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로 검색하여 1186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 LG이노텍, 블루투스·초광대역 통신 디지털키 본격 공략

    2024.07.22by 배종인 기자

    LG이노텍(대표 문혁수)이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NFC(Near-Field Communication, 10cm 이내 근거리 무선통신) 및 UWB(Ultra Wideband, 초광대역) 등 근거리 통신 기술이 모두 탑재된 최첨단 ‘디지털키(Digital Key) 솔루션’을 앞세워, 차량용 통신부품 시장 공략에 드라..

  • 이통3사-RAPA, 중소기업 5G IoT 개발 맞손

    2024.07.08by 김예지 기자

    SKT는 KT, LGU+,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통신망 연동 5G IoT 제품을 개발하는 중소제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5일에 한국전파진흥협회 목동사옥에서 체결식이 진행됐다.

  • LG전자, 공감지능(AI) 로봇 ‘클로이’ 월 66만원 구독 서비스 시작

    2024.07.01by 김예지 기자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 로봇 시장은 지난 2022년 기준 약 1조 원 규모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0%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LG전자가 구독경제 트렌드에 맞춰 AI 로봇 솔루션 ‘클로이’를 경험하도록 구독 서비스를 시작했다.

  • 인피니언, 20% FoM 성능 더 우수한 GaN 제품군 출시

    2024.07.01by 배종인 기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가 시중의 다른 GaN(갈륨나이트라이드, 질화갈륨) 제품 대비 입력 및 출력 FoM(figures-of-merit)이 20% 더 우수한 가성비 있는 새로운 CoolGaN™ 트랜지스터 700V G4 제품군을 새롭게 선보이며, 컨슈머 전원 장치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장한다.

  • LG이노텍, 차량 센싱 솔루션 2030년까지 2조 사업 육성

    2024.06.24by 배종인 기자

    LG이노텍이 세계 최고 수준의 광학솔루션 원천기술을 미래 모빌리티 분야로 확대 적용해, 차량 센싱 솔루션 사업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

  • LG전자, 전기차 충전사업 글로벌 확대

    2024.06.19by 배종인 기자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북미 1위 전기차 충전사업자(CPO, Charge Point Operator)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사업의 글로벌 확대에 속도를 낸다.

  • ETRI, CDMA 상용화 기술 IEEE 마일스톤 최초 등재

    2024.06.17by 배종인 기자

    세계적 권위의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가 주관하는 마일스톤(Milestone)에 1996년 세계에서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기술이 등재됐다. CDMA사업은 ETRI가 사업을 주관하고,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전자, 맥슨전자, SKT가 공동연구에 참여했다.

  • SKT, 글로벌 ICT 노벨상 IEEE 마일스톤 선정…“CDMA 상용화 공헌 이어 AI 시대 개척할 것”

    2024.06.11by 김예지 기자

    SKT는 10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LG전자와 함께 한 1996년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대규모 상용화가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가 선정하는 ‘IEEE Milestone(이정표)’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 LG에너지솔루션·ADI, 배터리 관리 토털 솔루션 맞손

    2024.06.05by 배종인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ADI(Analog Devices, Inc., 아나로그디바이스)가 배터리 관리 토털 솔루션(BMTS)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에 나섰다.

  • 인피니언, 8인치 파운드리 공정 기반 CoolGaN™ 트랜지스터 제품군 출시

    2024.06.04by 성유창 기자

    향후 5년간 46%의 연평균 성장률(Yole Group 전망)로 성장이 예상되는 GaN 디바이스 시장에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CoolGaN의 강점과 생산 용량을 더욱 확장할 것이라 밝혔으며, 이 계획의 일부인 새로운 CoolGaN 제품군을 선보인다.

  • 대량문자 전송 사업 인증받아야 가능

    2024.06.03by 배종인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가 6월1일부터 ‘대량문자전송사업자 전송자격인증제‘를 본격 시행한다. 전송자격인증제란 인터넷망을 이용해 대량의 문자전송서비스를 제공하는 △KT △LGU+ △SKB △CJ올리브네트웍스 △다우기술 △인포뱅크 △스탠다드네트웍스 △슈어엠 △젬텍 같은 문자재판매사업자가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문자중계사업자로부터 전송자격인증을 받아야만 광..

  • 차 안에서 유튜브 즐긴다…LG전자, 차량용 webOS 전기차로 확대

    2024.05.27by 성유창 기자

    LG전자가 차량용 webOS 콘텐츠 플랫폼(ACP, Automotive Content Platform) 고객을 내연기관을 넘어 전기차까지 확대하고,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12종으로 확 늘려 모빌리티 영역에서 새로운 고객경험을 제공한다.

  • LG유플러스, 1Q 영업익 전년比 15% ↓…새로운 AX 슬로건 내건다

    2024.05.20by 김예지 기자

    LG유플러스가 17일 지난 1분기를 돌아보고 향후 사업 방향성과 계획을 직원들과 공유하는 온라인 성과공유회를 열었다. 성과공유회에서는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 ‘Growth Leading AX Company’(AI 전환으로 고객의 성장을 이끄는 회사)를 공개했다.

  • LG전자, 2년간 51만2,000톤 폐배터리 수거…새 배터리 10만개 제조 가능

    2024.05.07by 성유창 기자

    LG전자는 7일 한국환경공단·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경남 창원 LG스마트파크2에서 ‘소형 2차전지 수거·재활용 업무협약’을 맺었다.

  • LG유플러스·카카오모빌리티, 전기차 충전사업 승인 시장 확대 시너지 낸다

    2024.04.30by 성유창 기자

    국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대수의 1%를 차지하는 LG U+와 전기차 충전 플랫폼 시장에서 중개건수 기준 약 16%를 차지한 카카오모빌리티의 시너지가 발휘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 LG엔솔, 1Q 영업이익 1,573억원…전년 比 75% 하락

    2024.04.26by 성유창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25일 실적설명회에서 올해 1분기 매출 6조1,287억원(전년 동기 8조7,471억 대비 29.9% ↓), 영업이익 1,573억원(전년 동기 6,332억 대비 75.2% ↓)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LG유플러스-퀄컴, 오픈랜 ‘기지국 지능형 컨트롤러’ 검증

    2024.04.25by 김예지 기자

    LG유플러스는 퀄컴(Qualcomm Technology, Inc.)와 함께 오픈랜(Open-RAN, 개방형 무선접속망)의 핵심 기술인 '기지국 지능형 컨트롤러(RAN Intelligent Controller; RIC)'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증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이통3사 5G 전국망 구축 완료

    2024.04.19by 김예지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농어촌 5세대(5G) 공동이용 계획’의 마지막 3단계 상용화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 중기부, 온디바이스 AI 킬러 앱 개발에 스타트업·LG전자 맞손

    2024.03.21by 권신혁 기자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AI 반도체를 활용해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디바이스 내에서 빠르게 AI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가 큰 화두로 떠올랐다. AI 디바이스의 출현과 동시에 킬러 앱에 대한 시장 니즈가 큰폭으로 증가해 개화기로 평가되는 온디바이스 AI 시장에서 스타트업들에게 기회의 장이 열리고 있다.

  • 삼성·LG, 올인원 세탁건조기 출시…AI 가전 격돌

    2024.02.29by 김예지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합친 일체형 가전을 출시했다. 각 기업은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탑재한 똑똑한 가전 기능을 앞세우며 AI 가전 시장 선점에 나섰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