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 : [질문] 현장에서 많이 접하는 문제인데 부하가 거의 0에서 실부가 인가되면 요즘 DCDC chipset이 제대로 대응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효율이 좋은 PMIC가 그러는 것 같습니다. 대책이 있나요?
ROHM1 : 효율이 좋은 PMIC 제품을 정확히 알수 없습니다만, 경부하 모드가 있는 경우 부하 응답 특성이 않 좋아 질수 있습니다. 경부하 모드가 없는 제품으로 평가를 제안 드립니다. 다만, 경부하 모드가 없는 DCDC 사용하시는 경우 경부하시에 효율이 않좋아지게 됩니다.
안*람 : 만약 Phase margin이 30도 이하로 stability가 낮아진다면 어떤 현상들이 일어날 수 있나요?
ROHM2 : 온도의 변화나 부하의 변동이 많을 경우 Margin이 부족하다면 발진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백*인 : High FET를 Rds On 값이 더 낮은 제품으로 변경하였을때 발열이 더 심해진다면 원인이 무엇일까요?
ROHM2 : Rds On저항 값은 On시 발생하는 저항 값이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이 커서 문제가 발생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채*기 : 리플전류를 최소하는 방법이 어떤것이 있을까요?
ROHM2 : Ripple전류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를 높이고 ESR값이 낮은 캐페시터를 사용 하시면 저감이 가능 합니다.
백*옥 : 인덕터도 요즘 SMD 타입의 경우, 종류가 많은데요 Power Inductor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면 되나요? 거기에 허용전류/L값 고려하구요.
ROHM2 : 네 Idc 직류 허용 전류와 코일의 용량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보통은 최대 전류의 50%~100 마진으로 설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박*혁 : 충전코일의 크기를 키워서 충전영역의 넓이도 키울 수 있는가요? 노트8의 경우도 위치에 대한 에러라고 할 수 있는 문제가 있더라구요. 중심에서 좀 벗어나거나 두께있는 케이스에 씌워져 있으면 무선충전이 안된다든가 하는 문제요.
ROHM1 : 본 IC는 무선 충전 입력 Souse를 받아 Battery 충전 제어를 실행 하는 IC로 무선 충전 IC는 아닙니다.
신*호 : Reverse DC/DC Converter 는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판단해서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건가요?? 아님 설정한 값으로만 출력되는 건가요??
ROHM1 : 내부의 System이 상대 SET의 UFP를 확인 한 후 BD99954에 출력 할 전압을 설정 해 주시면 됩니다. 출력 전압은 USB PD가 대응 가능 한 5V~20V까지 대응 가능합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