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AI 보안 인더스트리 4.0 자동차 스마트 IoT 컴퓨터 통신 특수 가스 소재 및 장비 유통 정책 e4ds plus

드론 배터리 충전하는 드론 스테이션, 전국 구축된다

기사입력2020.04.12 09:02

LG유플러스-일본 KDDI-대만 CIRC
올해 말까지 드론 기체, 스테이션과
스마트드론 플랫폼 연동 완료 계획



전국 곳곳에 드론 전용 배터리 충전소가 생기고, 드론도 전기차처럼 자유로운 배터리 충전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게 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12일, 일본 KDDI, 대만 CIRC(Coretronic Intelligent Robotics Corporation)와 ‘스마트드론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3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스마트드론 플랫폼의 확장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드론 스테이션 연계 스마트드론 서비스 개념도
[그림=LG유플러스]

스마트드론 플랫폼은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LTE·5G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등 단말기와 관제센터에 중계한다. 또 드론의 상태정보, 비행계획, 비행경로, 임무수행 등을 LTE·5G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CIRC는 6~8Kg의 경량 드론과 드론 스테이션을 상용화했다. CIRC가 제조하는 ‘드론 스테이션’은 원하는 지점에서 드론의 배터리를 자동 충전할 수 있는 장치다. 드론 스테이션을 통해 저가의 경량 기체로도 장시간 비행이 가능해져 드론의 활용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드론을 도입하기 위한 비용 부담도 낮아진다.
CIRC가 개발한 드론 스테이션 [사진=CIRC]

3사는 올해 연말까지 드론 기체 및 스테이션과 스마트드론 플랫폼의 연동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실증과 함께 다양한 사업 기회를 발굴할 계획이다. 드론을 활용한 ▲대형 화재, 지진 등 각종 재난 발생 시 신속한 현장 확인 ▲대규모 산업단지 등 시설물 관리를 위한 관제 서비스의 보급이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LG유플러스와 KDDI는 지난해 6월, 도쿄에서 열린 ‘KDDI 5G SUMMIT 2019’에서 스마트드론 플랫폼 공동개발하는 데 합의했다.

양사는 △드론 자동 제어를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공동 사용 △드론시스템교통관리체계(UTM)와 항공교통관리체계(ATM)간 인터페이스 공용화 추진 △안전비행을 위한 드론 주변기기의 공동개발 △LTE·5G 통신 연계를 위한 모듈 및 보드 공용화 등에 협력 중이다.
이수민 기자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