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철수·매각 가시화
화웨이 폰 출하량 41% 급감에 BBK 약진
삼성전자-애플, 본격적인 5G 경쟁 전개
새해 벽두부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 가닥, 미국 제재에 따른 화웨이 리스크 확대, 오포-비보-리얼미 등 BBK 계열 중국 업체들의 약진, 삼성전자와 애플 간의 5G 스마트폰 경쟁 등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 영욕의 세월 끝내려는 LG전자 MC 사업본부
지난 1월 20일 오전,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C(Mobile Communications) 사업본부의 정리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몇몇 언론을 통해 흘렀다. 오후가 되자 LG전자 최고경영자(CEO) 권봉석 사장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업 운영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라며 매각 가능성을 인정했다.
2000년대 초중반, ‘초콜릿폰’, ‘샤인폰’, ‘프라다폰’ 등의 피처폰으로 휴대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 LG전자였으나,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같은 경쟁사 대비 비교적 늦게 진입하면서 오늘날까지 열세를 보였다.
LG전자 MC 사업본부는 2015년 2분기 이후부터 2020년 4분기까지 23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2020년 말까지 누적 영업적자는 5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속 적자행진에도 LG전자는 2019년, 국내 생산을 중단하고 베트남으로 공장을 이전하며 제조업체개발생산(ODM) 비율을 높이는 등 사업 구조 개선과 원가절감 등을 통해 자구책 마련에 매진했다.
하지만 프리미엄 시장에선 애플과 삼성전자에 밀려 존재감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중저가 시장에선 중국 화웨이, 샤오미 등에 밀려 고전했다. 지난해 일명 매스 프리미엄 폰인 ‘LG 벨벳’을 선보이면서 라인업에 변화를 꾀하고, ‘T’자 형태의 듀얼 스크린 폰인 ‘LG 윙’ 등의 새로운 폼팩터의 스마트폰을 선보였으나 시장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 업계에선 LG가 사업부 매각 전 몸값을 띄우려 CES 2021에서
롤러블 폰을 공개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는 CES 2021에서 짧게 공개한 ‘LG 롤러블’ 폰을 이르면 올해 1분기, 늦어도 상반기 중에 출시할 계획이지만, 이후 다른 전략폰 개발은 불투명한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에서는 LG전자의 MC 사업본부 분할매각, 대폭적인 사업 축소, 타 사업본부와 병합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대두됐다. 현재 미국 구글, 독일 폭스바겐, 베트남 빈스마트 등이 인수 의향을 밝힌 것으로 파악된다.
◇ 화웨이 스마트폰 출하량 41% 급감, BBK 약진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4분기 화웨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3,300만 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감소했고, 시장 점유율은 8%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화웨이는 삼성전자와 애플은 물론 중국 내 경쟁사인 샤오미, 오포, 비보 등에 밀려 세계 1위에서 6위 업체로 추락했다. 미국의 제재로 인해 안드로이드 OS의 사용이 금지된 것은 물론, 미국 기술로 생산한 반도체를 구매할 수 없게 되면서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1월, 화웨이는 자사의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 ‘아너(Honor)’를 선전시가 운영하는 즈신 뉴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Zhixin New Information Technology)에 매각하는 등 사업재편을 통해 스마트폰 사업 회복에 집중하고 있다.
▲ 미국의 전방위적인 제재로 화웨이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세계 1위에서 6위로 곤두박질쳤다 [이미지=e4ds 뉴스]
일각에선 화웨이가 자사 프리미엄 스마트폰 브랜드인 ‘P’ 시리즈와 ‘메이트’ 시리즈를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보도가 있었으나 화웨이 측은 이를 부인했다.
한편, 오포, 비보, 리얼미 등 중국 부부가오(步步高; BBK) 그룹 산하 3개 스마트폰 회사의 2020년 출하량(2억6,270만 대)은 삼성전자(2억5,570만 대)를 넘어서며 약진했다.
오포와 비보는 화웨이와 샤오미의 틈새시장을 노려 중국 지방 도시를 집중적으로 공략해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오포가 여성을 대상으로 중저가 시장을, 비보가 남성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노리는 이원화 전략을 구사했고, 오늘날의 성과를 거뒀다.
3사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지문인식 기능, 화면 아래 전면 카메라를 배치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을 선제적으로 채택하는 등 기술력을 빠르게 높여가며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삼성전자, 애플을 빠르게 추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전자-애플, 5G 스마트폰 시장 1위 경쟁 치열
2020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출하량 2억 5,570만 대, 시장 점유율 19%로 1위를 수성했으나 하반기 애플의 거센 추격으로 근소한 격차를 유지했다. 삼성전자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2019년(2억9,690만 대) 대비 14% 줄어 시장 점유율 19%에 그쳤지만, 애플은 3% 증가하며 15%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제 양사의 점유율 격차는 4%P에 불과한 상황이다.
중저가 시장에서 중국 업체와 경쟁 심화, 애플의 5G 스마트폰 출시와 흥행 등이 삼성전자의 1위 자리를 위협하면서 선두 다툼이 격화하고 있다. 2021회계연도 1분기(2020년 10~12월) 아이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증가한 656억 달러(약 73조 원)를 기록했으며, 이는 역대 최대치로 애플 매출의 59%를 차지했다.
