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덕 : Er 측정 방법에 Trasmission Line cavity 방식, SPDR 방식, Split Cylinder Resonator 방식 3가지 방식중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TMGate2 : 가장 간단한 방법은 SPDR과 Cylinder 방법 입니다. Cavity는 샘플의 가공 (사각, 원형 등)을 하셔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오차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 픽스쳐에 따라 오차율, 측정 레졸루션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민 : 지능형 IOT 솔루션이라 함에 있어서 타 업체의 솔루션과 어떤 차별화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괜찮으시면 장단점만 간단히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ADI1 : 안녕하세요? 저전력 솔루션이 가능하며, sensor에서 부터 cloude까지 total solution이 가능합니다.
김*식 : [질문] 또한 똑똑한 분석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진동센서 ADIS16000/ADIS16229는 IoT 디바이스의 어떤 분야에 응용이 가능 한지요?
ADI1 : 안녕하세요? Industrial IOT에 가능합니다.
박*우 : 산화그래핀 분석 결과중 XRD에서 60분에서 peak이 더샤프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KETI1 : 산화그라핀은 XRD에서는 결정도 데이터가 중요하지않고 그라파이트 층간거리를 나타냅니다. 60분에서 층간박리가 되었기 때문에 층간거리가 랜덤하게 나타나서 샤프하지않게 측정되었습니다.
김*식 : [질문] 현재 꿈의 소재 그래핀을 활용하여 산업체에 잘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예를 한번 들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KETI1 : 지금 상용화된 제품으로는 중간제로서 잉크 및 페이스트화를 달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에 연구중입니다.
In****** : 세미나 중에 언급하신 CCDF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부탁드리겠습니다.
keysight1 : 얼마나 평균 값에서 벗어나느냐를 보는 측정입니다. http://literature.cdn.keysight.com/litweb/pdf/5968-6875E.pdf 에 관련 자료 받으실 수 있습니다.
In****** : 현재 발표하신 장비들은 전류측정 관련된 것들인데요. 전류측정 방식이 해당배선을 끊어서 측정 하던지 아니면 전류 프로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인데 귀사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측정하는 지 문의드립니다.
keysight1 :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구되는 accuracy, bandwidth 가 선택의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강*완 : 특허출원 여부.범위 알고싶습니다.사업화 하려는 의사 있는데요.특허 방어 완벽성 검토 요구되어서요.
KETI2 : 현재 특허 몇건이 출원되어 있구요. 현재 일부 보강하여 출원중입니다. 특허 방어는 문제 없을듯합니다.
유*현 : 인덕턴스는 고주파수를 통과못하게 한다는데 그러면 저주파수만 통과한다는 개념 인가여? 그러면 필요한 고주파수에서 노이즈를 제거 하고 싶으면 인덕터를 쓰면 고주파수의 노이즈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고주파수까지 억제 되게 하나요 ?
TI1 : 인덕터, cap datasheet를 보시면 통과 주파수나 주파수별 impedance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부분 참조 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장*식 : efficiency와 load단에서의 ripple 관리 방안등도 고려되었으면 합니다. Vout의 capacitor의 용량, 위치등도 궁금합니다.
TI1 : Vout capacitor위치는 발표를 더 보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ripple은 switching frequency와 inductance, capacitance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이 되고, transient특성또한 그렇습니다. 효율은 switching loss와 conduction loss로 나뉘는데, switching loss는 FET의 capacitance와 turn on threshold에 의해 결정됩니다. conduction loss는 FET의 rdson값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운 : C/c++ 언어를 코딩시 주의 해야 하는 부분이 있나요 그리고 하드웨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코딩 관련 주의점이 있나요
intel1 : 재귀 호출 및 포인터의 사용을 부분을 주의하시면 됩니다. 하드웨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코드들이 들어가 있지 않으면됩니다. 그리고 최적화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IP가 최적화 되어서 생성이됩니다.
박*상 : CPU코어설계에서 자동으로 배선배치를 하지않고 수작업으로 배선설계를 하는데 많이 어렵고 힘드네요.ㅠㅠ 손쉬운 합성방법은 없을까요???
intel1 : CPU 코어설계에서 niosII를 사용하시면 코어를 생성하실 필요없이, 그대로 임베디드 시스템을 만드실수 있습니다.
김*환 : 현재 4채널 영상을 재구성하는 것 까지는 보았습니다. 더 나아가 영상의 주변 물체를 tracking하는 기술까지 개발되었나요?
KETI3 : 차량에 적용할 경우 BSD까지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직까지 tracking에 대한 연구는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김*규 : 4대의 카메라의 영상을 처리할 경우 처리용량에 따른 어려움이 있을 듯 합니다만 적용과정에서 고려할 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십시오.
KETI3 : 저희는 고속화를 위해 LUT 을 사용하였습니다.
송*수 : 절연저항 측정에서 표준으로 2분간 전압을 인가했을 때 기준저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휴대용 장비에서 과연 500VDC 또는 AC를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나요? 휴대용 장비에서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전압인가가 가능한 것인지....
FLUKE2 : 절연장비 중 1분 또는 10분을 측정한 절연상태를 나타내는 PI/DAR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시면 가능합니다.
송*수 : 측정각도와 거리에 따른 측정온도 편차는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요?
FLUKE2 : 각도는 반사와 관련있으며, 거리에 따른 온도감쇄는 없습니다. 하지만 해상도가 낮으면 한 픽셀이 측정하는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온도가 보여질 수 있습니다.
전*중 : Wireless Module 개발에 적절한 MCU가 어떤것들이 있나요?
ST2 : STM32L0시리즈를 추천드립니다.
고*상 : 세미나 잘 들었습니다. 다만 아슁운 점은 내부 RTC의 전력이 생각보다 커서, MCU의 저전력 성능이 반감된다는 점 입니다.
ST2 :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참고로, STOP모드에서 RTC운용에 필요한 소모전류는 대략 400nA정도 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민 : 여러 대역대 RF 채널을 받아서 필터링해서 받았을때 데이터 손실률이 어떻게 될까요?
ADI1 : 여러 채널을 한다고 해서 Data 손실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황*성 : 요즘 제조사들이 간단한 설계/시뮬레이션 툴을 제공하던데, 본 세미나 관련 파츠 관련하여 기본적인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도와주는 툴이 있는지요?
ADI1 : ADI Web site에 오셔서 Part Number를 search하시면 다양한 tool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