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환 : 고속신호에서 신호측정시 프로브 문제인지 아닌지 어떻게 판단할까요?
keysight4 : Probe 의 효과를 보상해서 loss 를 줄여주는 S/W option(precision probe) 을 사용하시면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이*용 : 실제 프르브를 사용하면 제일 어려운것이옵셋값을 설정해서 측정해야 하는데 측정전에 사전 셋팅이 어렵습니다 소개하신 프르브는 사전 옵셋설정이 필요없는지요
keysight1 : 파워레일측성 특성상 측정하려는 전압값을 알고 있기 때문에 알고 있는 전압값을 offset 값으로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김*환 : 저전압을 측정할 경우 Power Rail Probe를 사용하는게 정확한 결과를 볼 수 있는건가요?
keysight1 : 저전압을 측정할 경우에는 scope의 낮은 voltage scale을 이용하여 높을 레졸루션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Power rail을 사용하시면 많은 장점이 따르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 집니다.
김*환 : USB 3.1 Compliance Test가 복잡하네요. 키사이트에서 측정 Test Fixture 및 Tool 모두 제공 가능 한가요?
keysight3 : 네 USB Type-C Test에 대한 Fixture 및 Tool을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윤*환 : 기존의 USB 커넥터로 HOST,Slave가 구분되는데 USB3.1 typeC는 어떻게 구분하나요?(HOST, Slave나 OTG 개념이 사라지나요?)
keysight3 : 커넥터의 모양은 같지만 그 기능은 기존의 개념과 동일합니다.
김*환 : 5G도 기본적으로 LTE인데 상용화 하기 위해서는 LTE라던가 WCDMA 종료 후 종료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야할까요? 아니면 LTE주파수 대역 그대로 사용이 가능 한가요??
keysight2 : 현재로는 5G 상용기술이 확정되지 않아서 기존 상용주파수 대역의 재사용에 대하여 알 수 없으나, LTE-A를 좀더 발전시켜서 5G KPI를 만족하는 방법도 있으므로 그럴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김*호 : [질문] 5G 기술에 대해 항상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4G 나 5G 의 기술적 양은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되고 속도나 데이터량 측면에서 좀더 depth 있게 발전한것으로 압니다. 키사이트에서도 이런 맥락에서 솔루션이 보급된건지요?
keysight2 : 5G 8KFI 를 만족하기 위해서 다양한 Radio 방식이 소개될 것이며 키사이트 Flexible 한 Solution을 제공할 것입니다..
윤*환 : ADS에서 시뮬레이션된 data와 실제 제작된 상태에서 측정값의 오차는 어느 정도입니까?
keysight1 : Board의 구조와 application 주파수에 따라 측정치와의 오차가 달라서, 일괄적으로 얼마다 라고 단정지어 얘기할 수는 없을 것 같지 말입니다. Ground Plane이 ideal에 가까울 수록 측정치와의 차이는 40 GHz까지 잘 맞는 data를 가지고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알려주세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오차는 좀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측정 자체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은 Tool에서 modeling을 잘 못 했다 아니다를 판단하기에는 측정 data의 신뢰성이 떨어져서...역시 오차가 얼마라고 얘기하기가 애매해지는 것 같아요.
신*욱 : SI나 PI는 회사에서도 관심이 많은 부분인데.. 회사에서 직접 구매해서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많이 부담이 됩니다.(Keysight는 있는지 몰랐고.. 타사 제품을 알아봤습니다.) 툴 판매외에 SI나 PI 분석 솔루션만 별도로 지원도 하시는지요?
keysight1 : 타사 제품 대비 가격이 놀랍도록 싸답니다..후발주자다 보니 눈물을 머금고 가격을 완전 싸게 팔고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분석 solution은 별도로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다만, tool 구매를 하시면 따라갑니다..ㅎㅎ
안*규 : [질문] 각 인터페이스의 디버깅에 대한 확인은 어떤 형태로 가능한가요?
keysight3 : 좋은 질문 감사 드립니다. 먼저 디버깅은 complinace 장비와 거의 동일한 장비로 가능하며, 다만 규정 Spec에서 정의한 연결 방법(공식 fixture및 정해진 connection)이 아닌 경우는 probe로 측정 하면, 저희 자동화 SW에서 PCIexpress의 경우 Base spec같은 부분도 지원해 드립니다.