▲ 싱가포르에서 열린 갤럭시 S21 출시행사에 참석한
현지 기자가 제품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올해 1월, 삼성전자는 ‘갤럭시 S21’ 시리즈를 한국을 포함한 북미, 유럽, 동남아, 인도 등 전 세계 60개국에 1개월 정도 조기 출시하며 ‘아이폰 12’ 시리즈 견제에 나섰다. 또한, ‘갤럭시 Z 플립’ 라인업을 강화하여 보급형 폴더블폰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고, 중저가 5G 스마트폰 등으로 점유율을 늘릴 계획이다.
애플 역시 아이폰 12 시리즈 효과를 앞세워 5G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폴더블 시제품 개발에 나서는 등 폼팩터 혁신에도 가세할 전망이다.
◇ 다시 시작된 양강 시대, BBK 비상 경계해야
LG전자의 퇴장이 가시화되고, 삼성전자와 애플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한 가운데 오포, 비보, 리얼미 등이 스마트폰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화웨이의 공백을 흡수하기 위한 전략을 전개하는 형국이다.
이제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는 삼성전자밖에 남지 않게 됐다. 현재까진 공격적인 중저가 제품 출시, 인도와 중남미 시장 우위를 기반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선두 자리를 이어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중국 업체들의 대규모 내수 시장과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서 무섭게 세를 확산하는 만큼, 5G 라인업 다변화, 프리미엄급 성능의 중저가 제품, 고성능 카메라, 폴더블 기술 선도 등 앞으로의 경쟁에 철저히 대비할 때다.
세계적인 거대 공룡인 노키아도 혁신의 선두였지만, 무너졌었고, 그외 수 많은 휴대폰 기업들이 쓸쓸하게 시장에서 사라졌습니다. LG전자의 퇴장을 보면, 어느 회사도 안전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만큼 휴대폰사업이란 것이 쉬운 사업이 아니라는 것이겠죠. 지금 애플, 삼성이 선전하고 있지만, 그들도 조그마한 방향의 실수등이 미래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지 모를 일입니다. 중국기업도 중저가 폰의 시장 활성화등으로 점유율을 올려가고 있으나, 신기술과 혁신 없이는 여전히 도태될 위험을 있어 보입니다. 한때 함께 했던 초콜핏폰 LG의 좋은 시절이 마냥 그리워지는 하루이네요.
LG전자의 MC사업철수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뚜렷한 경쟁자가 없는 삼성전자의 혁신이 과연 앞으로도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기술력과 우수성으로 세계시장에서 영향력을 더 키우면 좋겠습니다.더불어 LG 스마트폰의 외국 합작이나 제품 정책을 변경하여 이 위기를 잘 극복하였으면 좋겠습니다.향후 가전,건강,차량 등 모든 기기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LG가 한차례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삼성전자 시장 점유율은 19%, 애플은 15%입니다 5G 스마트폰 시장에서 선의의 경쟁을 통해서 1위에 도달하면 좋겠습니다^^
스마트폰 시장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중저가 5G 시장을 리드하기를 응원합니다. 화이팅!!!
재미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삼성, LG 대한민국 대표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빛나길 바랍니다
LG전자가 모바일 폰 사업을 접는 것은 매우 아쉽네요. 여러 혁신기술들을 먼저 선보였으나 시장과 트렌드를 살짝 비켜난 느낌입니다. 하지만 그런 혁신 노력이 시장을 요동치게 만드는것은 분명하고, 경쟁력을 키우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술적 변화에 대해 고객들과의 소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봅니다.
좋은 정보와 내용 감사드립니다~
항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야 함을 일깨워 주는군요~
소용돌이 변화속에서도 큰 도약을! 기대해봅니다.
5G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Apple vs 삼성의 국내 2파전, global하게는 Apple vs 샤오미의 2파전 양상인가요..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퇴출 당한 업체들 처럼 스마트폰 그 다음을 미리 대비해야 될거라 생각합니다. 가성비라 칭하고 그능을 딸리고 가격은 어중간한 포지션은 더이상 먹히지 않습니다. 확실한 기능에 확실히 저렴한 가격 아니면 애플과 같은 완전히 차별화된 정치성을 구축해야 될것 같습니다.
최신폰의 경우 카메라 성능을 주 차별점으로 하고 있으나 비대면 서비스를 차별화 포인트로 가져가면 좋을것으로 생각합니다.
5G시장을 선도해나길 응원합니다!
삼성전자 화이팅
휴대폰 시장은 혁신의 연속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비용이 낮아지고 혁신은 커지기에 더욱더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집중이 더욱 필요한..
신규 외국 메이커들의 대거 투입으로 인하여 더욱더 큰 변화와 소용돌이가 예상됩니다. 만전을 기해야..
더욱더 큰 시장이 다가올거라 예상되기에 흥미진진하고 기대가 됩니다. 화이팅!!
LG전자의 퇴장으로,, 앞으로 삼성vs애플 구도가 흥미진진 합니다!
좋은 관점의 기사 감사드립니다. 한국 휴대폰 기업의 역사적인 흐름의 기사가 있으면 잼있을 듯 합니다.
LG전자의 스마트폰사업 철수등 앞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날듯하네요
베트남 스마트폰 업체을 글로벌 진출
애플은 자동차 업계와 자율주행 관련 논의 기사가 있으나 삼성이나 다른 회사의 자율주행 협업 또는 전략은?
중국 업체들의 5G 라인업 다변화 대처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