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 : 배터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에 각각의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있는 경우, 안전을 위해서 고려해야하는 것이 있는지요?
SERIAL2 : 직렬로 연결시에는 Battery Cell Balancing등 protection에 고려사항이 많습니다. 병렬로만 연결할시에는 기본적인 Charger IC Protection 기능으로 커버가 가능합니다.
최*호 : PPG, ECG의 센서는 해당 프루브와 연결하면 바로 그래프를 얻을 수 있나요? (센서를 프로그램하는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조정해야하는지?)
TI2 : TI사는 AFE 칩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프로브와 연결하여 바로 그래프를 얻기 위해서는 AFE를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셔야 합니다. TI사가 제공하는 EVM는 모든 시스템이 구현되어있으므로 GUI를 통해 그래프를 바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GUI를 통해 내부 factor들 컨트롤 가능합니다.
이*석 : 신체 부위 뿐만 아니라 Skin type (색, 두께 등)에 따라서도 값이 많이 다를 것 같은데요 Cal 을 하나요?
TI3 : Skin type 등에 따라서도 기본값이 달라집니다. 제조업체 혹은 알고리즘 업체에서 해당 값들을 확인 후 내부 Register 세팅을 바꾸는 식으로 PPG 값 얻고 있습니다
이*훈 : 무선 충전시 피드백 되는 신호가 무선인가요?
Arrow3 : 네. 2차 측의 부하를 변경하여 1차측에 데이터를 전송 할 수가 있습니다.
오*익 : 충전 효율이 좋으려면 배터리 선택이 중요한가요? 아님 충전IC 선택이 더 중요한가요?
Arrow1 : 둘 다 중요 합니다. 배터리 불량 스왈링, 완충, Battery Cycle Life 가 중요 하기 때문에 Battey 검증이 중요 할 것 같습니다.
이*우 : Stereop depth map의 비디오 입력은 2개의 HD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인가요?
xilinx1 : 네 FHD입니다.
김*로 : Vivado HLS 에서 JPEG을 구현중인데요,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한지요?
xilinx2 : Vivado HLS도 OpenCV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창 : 향후 데모 요청 및 관련 정보 요청 하려고하는데요, 컨택 공유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Fluke3 : 저희 대표 번호 02-539-6311 쪽으로 연락 주시면 문의 주시는 제품 관련 담당자를 바로 알려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이*창 :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 센서 출력이 전압인데요, 해당 출력 전압도 입력 압력과 함께 저장이 가능한가요??
Fluke3 : 네, 가능합니다.
김*수 : 이 제품을 생산라인에서 사용한다면, 생산에서 필요한 측정기능을 자동화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나요?
Jwill1 : C++, LabVIEW, MathLab, Python등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시는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시어 자동화 측정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십니다^^
김*수 : Diamod Engineering사는 한국 업체인가요? 아니면 CMT의 협력업체인가요?
Jwill1 : 미국 제조사이며 CMT사 협력업체입니다.
나*호 : Acoustic emission을 측정할 수 있는 솔루션도 있는가요?
ADI1 : 마이크로폰을 말씀하신는것 같은데요. 당사는 없습니다.
정*수 : 현재 나오는 센서중에 가속도랑 각가속도를 동시에 측정가능한 원칩IC가 있나요?
ADI1 : 있습니다. 대다수 MEMS제조사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g rang 및 주파수가 맞는지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Ji******* : application은 일반 RGB이미지에 많이 쓰이나요? 열화상영상, 초분광영상과 기타 영상에서도 현재 많이 응용되고 있나요?
xilinx3 : FPGA를 이용여 여러 분야에서 사용이 되고 있스빈다.
지*호 : 일반적으로 FPGA와 GPU 성능 차가 얼마나 될지요?
xilinx1 : 상당히 어려운 질문입니다.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많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FPGA가 CPU 대비 integer 연산에서 우수하다, 전력 소모가 적다, 레이턴시가 짧다 정도 입니다. 물론 이 부분도 구체적인 디바이스의 스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 입니다. 본 세미나에서 소개해드린 성능 테이블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훈 : 라디오 튜너 개발중인데 페이즈 노이즈의 한계치는 어떻습니까?
NI1 : VST2.0의 경우 900M 주파수 대역에서 10k 오프셋일 때 120 정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장비의 spec sheet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ni.com/pdf/manuals/376626a.pdf
김*수 : DPD는 일반적인 헤드폰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과 유사한 구조인가요?
NI1 : 헤드폰의 노이즈 캔슬링은 패시브이지만 DPD는 실제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을 하여 적용되기때문에 다른 개념입니다. 말씀하신 부분은 RF 장비의 noise compensation 기능을 생각하시면 유사할 것 같습니다.
박*영 : 컴퓨터구조와 자료구조 알고리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무었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e4ds : 웨비나가 실시간인 관계로 강의가 끝난 후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조*우 : 커널연구회에 대해서 간단한 소개 바랍니다.
e4ds : 커널연구회에 대한 정보는 영상 아래의 버튼을 눌러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무* : 오늘 보여주신 기술을 IoT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한지 궁금 합니다!
agilent3 :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기는 한데 IoT 분야에서의 적용가능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는 저희의 전문분야가 아니어서 답변이 쉽지 않네요. 자세한 답변을 원하시면 설문지에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을 질문해주시면 가능한 수준에서 답변드리도록하겠습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