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중요해지면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열린 K-Display 2024에서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품과 콘셉트를 표방하는 다양한 전시품들이 공개돼 이목을 끌었다.
2024.08.16by 권신혁 기자
디스플레이 기술은 데이터와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서 정보를 빛으로 구현하며 디바이스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빛의 기술에 혁신을 이끄는 머크의 재료 솔루션들이 대거 공개되며 눈길을 끌었다.
2024.08.14by 권신혁 기자
UNIST(총장 박종래) 기계공학과 신흥주 교수팀과 전기전자공학과 김재준 교수팀이 나노공정과 딥러닝 기술을 결합해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자코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며, 향후 공기질 모니터링, 건강 진단, 식품 안전, 환경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2024.08.13by 배종인 기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업계 최초 포스트 양자 암호화(PQC)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을 13일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키사이트 인스펙터에 추가돼 디바이스 및 칩 공급업체가 하드웨어 취약성을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4.08.13by 김예지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 바이오·헬스재료연구본부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침, 점액, 소변 등 체액 내 암 대사체의 광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암을 진단하는 혁신적인 센서 소재를 개발했다.
2024.08.12by 배종인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이 지난 3년간 국가 소재산업 기업지원을 위해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소재 기업들의 성장 기반 강화에 크게 이바지했다.
2024.08.08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박종래) 전기전자공학과 권지민 교수, 이용우 박사는 POSTECH(총장 김성근) 신소재공학과 정성준 교수와 함께 폴리머 쇼트키 다이오드의 안정성을 오래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의 수분과 산소에 의한 다이오드 성능 저하 문제를 극복한 것이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와 6일 ‘방위산업 및 ICT·AI 기반 우주 분야 산학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024.08.07by 배종인 기자
반도체 및 첨단 웨이퍼 레벨 패키징(WLP)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웨이퍼 처리 솔루션 전문 기업인 ACM 리서치(ACM Research, Inc.)가 진공 기술과 IPA 건조 기술을 활용해 세정 효율을 높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반도체 첨단 패키징을 구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