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식 : 이 주파수 대역에 드론 말고 다른 기기들도 참 많이 운용되고 있을건대 드론식별을 어케하는지? 이동속도? 고도?
Keysight1 : 해당 주파수 대역은 아주 여러 가지 기기들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입니다. 그 중 드론 신호를 구별해내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정해서 보는 방법, Threshold를 설정하는 방법, Shape detecting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최*호 : 관성으로 가속도, 속도를 유추할 수 있나요? 가속도, 속도, 방향(X,Y/ X,Y,Z)으로 시작위치에서 최종 위치를 알수 있을까요?
ADI1 : 예 초도 위치 설정 및 data를 읽어 냄으로 유추가 가능합니다.
오*익 : GPS가 없는 곳에서의 위치 추적시 해당 센서의 값을 가지고 이동한 거리와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즘도 혹시 제공해주시나요?
ADI1 : Tim.Cheong@analog.com으로 메일 보내 주시면 자세한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강*완 : 두번째 질문에 보완 사항입니다. 본 필자는,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 영역까지, 혼합해, 사각 영역을 완변히 제거하는 것은 물론이고, 간섭 가능성도 완벽히 제거하는 기술을 실증실험완료했습니다.질문작성 중 답변 올리셨네요.광학카메라 관련 solution은 제공 진행준비 중인 것으로 인지했습니다.대단히 감사합니다.
신*승 : 차량용 레이다에서의 challenge 중에서 Phase noise와 관련된 문제를 보통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나요?
keysight3 : phase noise의 경우 신호 소스원의 퀄리티와 관련된 부분으로 특성이 좋은 소스가 사용되야 합니다. 설계단계에서 해당 성능을 향상시키기위한 설계가 진행되야 하고요
강*석 : 그러면 xilinx platform을 사용할 때의 장점은 추론에 특화된 제품을 이용함으로 빠르게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인가요? 결국 새로운 데이터로 계속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버에서 사용하기보다 임베디드 부분에 특화된 부분인가요?
xilinx3 : 오늘 소개드리는 내용은 Server + Xilinx Accel. Card 구성에 대한 내용 입니다. Embedded 지원 Solution도 향후 지원 계획이 있습니다.
김*로 : 발표자료는 VCU1525보드를 통해 구현하셧는데, ZCU106 보드를 통해서 구현하는데 문제가 될 부분이 있는지요.
xilinx1 : 네 문제가 됩니다. 사실 cloud 쪽에서는 훨씬 큰 전력소모와 훨씬 높은 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보드 또한 다릅니다. ML suite는 굉장 큰 디바이스가 올라간 보드르 사용합니다. ZCU106 에서는 revision stack 을 이용해서 ML application 의 구현이 가능합니다. ML suite나 revision stack의 ML 구성이나 기본적인 구성(processing engine구조,xfDNN lib) 은 동일합니다. 다만 application 의 특성에 따라 logic size, 동작속도 등이 다릅니다.
조*구 : 회사에서 34401A 디지털멀티미터를 사용하고있는데요. 절연트랜스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계측기 입력전원케이블 근처에 있던 타 3상 교류 전원케이블에 대한 영향을 받더라고요. 이 부분을 없앨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keysight1 : 구체적인 configuration에 따라 다르지만, 전원의 접지는 전자적 잡음이 pass 하는 통로 입니다. 따라서 3 Phase의 영향을 적게 받으려면, 전원의 배전반 단계에세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박*훈 : 예를 들어, 어느 정도의 정밀도를 가지는 장비를 사용해야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고 pass/fail을 판단할 수 있는지요? 정밀도가 너무 낮으면 pass/fail을 구분하기 힘들 수 있고 정밀도가 높은 장비는 고가이고 자료분석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 같아 적절한 장비 정밀도의 선택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질문 드립니다.
keysight1 : 4:1 이하의 TAR(Test Accuract Ratio)은 불확실성 예산이나 방법을 정밀 조사하기 위한 주요 후보입니다. 왜냐하면 교정에 대한 신뢰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교정/시험 기관이라면 피교정 장비의 사양보다 훨씬 좋은 표준사양과의 성능 비교를 실시할 수 있는 전문 기술 및 다양한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그를 위한 투자와 연구를 지속 할 것입니다. 그러한 규모를 갖추지 못한 업체나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는 업체는 테스트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올바르지 못한 측정을 함으로써 심각한 품질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장비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는 검사 장비의 정확도를 피교정 장비보다 최소 4배 이상이 되게 함으로써 ‘측정불확도’를 최소화 하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투자하는 교정/시험 기관을 이용하시도록 권장해 드립니다. 올바른 교정은 생산제품에 대한 불량을 줄이고 이익을 극대화 합니다. ^_^
keysight1 : 고객님의 측정물에 대한 측정범위와 신뢰성을 먼저 정하시면 그에 따라 4:1 의 법칙 등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신뢰도를 60%로 정하시면 낮은 신뢰도의 장비도 사용사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이*광 :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 시스템 테스트의 정확도 향상 기법에서는 특징으로 기억하고 싶은 아이템으로 다양하고 많이 있겠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마인드가 뛰어나고 기술면에서 탁월함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간추린다면?
