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 : labview 와 차이점 또는 장점이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keysight3 : 기본적인 차이점은 측정된 결과 파일을 가져오기 위해 프로그래밍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고, mobile 엑세스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자동화 측정의 경우 test flow기능을 이용하시면 훨씬 쉽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강*학 : 우천시에도 문제가 없으면 RADAR와 병행해서 LIDAR를 사용하는 이유가 어떤것이 있을까요?
keysight1 : LIDAR는 우천시에 활용이 어렵습니다. LIDAR는 RADAR 대비 장점은 주변 사물에대한 Resolution이 좋다는 것입니다. LIDAR는 주로 근거리 센싱에 활용 됩니다.
정*균 : 1G bandwidth 에서 4G bandwidth 까지 키운 이유는 데이타량 때문인가요?
keysight1 : 측정되는 사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높을수록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승 : 측정 결과치를 비교하는 기능이 있나요?
keysight4 : Scope 에서 측정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Interface 의 규격의 Limit 치에 어느 정도 margin 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대표적일 것입니다. 이외에도 Signal 을 직접 manual 적으로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강*학 : 많은 규격들을 Ethernet으로 대체하면 Data 충돌에 의한 지연이라든가 이런것들이 문제가 되지 않나요?
keysight4 : Automotive 에 여전히 많은 Interface 들이 존재하는 이유가 안전 및 충돌 등의 고려가 있습니다. Ethernet 으로 그 방향을 잡아가며 기존의 규격들을 대체하고 있지만, 안정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기존의 안정성 있는 interface 가 여전히 사용될 것입니다.
임*환 : Pi측정자체가 힘든경우가 많은데요 pi측정을 고려한 board제작을위한 guide가 제공되는지 긍금합니다.
keysight5 : Logic Analyzer에서 사용되는 Soft touch probe 같은 경우는 PCB 설계단에서부터 측정시 프로빙을 위한 조건을 반영해야 하므로 가이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만, PI 측정을 위해 제공되는 보드 설계 가이드는 별도로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임*환 : Si에 비해 pi는 측정 자체가 힘든데요. Pi측정을 골려한 board제작을 위함 guide를 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keysight5 : PI 측정을 위해 제공되는 보드 설계 가이드는 별도로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측정 관련 문제로 인한 고민이 있으시다면 담당 영업사원을 통해 문의 주시면 제가 아는선에서 최대한 자세히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무* : Configuration Channel로 설정 되지 않은 CC가 Cable Power공급용이면, 케이블을 통한 전류 전압이 20V 5A아 이상이 되는건가요?
keysight7 : 맞습니다. eMark Cable 이라고 불리는 USB Type-C Cable 이 있습니다. 제품규격에 따라 지원되는 Power 용량은 다릅니다.
김*열 : [질문] USB Type C 의 CC 는 케이블 길이에 따른 Power 손실은 없나요? 있다면 해결방안이나 길이의 권고사항이 있는지요?
keysight7 : CC 는 속도가 300 Kbps 이기 때문에 Power 손실은 매우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USB Type-C 길이는 2m for USB 3.1 Gen1 speed 와 1m for USB 3.1 Gen2 speed 로 구분됩니다.
김*열 : 5G에서 전력소모량이 많아 진다면, 개인용 IoT 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Power Saving 기술 같은 것이 있나요?
keysight7 : 네, IoT 기기의 경우 device 자체적으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술도 함께 연구 중입니다. 예를 들어 단말/기지국 간에 통신 주기를 길게하거나 배터리 소모가 작은 Waveform을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신*호 : 5G의 네트워크 분야에 유력한 주파수 대역이 어떻게 되나요?
keysight7 : 현재 결정된 주파수는 6GHz 이하에서는 3.5GHz 대역외에 다수가 있으며 6GHz 이상은 현재 연구/시험 중이며 국내/일본/미국에서는 28GHz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김*영 : SignalTap 추가에 관계없이 기존 로직 fitting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intel2 : 추가된 signalTap의 logic이 custom logic 영역과 유사하시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intel2 : SignalTap은 불가능하고 SignalProbe는 가능한 기존 fitting 상태를 유지하고 Incremental Compile이 가능합니다.
이*광 : 본 제품이 가지는 가장 특이한 장점과 기억하면 유익한 것은 몇 가지로 요약한다면 어떻게 표현할수 있나요
intel3 : ISSP 기능은 실시간으로 리셋이나 키 버튼에 해당하는 부분을 외부에 하드웨어 없이 GUI형태로 줄수있으며, 시그널탭 로직 애널라이져의 기능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보고싶은 시그널들을 툴에서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환 : QSPI FLASH에서는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려면 초기화과정만 내부 플래쉬에서 수행해 주면되는 건가요? 아니면 BOOT핀등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필요한건가요?
ST3 : 내부 Flash에서 코드로 수행하시면 됩니다.
무* : 최근 STM32CubeF4/F7등에 LL_Driver가 추가되었던데, 이 부분이 HAL을 이용하지 않고, 과거 Peripheral Library 수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인가요?
ST3 : 네 맞습니다. 빠른 응답성 및 바이너리 사이즈 에 강점을 가집니다.
정*호 : 최근에 S사에서 광고하는 notebook 을 보조 battery 로 충전하는 방식도 type C 의 PD 를 사용하는 건가요 ?
serial1 : 네 맞습니다.
정*래 : 온도 센싱시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한가요? 측정된 온도를 읽을수 있는지 Threshhold를 설정해서 interrupt만 날려주는 방식인지 설명 부탁드립다.. 온도 센싱하는 방법도..
serial1 : IC마다 방식이 다릅니다 interrupt를 날리는 방식도 있고 voltage로 받는 방식도 있습니다.
이*학 : 샘플링 시 정확한 샘플링을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방법이 있는지요?
ADI1 : Nyquist Sampling이론에 의하면 사용하고자 하는 신호 대역폭의 최소 두배 이상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상당히 높은 Sampling을 사용합니다. 또한 DAC출력단의 IF 주파수도 중요합니다.
무* : 광케이블과 마이크로웨이브 통신과 비교시 서로간의 장단점은 무엇인지요?
ADI1 : 가장 큰 차이점은 설치시 용이함이 어떤것에 있는지 입니다. 예를 들면, 도서 산간 지방이나 섬지방 등에서는 Optic을 사용할 수 없을것이고, 인도나 땅덩어리가 아주 큰 지역은 Optic으로 일일이 설치하기에는 너무 광범위 하여 Optic으로 하기에는 너무 시설비가 많이 소요될것으로 보입니다
정*엽 : 라이다와 라이다 간의 간섭은 없는지요?( 내차와 다른차간의 라이다와의 간섭등) , 감지하기 어려운 대상물이 있을까요?
keti1 : 직직성으로 인해 쏜 방향으로만 반사되어 돌아 오는 광원을 센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는 최소화되어 있읍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