전자 하드웨어 산업에서 로봇 픽앤플레이스, 머신 텐딩, 스테이지 모션을 쉽고 빠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2020.06.17by 이수민 기자

KT, 현대로보틱스와 손잡고 지능형 로봇 사업 키운다

KT는 현대로보틱스와 전략적 제휴를 위한 사업협력 계약과 500억 원 규모의 투자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KT는 현대로보틱스의 지분 10%를 확보하게 됐다. 양사는 이번 계약에 따라 지능형 서비스 로봇 개발, 자율주행 기술 연구, 스마트팩토리 분야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KT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과 자율주행 기술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적용을, ..

2020.06.17by 명세환 기자

무선 로봇 충전 솔루션에 적합한 레귤레이터의 조건은

로봇 차량이 물류, 배송 및 검사 산업에서 널리 쓰이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충전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위보틱 TR-110 무선 충전 스테이션은 다자간 작동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여러 제조업체가 동일한 송신기에서 각기 다른 시간에 충전할 수 있다. 바이코는 이 솔루션에 48V VI Chip PRM 레귤레이터를 공급했다.

2020.06.05by 명세환 기자

SKT, 오므론과 5G·AI 탑재 코로나19 방역로봇 선봬

SK텔레콤과 한국오므론제어기기가 코로나19 방역 로봇을 개발했다. 방역로봇에는 5G, AI 등 ICT 기술과 로봇 자율주행, IoT 센싱 등 공장 자동화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양사는 이번에 개발한 코로나19 방역로봇을 자사 시설에 우선 도입 후 2020년 하반기에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2020.05.27by 이수민 기자

제조업 및 서비스 산업에 로봇 1,500대 보급 추진

올해에만 제조업 및 4대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1,500대의 로봇이 보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공고했다. 실행계획에 따라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등이 이뤄진다.

2020.05.03by 이수민 기자

온로봇, 피킹 공정 로봇 팔용 2.5D 비전 시스템 출시

온로봇이 2.5D 비전 기술을 갖춘 아이즈 비전 시스템을 출시했다. 아이즈 비전 시스템은 기존 비전 시스템과 달리 부품을 측정하고 인식하기 위해 이미지를 한 번만 찍으면 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로 다른 거리에서 작업할 수 있는 자동 포커스 기능도 가지고 있다. 2.5D 비전 기술로 깊이 인식 기능도 갖추고 있다.

2020.04.17by 이수민 기자

온로봇, 딸기도 짚는 EOAT "소프트 그리퍼" 출시

온로봇의 소프트 그리퍼는 교체 가능한 3개의 실리콘 주형 컵과 4개의 핑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2.2kg 이하의 물건을 섬세하고 정교하게 집어낼 수 있다. 또한, 사용 컵에 따라 10-118mm 크기의 그립 범위를 제공한다.

2020.04.08by 이수민 기자

IRS글로벌, 스마트제조공장의 시장·기술 동향 보고서 발간

IRS글로벌이 스마트제조·스마트공장의 시장·기술 표준화 분석과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스마트공장 실현을 위해서는 IoT, AI, 빅데이터, 제조용 로봇기술, CPS 등의 기술을 필요로 하며 첨단 기술을 활용해 연계시키면서 공장을 운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2020.03.20by 최인영 기자

선댄스, 자일링스 SoC 기반 ROS 지원 플랫폼 출시

자일링스 얼라이언스 파트너인 선댄스 멀티프로세서 테크놀로지가 VCS-1 플랫폼을 출시했다. VCS-1은 깃허브 오픈소스를 적용한 징크 MPSoC 솔루션과 산업 표준 PC/104 폼 팩터에 기반한 상용제품 솔루션으로, 모든 ROS 지원 로봇을 제어하고 처리할 수 있다.

2020.03.16by 이수민 기자

로봇·드론·VR 등 ICT 기술 국방에 적극 활용한다

로봇, 드론, 3D 프린팅, AR, VR, MR 등 4차 산업 핵심기술을 국방 분야에 적극 활용하고자 과기부, 산업부, 방사청 등 14개 부처가 올해 총 1,772억 원을 투자한다. 웨어러블 로봇 개발을 비롯해 정찰드론, 정보수집 글라이더 등을 개발한 후 국방 실증을 거쳐 민간 활용을 위해 시범 추진을 확대하는 동시에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한다.

2020.03.04by 최인영 기자

서비스 분야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가능 업종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민간 R&D 활성화 및 기업부설연구소 관련 규제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개정·공포했다. 이번 기초연구법령 개정에 따라 오픈형 부동산 플랫폼 같은 부동산업, 배달앱 서비스나 무인 배달 로봇 같은 음식업 등의 서비스 분야 R&D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2020.03.03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