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 Time Domain에서의 오실로스코프와 비교해서 가장 특징적인 기능이 무엇인가요?
KEYSIGHT3 : 오실로스코프와 비교는 어려운 부분이긴 합니다만 SMU의 경우 DC 신호에 대해 sourcing과 measure가 가능한 장비이입니다.
무* : 키사이트 B2900A는 LXI 호환 웹 브라우저 제어를 통해 보고서 및 프리젠테이션에 측정데이터 및 그래프를 삽입가능하여 매우 유용하겠네요.
KEYSIGHT1 : 네. 현재 많은 분들께서 말씀하시는 형태로 사용중에 있습니다.
이*재 : TI 평가 키트에 있는 센서는 지름이 대략 2.5cm 정도 였던것으로 기억(잘 생각이 안남) 그런데 센싱 길이는 1cm 미만 이었습니다. 현재 응답 속도와 센싱 거리가 문제 입니다. (1ms 정도의 응답 시간정도). 평가 키트 외에 센서 PCB에 있는 가장 큰 사이즈 약 40mm 정도 되는 것으로 해 보았는데, 1cm가 한계이었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이 있어서인지요 ?
TI2 : 센싱거리의 MAX 값은 센서 코일의 지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센서 코일 지름의 2배까지 센싱 가능하니 센서 코일을 좀더 큰 것으로 바꿔보면서 실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고*상 : 프로젝티브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인덕턴스 공진 주파수를 통한 변화량 감지는 민감도와 선택도에 있어서 좀 더 좋은 역활을 보일 것이라 보입니다. 다만, 인덕턴스 구성을 위한 크기가 많이 커진다는 단점과 정전 용량 박싱데 비해 해상도는 떨어질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TI2 : 센싱코일은 PCB 패턴으로도 구현가능하며, 해상도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28-bit 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정*호 : emWin으로 PNG 파일을 NAND에 넣고 LCD로 뿌려봤는데 너무 느리더군요. MCU는 F429를 사용했고 168Mhz로 동작 시켰습니다. 혹시 좀더 빠르게 뿌릴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ST1 : Filesystem을 통해 이미지를 가져오기에 오버헤드가 더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외부 메모리를 NOR타입으로 바꾸실 수 있을경우, 파일 시스템 없이 이미지를 Raw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불러오는 형태면 더 빠르게 Display하실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이*우 : 지원가능 MCU List 에 대한 자료는 어디를 봐야 하나요?
ST1 : ST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LCD 지원하는 모든 MCU 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이*형 : 센서입력을 위한 ADC기능이 필요한데 센서보드에 추가연결이 가능한지요?
e4ds : 곧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남 : Port의 다기능 중 기능 선정 및 Port Assignment를 위한 소프트웨어 Tool이 제공되나요?
TI2 : 네 tI Pinmux라는 툴을 통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색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Cloud버전 및 오프라인 버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한*남 : 기존의 AVR / Microchip 개발자가 MSP432로 변경하여 개발할 때 유의 사항과 Migration Guide가 있나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TI2 : 타사칩에서의 Migration guide는 없으나, 레지스터 레벨에서 코딩을 하실 수 있는 만큼, 사용상의 큰 차이는 없을 수 있습니다.
육*욱 : 컨트롤러의 검교정은 FLUKE에서 자체적으로 검증을 하시는지요? 아니면 다른 검증기관에서 하시는지요?
Fluke2 : 플루크 본사에서는 미국내 공인된 교정기관을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Fluke2 : 자체 점검이나 성능등에 문제 이상 여부등은 플루크 본사 서비스 센터에서 가능하고 검교정의 크게 국내 KOLAS 검교정 기관에 의뢰하시거나, 검교정 인증을 보유한 해외 Fluke 지사에서 가능하여 국내 지사에 의뢰를 하시면 해외 검교정도 가능합니다.
한*남 : 질문이 없어져 다시 올립니다. 고도에 따라 대기앖이 차이가 나는데 이에 대한 장비의 영점조정 및 교정방법 설명 부탁드립니다
Fluke2 : 본인이 위치한 곳에서 대기 상태를 영으로 기준으로 잡습니다 대기압에 따라 아주 미세하게 압이 오르고 내리는 부분은 교정기와 피교장기간에 연결 후 벤트를 시킨상태에서 두장비 모두 영점 버튼을 누루고 벤트를 잠근 상태에서 교정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김*호 : [질문] 번외 질문입니다만, NI insight 솔루션을 재난 감지 솔루션으로 주요 사회 인프라에 적용해도 훌륭한 것 같은데요. 이런 분야에도 솔루션이나 향후 로드맵이 있을런지요?
