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시리즈'에서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 AI를 기반으로 실시간 통역 등 새로운 AI 기능을 선보였다.
2024.01.18by 김예지 기자
이통3사의 전국 5G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면적이 국토면적의 75%를 육박했다. 5G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3사 평균 939.14Mbps로 작년 대비 4.8% 향상됐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SKT가 꾸준히 필요성을 요청해오고 있는 3.7~3.72GHz(20MHz폭) 대역..
2024.01.03by 김예지 기자
한국반도체연구조합이 19일 엘타워에서 개최한 ‘2023 센서기업 CEO 포럼’에 따르면 미래 무기체계가 무인화, 지능화되면서 고성능 센서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첨단 이차전지 분야에서도 생산 및 사용상의 안전을 위해서 센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
2023.12.20by 배종인 기자
인텔이 NPU를 장착한 초저전력 프로세서로 인공지능(AI) 결과물을 누구나 산출할 수 있는 ‘인텔ⓡ 코어™ Ultra 노트북용 프로세서 제품군’을 출시하며, AI PC 시대를 열었다. 또한 모든 코어에 AI 가속기를 내장해 총소유비용(TCO)을 절감한 5세대 인텔ⓡ 제..
2023.12.18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브이터치, ㈜제이랩, ㈜제이비랩 등과 공동연구·개발한 ‘공간 리얼 홀로그램 버튼 기반 비접촉 터치 기술’이 내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2024 소비자가전전시회(CES) 혁신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2023.12.07by 배종인 기자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산업이 2023년 1월부터 10월까지 193억달러, 총 수출의 3.7% 규모를 담당하는 주력 산업인데도 불구하고 산업분류체계에서는 전동화, 지능화 등 최근 자동차 산업의 기술적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2023.12.06by 성유창 기자
국내 시스템반도체 발전에 정부가 두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가운데 초격차 스타트업이 한데 모여 성과 및 현안을 공유하고 미래 발전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3.12.01by 권신혁 기자
전기차 등 미래차에서의 전장품 탑재 증가로 고집적화 되고 있는 추세에 노이즈 이슈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선제적인 EMI/EMC 대응과 대책 설계가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큰 이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e4ds Analog Day 세미나에서 이와 관련된 ..
2023.11.30by 권신혁 기자
조셉 가르시아 수세소프트웨어솔루션즈(SUSE) 아시아/태평양 총괄 사장이 한국을 방문해 기존 한국 고객사들을 챙기고, 향후 한국에서 3년간 두 배 이상의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2023.11.17by 배종인 기자
사피온 류수정 대표는 "X220의 장점을 극대화한 X330으로 AI 서비스 모델 개발 기업 및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전략이다"며, "산업 전분야에서 AI 반도체 활용도를 높여 고도의 AI 기술을 누구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모두가 첨단 ..
2023.11.16by 김예지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상진) 이상민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액티브 에너지 교환기술을 개발하고,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건물 옥상에 면적 200㎡ 규모의 옥상 온실을 실증하는데 성공했다.
2023.11.14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정보·전자, 융합, 에너지·환경 등 분야에서 총 11건의 연구성과가 선정되며, 최근 5년 연속 가장 우수한 연구성과를 많이 배출한 연구기관으로 연구원이 이름을 올렸다.
2023.11.14by 배종인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의 이차전지 및 나노 3D프린팅 분야 성과가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그 중 전고체 이차전지 분야는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하는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중 12개만 선정된 최우수 성과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
2023.11.13by 배종인 기자
한국재료연구원이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제2재료연구원 부지에서 소재 실증연구 인프라 구축과 산학연 협력 및 이를 기반으로 지역산업 발전을 목표로 하는 ‘첨단소재 실증연구단지 1단계 조성 착공식’을 개최했다.
2023.11.10by 배종인 기자
소규모의 유지보수·안전 인력 대비 관할·담당 범위가 넓은 경우, 인력 기반 모니터링은 사각지대가 다수 존재할 수밖에 없다. 광범위한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부서의 경우 휴먼 에러가 필연적으로 발생해 이를 커버할 수 있는 솔루션의 요구가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
2023.10.13by 권신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