NI1 : HIL 기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기존의 약 15000개의 테스트 트텝과 고전압운영을 해야하는 어려움속에서 HIL 기법을 사용하여 테스트 시간을 1/20 으로 줄이고, 출시 기간을 앞당긴 시스템등을 매우 기술적으로 뛰어나나고 할수 있겠습니다. http://sine.ni.com/cs/app/doc/p/id/cs-15982
이*진 : FPGA 시뮬레이션은.. xilinx 나 intel 제품 적용이 가능한가요? 업체별로 다른 부분이 있는데요..
NI1 : 현재 NI사는 xilinx 기반의 FPG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ine.ni.com/cs/app/doc/p/id/cs-15982 미국자동차공학회에 논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실제 적용은 일본의 스바루사에 적용되었습니다.
임*식 : 라즈베리 파이3 보드로 개발할때는 기본적으로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권장인지요? 파이썬 예제가 유독 많던데요.
e4ds : 확인 후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임*식 : 발표동영상외에 관련 기술자료들도 공유해쥬실슈 있는지요. 설명해주신 내용들이 시대 트렌드에 맞아서 엄청 유익하네요.
e4ds : 똑똑한 왕자 프로젝트 블로그 링크 전달 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www.kernel.bz/smartprince
김*훈 : 나노보드의 최대 1A 라고 하셨는데, 만약 코인셀이 CR2032 이며 그 이상은 사용할수 없는거 아닌가요... 그러면배터리 셀의 용량에 맞게.. 설계 되어야겠네요? 1uA 대기전류가 3년 이라고 하였는데.. 동작 시 전류가 얼마인가에따라.. 배터리 수명은 달라지는게 맞지 않나요?
maxim3 : 네. 동작시 전류에 따라 계산식은 달라집니다. CR2032 그 이상에 배터리 application에 대해 알려주시면 적합한 솔루션을 제안드리겠습니다
정*수 : 세미나와 관련은 없지만 리듐이온 배터리 1셀가지고 5V/4A 정도로 승압가능한 숄루션이 있나요?
maxim3 : 관련 솔루션 확인하여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김*신 : freeRTOS 국내 자료가 별루 없더라고요... uCOS는 책도 많은데.....
RTOS : 네, 아마도 revision이 자주 되어서 그런 듯합니다. (책이 없는게) FreeRTOS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지식을 얻으셔야 합니다.
e4ds : Free RTOS 사이트 정보 보내드립니다. https://www.freertos.org/
임*식 : FreeRTOS을 Multicore에서 쓰려면 어떤 작업을 추가로 더 해줘야 할지요? 원래 Free RTOS가 멀티코어 지원도 하고 있을까요?
RTOS : 멀티코어용 FreeRTOS 소스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RTOS : FreeRTOS는 싱글 프로세서 기반입니다. 멀티코어 프로세서인 경우, 사용하는 Compiler에서 멀티코어를 위한 빌드 옵션을 설정해 주면(존재하는 경우), 그에 필요한 최적의 (머신)코드를 만들어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외에 특별히 멀티 프로세서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기법(최적의 성능을 위해)은 별개의 문제로 따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지*호 : [질문]노이즈 자기 보정 시에 신호와 노이즈가 같이 필터를 통과 후 증폭시 신호는 더 크게 되고 노이즈는 더 줄어들게 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5G시대 주파수에서는 필수 또는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Microchip_Jake : 일단 5G Spec 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많은 신호처리 블럭이 필요할 것입니다. 역시 미세신호 처리가 필요하다면, 일반적인 opamp 보다 더 좋은 노이즈특성/소신호 처리 측성을 보장하기에, 필요할 것입니다.
김*수 : 저항배치가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x축,y축 배치에 따른 열 문제가 있다는 소리는 첨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microchip_ks : 참여 감사 드립니다.
무* : RMTC, CATR, MPAC 등의 제원 저도 요청 드립니다.
keysight1 : 네, 기술부서 문의하여 이메일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