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호 : [질문]5G 특성상 SNR비율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장비의 특성상 어느 범위까지 조정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e4ds : 이메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
김*현 : dpd 동작 시 안정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hopping 이나 afc 기능에 적용 가능할까요?
ADI2 : hopping frequency의 offset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AD9371/75는 DPD보다는 QEC/LOL등의 calibration 때문에, 아주 빠른 속도로 hopping을 하는 경우라면 적절한 solution이 못될 것 같습니다.
박*규 : AD9375 칩상에서 DPD 알고리즘 구현시 타사 경쟁 솔루션 대비 DPD 소비전력은 어 느정도인가요?
ADI1 : FPGA 에서 구현대비 DPD Logic의 소모전력이 1/10 정도로 이야기 하네요
이*우 : 전에 33EP로 BLDC 개발하다가 초기 동작 시 상하MOSFET이 동시에 ON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포기한 적이 있는데요.
Microchip_Dick : Arm-Short 를 방지할 수 있는 PWM 모드를 선택하시고 Dead-Time을 MOSFET Driver 의 Delay Time 보다 크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학 : DC모터 제어 시 엔드포지션에서 기어 풀림을 막기위해서 어느정도의 토크를 주어야 하는데 이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모터의 구속현상이 발생되어 모터동작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기술이 있는지요?
Microchip_Mason : 해상 사항은 모터제어가 실제로 모터가 제어되는 환경을 오실로스코프등으로 측정해야 판단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옥*호 : OpenCV에서 지원이 안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하드웨어로 가속하고 싶은 부분을 HDL로 구현할경우, OS상에서 S/W 및 H/W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해서는 Vivado로 충분한가요? 아니면 SDSoC가 필요한가요? 이와 관련된 application notes가 있나요?
xilinx1 : 윕비나 내용중에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xfOpenCV에서 지원되지 않는 function은 SDSoC 상에서 c/c++ 등을 이용해서 coding 하시고 HW functions 에 지정하시면 내부적으로 vivado HSL를 통해서 RTL code로 변환이 됩니다. SDSoC User Guide 인 UG1027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xilinx.com/products/design-tools/software-zone/sdsoc.html#documentation
김*양 : xfopencv lib의 영상처리 function을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opencv Mat을 입력받아 xfopencv으로 Mat 내부 픽셀을 변환하는 자료는 없나요?
xilinx2 : xf::mat 함수를 보시면 내부적으로 cv::mat 함수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명시 적으로 cv :: Mat에서 xf :: Mat로 복사되고 최상의 성능을 얻기 위해 물리적으로 인접한 메모리에 저장됩니다.
xilinx2 : xf::imread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cv::Mat img_load = cv::imread(img,type); xf::Mat<_PTYPE, _ROWS, _COLS, _NPC> input(img_load.rows, img_load.cols); if(img_load.data == NULL){ std::cout << "\nError : Couldn't open the image at " << img << "\n" << std::endl; exit(-1); } input.copyTo(img_load.data);
박*원 : 차량길이 측정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정확도는 어느정도인가요?
TI1 : 후처리에 의해 금속 물체의 이미징이 가능합니다. 케이스에 따라, 차량의 옆 면을 측정하면 어느정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송*권 : 차량의 속도를 측정 가능하다고 했는데.. 차량이 여러대가 각각의 다른 속도로 움직인다면.. 어떻게 동작 되나요?
TI1 : 여러대의 속도 측정은, 각각에 대한 트랙킹 알고리즘으로 추적이 필요합니다. 수신된 결과 데이터의 후처리가 필요하겠습니다.
김*주 : 통신하면서 처리시간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 같은데요! PXI로 처리시 신호처리 속도는 얼마이며, 프로그램이 복잡할 경우 처리 및 응답속도가 느려질 가능성은 없는지요?
NI1 : 넵 가장 중요한 부분을 질문주셨는데요. RF Path 문제로 인해서 Radar 시뮬레이션에서 가장중요한 부분은 얼마나 가까운 사물을 모사할수 있는가 입니다. 현재 NI 솔루션을 통해서 4m 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캘리브레이션을 통해서 좀더 가까운 데모를 모사고 있습니다.
정*수 : 차량용으로 나온 라이다나 레이더를 소형선박 같은데 적용이 가능할까요?
NI1 : 현재 NI 사와 Konrad 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술은 Target Simulation 이라고 해서 주변 사물 (사람,챠량) 등을 모사하는 기술을 구현하고 있어서 차량용 레이더가 선박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답변은 명확하게 드리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박*혁 : 충전코일의 크기를 키워서 충전영역의 넓이도 키울 수 있는가요? 노트8의 경우도 위치에 대한 에러라고 할 수 있는 문제가 있더라구요. 중심에서 좀 벗어나거나 두께있는 케이스에 씌워져 있으면 무선충전이 안된다든가 하는 문제요.
ROHM1 : 본 IC는 무선 충전 입력 Souse를 받아 Battery 충전 제어를 실행 하는 IC로 무선 충전 IC는 아닙니다.
신*호 : Reverse DC/DC Converter 는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판단해서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건가요?? 아님 설정한 값으로만 출력되는 건가요??
ROHM1 : 내부의 System이 상대 SET의 UFP를 확인 한 후 BD99954에 출력 할 전압을 설정 해 주시면 됩니다. 출력 전압은 USB PD가 대응 가능 한 5V~20V까지 대응 가능합니다.
표*건 : 테스트 gui 프로그램 등을 직접 사용해볼수 있나요?
keysight1 : Window-based Oscilloscope 가 있으시다면 Trial License 를 이용하여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김*수 : Automotive용이 일반 Ethernet 평가툴돠 다른 좀 더 특별한 성격이나 특징이 있습니까?
keysight1 : 가장 큰 차이점은 Automotive Ethernet 은 Single Lane 을 사용한다는 것이지요. 그 외에는 상당히 유사한 측정솔루션이 Automotive Ethernet 과 Ethernet 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권*청 : 본소 자에 대해서 상당히 사용 범위가 넓은 거라고 생각 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의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DI1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김*진 : 가드 시스템에서 신호 라인이 내층에 있다면, 가드는 양옆과 위아래 레이어 총 네 방향을 가딩해야하나요?
ADI1 : 비용 면에서 옆과 아래 쪽 패턴을 가드 하시면 됩니다.
김*열 : [질문] malloc 시 포인터 주소와 데이터 사이즈 계산을 쉽게 할 수 있는 팁이 있나요?
kernel : int *pm = malloc(24); 하면 24바이트 공간이 메모리에 잡힙니다. 시작주소는 pm입니다. 크기는 sizeof(*pm)==24 이렇게 가져옵니다.
이*진 : a[2][3][4] 의 경우 a번지로 부터 시작하는 메모리에 데이터 값이 저장되는데 있어서, 데이터 값이 저장되는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그들의 메모리 포인트가 따로 저장되나요?
kernel : 배열 a가 정의 되면 메모리에 쭉~ 배치가 되고 포인터는 배치되어 있는 주소이기 때문에 그냥 인데스 연산되어서 접근합니다. a+1, a+2, a+3... 이런 식입니다.
강*완 : 충전기 입력 open 상태.충전기가.전지에 연결돠어 있을시.전지의 방전 전류는 어느 수준이 될까요?
serial3 : IC에 따라 방전하는 용량이 각각 정해져 있습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