이*용 : 파워소모가 많을것 같은데 밧데리로는 한계가 있을것 같습니다 밧데리가 low 상태가되면 자동보상 처리 기능이 있는지요
keysight3 : 네 Decteciton 하는 controller있습니다.
이*용 : car 움직임에 따라 상대속도 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기존방식은 고정식으로 물체를 탐지하는 경우도 있고 항공기처럼 이동하면서 상대방의 물체이동을 데이터 처리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keysight3 : 네 도플러 시프트로 상대속도 파악이 가능합니다.
서*준 : 5ns 펄스폭의 2v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어느정도 속도로 샘플링해야 하는지요? 이것을 측정하기 위한 pcie 보드 타입 디지타이져보드가 있는지요?
keysight4 : 키사이트 제품중 U5303A 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제품정보는 아래의 URL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keysight.com/ko/pd-2292102-pn-U5303A/pcie-12-bit-high-speed-digitizer-with-on-board-signal-processing?nid=-33699.1059482&cc=KR&lc=kor
이*진 : 누화라면 미세한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을 터인데, 측정 하는 순간의 프루빙 영향으로 인해서 생기는 변화로 인한 안정성은 어떻게 보장하는가요.,
keysight1 :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드릴 수는 없지만, Probing System 에 대한 AC Calibration 기능을 제안해 드릴 수는 있습니다
김*환 : 측정시 Probe Cable 및 상태도 Crosstalk에 영향이 있을 것 같은데 보상 방법 및 측정 Recommend 사항이 있는가요?
keysight1 : Probing System Calibration 을 통해 정상인지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Precision Probe 를 통해 AC Calibration 을 하실 수 있습니다. 즉, Probing System 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실 수 있습니다.
김*환 : 고주파를 저주파 영역으로 내림에도 고주파 영역에서 발생하는 Spurious등은 어떤식으로 처리를 보통 하셨나요??
adi1 : 고주파에서 발생하는 Spurious는 회피 설계를 하거나 Filter를 사용하여 제거하거나 하는 방법 또는 DSP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설계시 주파수나 PCB Layout등을 잘 고려 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김*환 : AD 데이터 고속 처리시 FPGA에서 처리를 많이 하게 될텐데요.. 고온이나 저온에서 장비마다 특성을 어떤식으로 보완하여 처리를 하시나요??
adi1 : 두가지 질문이 섞여 있는것 같습니다. 1. 장비마다 특성 보완 방법 2. 온도에 따른 특성 보완 방법 위의 1.번의 경우에는 장비별로 상온에서 Calibratioon을 해줘야하고 2.번의 경우에는 온도 cycle을 돌려서 온도에 따른 Gain Table을 측정한 다음에 시스템 내부의 온도 Sensor로 부터 읽은 온도 Data를 역으로 보상해 주면 됩니다.
이*인 : xmr특정값에 Theshold를 설정하고 벗어나는 경우만 따로 데이터를 로깅하는 기능이 가능한가요?
fluke2 : PQ이벤트의 경우 공칭값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측정기준이 정해집니다. 이 경우 발생된 이밴트는 별도 저장이 됩니다. 하지만 스코프나 레코더와 같이 임계값을 임의로 설정하여 로깅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이*석 : 기존 1730 모델을 사용하고 있는데 자동정정시 유의할점이 있습니다. 측정결과가 매우 낮은 용량성 역률일때는 물리적인 연결을 모두 정상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을 억지로 변경해서 유도성으로 출력하는 경우가 빈번하더군요.
fluke2 : 자동모드의 경우 모든 연결을 결선 보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각 상의 부하 불균형이 심하다거나 무부하상태(전류가 너무 낮은 상태) 에서는 정상적인 위상차를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자동보정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박*필 : PWM방식에 비해 PFM방식의 리플이 큰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후단에 필터 등을 추가하여 리플을 감소시키는 리퍼런스도 있습니까?
maxim1 : 넵. 이는 출력 입출력 캐패시턴스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합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