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 : DPWB D-power firmware의 기본 생성 되는 파일에는 어떤 내용을 작성해야 하는지요? 예제가 있을까요?
ST1 : PFC의 기본 동작 소스 코드입니다. 사용자가 추가 기능을 넣으시려면 코드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예제파일은 따로 없고 데모보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김*식 : eDSim 환경에서 부품소자의 물리적 특성이 반영이 되는지와 전원 노이즈가 반영되어 출력값으로 표현되는지요?
ST1 : 물리적 특성을 소자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예)ESR, ESL 등
신*영 : 테스트 위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코딩을 해야한 것 같은데요, 소프트웨어 코딩을 위한 프로그램와 예제 소스 같은 것들도 같이 제공이 되는지요>
liquid instruments 1 : 네 그렇습니다. Github에서 도움을 받을 수있고 또 AI를 이용한 코딩도 가능합니다. 본사의 AI를 이용한 코딩 관련 동영상을 참조하세요. https://info.liquidinstruments.com/ai-and-ml
이*준 : Matlab을 지원한다는 건, Matlab에서 callable한 API들을 지원한다는 것인가요? PC, Unix 환경 모두에서요?
Liquid Instruments 2 : 네. 그렀습니다. 그러나, 유닉스(Unix) 환경은 아직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김*수 : AI 모델 사용시 RTOS를 사용하는것과 베어메탈로 구현하는것 중 추천하시는 환경이 있는지요?
ST1 : 추론 시간이 길어져 다른 프로세스 스케쥴링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RTOS도입을 고민하셔야 합니다. OS가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권*혁 : Cube AI를 사용하면 모델별로 필요한 footprint나 필요 사항에 대한 정보를 알수 있나요?
ST2 : 네 STM32Cube AI를 사용하시면 미리 학습된 NN 모델을 포팅하시면 해당 모델이 STM32 MCU에 적용될때 필요한 Memory footprint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김*수 : 응력에 따른 입력 오프셋 전압이 변경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오프셋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오프셋 조정 가변저항 회로는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ROHM2 : 응력은 기판의 모서리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기판 중앙에 OP Amp 를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패키지 사이즈가 큰 것이 비교적 응력의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크기가 큰 패키지를 선택하는 것도 유효합니다.
정*균 : ic나 pcb기생용량관련 노이즈성분을 시뮬레이션상에 넣을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ROHM2 : 로옴 홈페이지에서 OP Amp 설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시뮬레이션은 하기 URL에서 User Guide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https://www.rohm.co.kr/solution-simulator?utm_medium=webinar&utm_source=rohm&utm_campaign=231114
이*복 : STi2Fuse의 EVM 제공 가능한가요?
ST1 : 네 가능합니다. 현재 양산중인 VNF1048F 제품은 홈페이지에 관련 EVM 정보가 있으며, 개발중인 제품들도 준비 중에 있습니다.
강*성 : 소개하시는 Fuse의 최대 반응 속도는 어느정도인가요? 반응 속도는 조정(가변) 가능할지요?
ST1 : 사용자가 설정한 i2t 차단 커브의 리밋라인에 도달시 100us 이내에 차단 가능합니다. 차단 커브의 허용 전류 / 허용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장*형 : TNC 케이블에서 가드 사용하지 않을시 가드와 그라운드 모두 그라운드로 사용하면 쉴드가 두겹으로 되어 노이즈레벨이 줄어드나요? 가드를 그냥 플로팅 해두는것이 좋은가요?
tektronix2 : Triax 케이블의 가드를 공통 그라운드로 두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가드는 필요한 경우에 설비안 쉴드박스 등 연결하며, 이외에는 플로팅으로 둡니다.
이*영 : SMU를 사용할때 voltage를 이용해서 current를 측정할려면 Sense Hi 와 Sense Lo 를 연결해서 사용해야하나요?
tektronix2 : Sense HI Sense LO는 4단자 측정방법을 이용할때 사용합니다. 전압 전류 기본측정에는 force hi force lo만 이용하면 됩니다
이*준 : Noise 의 특성을 알고 있다면 이를 고려한 SW 적 보정도 가능한가요
NI_1 : 네 데이터 수집장비와 함께 활용하는 LabVIEW 혹은 DAQ에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정이 가능합니다. 보정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오늘 웨비나를 진행한 E14 박충억 담당자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임*수 : Loadcell 데모에서 로드셀의 신호 측정값이 뉴턴으로 표시되던데요, 전압으로 측정되는 로드셀 센싱을 뉴턴으로 환산하려면 별도의 캘리브레이션을 해야하지 않나요?
NI_1 : DAQ 구매 시, DAQmx라는 드라이버에 API에 센서 스펙넣으면 뉴턴으로 환산해주는 함수가 있어 활용이 가능합니다.
최*완 : 션트 사용의 경우 전력회로와 절연이 힘들기 때문에 노이즈 문제가 클 수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나요?
Arrow3 : 일반적으로 noise 및 회로 보호 목적으로 전연지원 제품을 사용합니다. Rogowski coils 을 통해 AFE 처리 후 뒷단 interface를 절연하는 방법, ISOLATION BARRIER 가 적용된 AFE 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주 : ADE9430 모니터링 장치 이용시, 매개변수 계산이나 복잡성과 관련해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요?
Arrow1 : 고차 Hamonic 측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중의 하나입니다.
조*익 : 영상 검출을 잘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모듈 주변에 LED 밝기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24시간 무족건 밝기를 강하게 할 수가 없어 주변광 센서로 해당 부분을 측정하여 영상 검출이 정확하게 상태를 확인가 가능하지 안을까 생각 듭니다 주변광 센서 적용에 맞는지 문의 드립니다
ST1 : Flicker 정보와 색온도 정보 그리고 주변광 밝기 정보를 가지고 Camera 측정시 참고로 사용 하실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IR/CLEAR 대비를 사용 하시면 실내 실외를 구별 하실수 있습니다.
정*수 : 센서값은 캘리브레이션이 필요없는가요?
ST1 : 저희 센서는 본사에 Factory 에서 자체 Calibration 값을 OTP 에 저장하고 있어 출력값을 Calibration 이 필요 없습니다
박*필 : 데이터시트를 찾아보면 알겠지만, WBZ451 Zigbee 딥슬립 상태에서 소비전류가 얼마인가요?
Microchip_Luke : 온도나 MCU 의 다른 설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Data sheet 상에서 명시된 Case 를 말씀드리면 3.3V 에서 1.2uA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Data Sheet 의 43장7절을 참고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식 : WBZ451 Module에서 2개의 상이한 무선PHY단을 Bridge형태로 적용하기 위해 BLE와 Z.B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지요?
Microchip_Chris : 네 동시에 사용 가능합니다. Arbiter manager SW와 HW arbiter 가 있어 동시 가능합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