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근 : sampling scope의 bandwiidth가 보통 더 넓다고 알고 있는데 보여주신 장비에서는 RT이 더 넓은 것 같은데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KEYSIGHT1 : 기본적으로 RT Scope 와 Sampling Scope 의 Frequency Response 가 다릅니다. IEEE 에서 요구하는 Frequency Response 를 만족시키기 위해 약간 다른 Bandwith 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민 : PAM-4 시스템에 가능한 리얼타임 오실로스코프 모델들을 알고싶습니다.
KEYSIGHT1 : PAM-4 신호 속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Infiniium Z-Series (DSAZ634A) Oscilloscope 를 제안해 드리고 있습니다.
임*희 : 답변 감사합니다. load current가 Typ과 Max 의 Gap이 크다면 보상회로의 시정수는 그 load current의 gap에 따라 변경되는것인가요?
ALTERA1 : 변경 해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무조건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오실로스코프로 출력 흔들림 정도 반응 정도를 보고 필요시 변경해야 합니다.
임*희 : Load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DCDC의 Output ripple을 줄일수 있는 방안이 있나요?
ALTERA1 : load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과적으로 current의 변화가 output단의 ripple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됩니다. 즉 typ / Max current를 정확히 확인하여 충분한 마진을 두고 DC-DC current용량을 산정하고 DC-Dc의 보상회로의 시정수가 load변화에 안정적으로 반응을 하는지와 . Ca/Ra시정수 값 변경과 Cout + bulk cap 추가가 ripple을 줄이는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나*석 : 틴틴 솔루션과 캘큘러스 솔루션의 차이를 보면 캘큘러스의 경우 원칩솔루션이긴하나 해상도가 낮고 픽셀 피치가 큰 점이있지만 프레임레이트는 높습니다. 두 솔루션이 픽셀의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 관련하여 차이가 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있을까요?? 다른 용도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위함인지 다른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TI1 : 타켓 어플리케이션이 다릅니다. TINTIN의 경우 industrial 분야에서 넓은 해상도와 일반적인 framerate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타겟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로봇청소기 입니다. 그에 반해 CALCULUS의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와 같이 흔들림이 많은 환경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높은 framerate를 갖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김*환 : ToF와 연동된 CPU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운영체제는 어떤 것을 지원하나요??
TI1 : 운영체제에 대한 제약은 없습니다. TFC controller에서 거리 변환하는 대부분의 작업을 hardware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processor의 load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TI의 C2000 정도의 제품이나 DSP제품으로 구현하실 수 있습니다
안*진 : XMC4800을 이용하여 EtherCAT Application을 개발하려면,TwinCAT같은 Master가 꼭 필요한가요?
INFINEON1 : 네, master가 필요합니다.
장*현 : Dave3 에서 지원했던 xSPY의 경우 사용하기 위해 내부 프로그램 코딩이 필요하였는데 uc Probe 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따로 내부 코딩이 필요한가요? 예를 들어 오실로스코프 기능이라던지??
INFINEON1 : 마찬가지로 오실로스코프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코딩이 필요합니다.
서*석 : 한개의 CC2650 Chip이 동시에 BLE와 ZigBee가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방법이 궁금하고 불가능하다면 다른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가능한 방법을 알고십습니다. Gateway등의 제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TI3 : 동시에 가능하지는 않고 switching이 가능합니다 :)
박*재 : cap touch 기능과 관련 하여 터치 구현시 여러가지 상황들이 있어 대부분 튜닝 도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아는데 cc2650에서 터치 구현시 제공되는 튜닝 툴이 있는 지요?
TI3 : 터치전용 MCU 만큼의 튜닝툴은 아니지만 ADC에 대한 값을 받는 Tool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무* : JESD204B의 인터페이스에서 멀티 채널 동기화를 위한 확정적 레이턴스(deterministic latency) 기능 추가 설명 부탁합니다.
ADI1 : Clock chip은 SYSREF 및 CLK출력의 위상을 일치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여 JESD204B device의 deterministic latency를 돕습니다. 상세내용은 ADI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무* : SYSREF 신호는 타깃 장치(target device)에서 최적의 도달 시간에 대한 조정을 위한 위상 오프셋 성능을 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ADI1 : Digital delay adjust와 analog delay adjust를 복합적으로 사용합니다. Digital delay는 0.5*VCO주기 간격으로 16 step까지 제어 가능하고, analog delay는 20ps단위로 23 step까지 가능합니다.
: 개발을 진행할시에는 우선 CaptivaTe Desing Center를 이용하여 Touch관련부분을 처리하고 나머지 Wireless Solution(BT/BLE)등은 별도로 직업 코딩을 하는 구조라 이해하면 되나요?
WT1 : 네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WT1 : 네..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수 : 툴을 이용하면 설계시간을 엄청나게 줄일 수 있겠네요. CCS와 IAR 컴파일러 어느게 좀 더 쉽고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저희 글로벌R&D에서는 IAR컴파일러를 사용하곤 있습니다.
WT1 : 개인적으로는 IAR보다는 CCS를 추천해 드립니다.
용*중 : Iot에 관심과 스킬업 하고싶은데 어떤보드가 가장적합할까요
ST1 : BLE, MEMS센서, Wi-Fi 보드가 있습니다. www.st.com/stm32ode-fp 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오*석 : 개발 커뮤니티 url 부탁드립니다
ST1 : 현재 한국 포럼은 준비중에 있으며, 영문 커뮤니티는 www.openstm32.org 가 있습니다.
Ki********* : 주파수가 높아지면 측정용 프로브를 어떻게 잡느냐 따라서도 파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Jays2 : 주파수가 높아질 수록 Probe positioner 를 사용하시거나 browser 타입 보다는 Solder-in 타입을 추천합니다.
박*홍 : probe embedding과 de-embedding 고려시 측정했을때 얼마나 차이점이 발생하나요?
Jays1 : 측정시 프로브와 픽스쳐의 영향이 있기에 de-embedding을 하시면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십니다
무* : 실시간 아날로그 데이터 수집량의 한계는 없나요?
NI1 : 서버의 한계는 당연히 존재합니다. 일본, 유럽의 자동차 회사들은 클라우드 베이스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NI 장비와 DIAdem data find 서버라는 기능으로 사용중에 있습니다.
김*호 : NI 경우, 혹 측정데이터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로 외부로 전달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실시간일까요? 아니면 어느 정도의 delay 는 있을까요?
NI1 : 우선 측정데이터는 NI 장비에서는 실시간으로 전송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세계에서 스트리밍 기술이 가장 뛰어납니다. 그리고 외부인터페이스라면 TCP나 모드버스 로 전송한다면 delay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전송량 따라 다를 수 있어서 차 량 충돌시험이나, 국방항공같은곳에서는 중간에 큰 메모리를 사용하곤합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