NI1 : 넵 좋은 피드백 주셔서 감사합니다. 환경뿐 아니라 물류쪽에서도 요청이 있는 상태 입니다. 더확장하도록 하겠습니다.
한*남 : Azure나 Bluemix등 Cloud와 연동 환경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NI1 : 넵 현재 PI 서버를 통해서 외부 클라우드와 연동화고 있습니다.
강*진 : 아리아10 시리즈의 트랜시버 속도가 기족 스트라틱스 시리즈 대비 어떠한지요? 로직 용량이 좀 클것 같은데 아리아10 사용해도 될런지? 기존 스트라틱스 V 사용했고, 추가로 디바이스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할지..
Altera1 : Stratix V는 Arria10으로 마이그레이션 가능한 수준의 resource입니다. StratixV의 일반적인 Tranceiver 속도는 14Gbps인것에 반해 Arria10의 일반적인 GXB 속도는 17Gbps이므로 performance가 더 높습니다. Logic performance도 거의 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일 : Altera에서 지원되는 FPGA에서 Gigabit Transceiver는 가장높은 속도는 얼마인가요? 채널수는 최대 몇개인가요?
Altera1 : 현재 최신 Device인 Arria10 Device가 28.3 Gbps가 max이며, channel 은 16ea입니다.
장*규 : CC2650로 Bluetooth Smart와 LoWPAN을 동시에 지원하면 IoT 활용도가 높아질거라 생각되어 질문드렸습니다. 동시에 사용 안된다는 말씀은 결국 하나의 sw버젼(bin, hex ..)으로 control을 각각하지만 RF적인 제한사항으로 동시 처리가 안된다는 것이죠?
wt1 : 네 맞습니다. 제가 접속이 안되어 다른 분을 통해 답변을 드려 이전 문의를 몰랐습니다. 죄송합니다.
장*진 : 그림 이 2620은 M0내장에 2.4기가 1:1통신이 가능하고, 터치입력 기능이 내장된 저렴한 모델이라는 거군요
wt1 : 네 그렇습니다.
이*윤 : LTE BAND7, 2.4G 대역 WIFI 간섭, LTE-U WIFI 5G 대역 간섭 예상되는 문제 관련내용입니다.
keysight1 : LTE 대비 LTE-A 로 가면서 CA 가 지원되어, 이들 CC 의 harmonic 성분으로 인한 간섭 고려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LTE-U 의 경우, WiFi 가 LBT (Listen Before Talk) 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유무를 파악한 후 사용하게 되나, LTE 는 monitoring 을 통한 점유 기법이 없었습니다. 이에, LTE-U 에 LBT 기법 적용도 함께 고려되고 있습니다.
안*규 : [질문]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고질적인 문제가 낮은 지터와 노이즈 플로어가 문제될듯 싶은데, 이를 BreakThrough 하기 위한, 경쟁사 대비 방안은?
keysight3 : 안녕하세요. Real time Scope의 경우 말씀 하신 noise floor가 문제가 됩니다. Jitter는 noise floor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우가 크고, 대게 probe는 rising time spec과 B/W 및 본체 Probe특성 반영되는 DSP처리 system, calibration이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말씀하신 문제중 성능에 dependent한 것을 제외 하면, 특정 test환경과 저희 probe의 특성및 connection의 불정합성으로 발생하는 white noise및 jitter는 저희 Keysight가 함께 제공하는 Probe calibration kit을 이용하여 먼저 cal을 진행 하고, Probing point의 불정합성으로 생기는 frequency loss의 경우는 저희 Scope option중 precision probe및 deembedding기능으로 frequncy flatness를 개선하면 됩니다. 참고 해주세요.
김*환 : LTE-A가 양산 되려면 최우선 과제가 무엇이 있고, 주파수는 몇기가 까지 커버가 가능 할까요??
keysight1 : 현재로는 LTE-U 가 사용하는 5GHz ISM band 정도가 커버되면 되겠습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