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ETRI, AI CCTV로 ‘마이너리티 리포트’ 실현 첫 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CCTV 영상, 범죄통계정보, 측위정보 등을 분석해 범죄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자뷰(Dejaview)’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2024.07.18by 배종인 기자

image

“우주항공·국방 분야 EMC 대책 중요성 ↑”...EMC KOREA 2024 성료

EMC KOREA 2024가 11일 KAIST 문지캠퍼스 슈펙스홀에서 한국전자파학회 EMC기술연구회 주최로 개최했다.

2024.07.12by 권신혁 기자

image

“그린 반도체 달성 시급...공용 팹 심사 中 하반기 발표 예정”...반도체 산업 정책 지원 한목소리

반도체 산업 대전환이 몰아치는 가운데 반도체 업계 주요 관계자들이 한데모여 정부 정책 지원 촉구에 한목소리를 냈다.

2024.07.09by 권신혁 기자

image

[성유창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SDV 진가, 호환성 위한 디커플링·SW 가치 인정·문제 집중 접근법서 온다

SDV 산업에서는 빠르고, 적은 비용으로, 그리고 더 많은 양산차에 새로운 기능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부분들이 OEM들 입장에서의 가장 중요한 핵심 경쟁력이다.

2024.07.08by 성유창 기자

image

노키아, “5G 28GHz 전국망 어렵다…2029년 韓 중대역 기반 6G 상용화 목표”

노키아가 7~15GHz의 중대역 주파수를 중심으로 2029년 말 국내 6G 최초 상용화를 목표한다고 밝혔다. 노키아는 5G 28Ghz 기반 전국망 구축은 어렵다고 판단하며, 5G 3.5Gz 전국망 구축을 완료해 5G SA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4.07.04by 김예지 기자

image

나노코리아 2024 개최, 최신 나노 기술 한자리

미국의 테크커넥트월드, 일본의 나노테크재팬과 함께 세계 3대 나노기술전문 전시회로 손꼽히는 나노코리아 전시회가 개막했다.

2024.07.03by 권신혁 기자

image

AI, 탄소배출량 감축에는 치명적

구글이 발표한 ‘2024년 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은 2019년 이후 탄소 배출량이 50% 가까이 급증했고, 지난 2023년에만 전년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구글은 2023년 데이터센터의 총 전력 소비량이 17% 증가했다며 AI의 급..

2024.07.03by 배종인 기자

image

기계연, CO2 저감 기술 미국에 전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이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통해 창출한 고유의 탄소 저감 기술을 북미 최대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인 KBR(Kellogg Brown & Root)에 기술이전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기술이전 성과로 우리나라 화학 공정 기..

2024.07.01by 배종인 기자

image

R&D 예산 복구, 2025년 24조8천억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9회 심의회의’를 개최하고, 2025년도 주요 R&D 예산으로 올해 대비 대폭 증가한 약 24조8,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2024.06.28by 배종인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