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Multi-Antenna와 Multi-port 소자 측정을 위한 혁신적인 VNA 솔루션/2부: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키사이트 측정 솔루션

임*광 : source power calibration을 한다는 얘기는 미리 Driver amp.의 power를 선형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VNA의 출력 power를 조절 한다는 얘기인가요?? 그렇다면 어떤 table 형태로 Cal. data가 저장되는 것인지요??

keysight7 : 예. Power mter를 가지고 Test port power가 원하는 값이 되돌록 조정합니다. 더불어, leveling 도 가능합니다.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알테라의 고해상도 영상처리 4K 솔루션

서*준 : 4k 솔루션이 경쟁사와 차별된점은 무엇인가요?

altera9 : Interface IP - DP,Vx1,SDI,HDMI VIP - video image processing IP의 지원이 다른 점입니다. 타사에도 있겠지만, Altera 입장에서는 동작의 신뢰성이라든지 쉬운 구현이 장점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엽 : dsp로 이미지 처리와 FPGA 단독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LCD표시할때 누가 더 빠르게 구현가능한가요? 보통 FPGA에서 로우 데이터 게더링 후 dsp에서 이미지 구현을 하는데 FPGA 단독 사용시 충분할런지요?

altera1 :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인해 봐야 하지만 FPGA 단독으로도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1부:개발과 양산 모두를 위한 새로운 LTE Advanced 측정 솔루션/2부:5G 주요 기술 및 설계와 측정방안 소개

임*광 : 다중안테나를 사용해서 beam forming을 할 때, ant beam pattern은 시뮬레이션으로 확인이 되는 건가요?

keysight9 : 네, SystemVue software를 이용하면 다중 안테나에 대한 Beam pattern 시뮬레이션 확인이 가능합니다.

무* : [질문] 기존 4세대 시스템보다 1,000배 정도 빠른 속도를 가진 5G를 사물인터넷(IOT)에 접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keysight9 : - 단말 접속 수 제어 방법 - 단말의 이동관리 및 제어 - 인가된 단말 확인 절차 - 단말 대 단말 통신 프로토콜 - IOT를 통한 컨텐츠 등으로 생각 됩니다.

효율적인 스마트 머신 개발과 스마트 팩토리 구현

박*상 : 오늘 정말 유익한 세미나였습니다..고맙습니다..^^ 여러 제어 시스템과 이기종 컴퓨팅 아키텍처의 조합이 가능한지요?

ni1 :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미 NI cRIO / sbRIO 시스템에서 이기종 컴퓨팅 아키텍쳐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제어 시스템과의 통합도 가능합니다.

서*준 : 카메라 이더넷 통신방식 외에 다양한 고속 카메라 통신방식이 상용화 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ni의 로드맵은 어떻게 되나요? hs-link방식, coaxpress 방식등이 고속 카메라용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ni1 : 네 다양한 고속 인터페이스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만, NI 는 hs link 방식은 로드맵상에 있으나 coaxpress 방식은 현재는 지원예정이 없습니다.

드라이블럭 교정기를 이용한 올바른 센서 교정방법

박*필 : 표준센서와 온도계를 교정하여 사용한다면 드라이블럭 교정을 하지 않아도 편차를 감안하여 사용하면 되지 않나요?

fluke0 : 기본적으로 교정을 받아 사용하는 것이 기본입니다만, 온도 센서의 특성상 경년변화가 발생시 잘못된 측정 값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에 따른 잘못도니 측정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점검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박*상 : 사용온도가 최대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fluke1 : RTD는 -200 ~ 1200도 서미스터는 -200 ~ 400도 열전대는 -270 ~ 1300도 까지 측정가능합니다

업계 최초의 무선 MCU 플랫폼으로 배터리 없는 사물인터넷 구현

김*수 : 질문 순서가 바뀌어서 나오네요?PIR센서를 사용시 신호를 증폭해야(60~80db) 하는데?..증폭회로가 내장되어 있다는 소린가요??

ti5 : 이제품은 ADC, SPI, I2C, constant current source와 같은 interfa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IR센서에서 신호 증폭이 필요하다면 관련 주변회로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승 : 배터리 사용을 저전력으로 하여 최대한 코인셀로 운영하는것 같은데요? 기본적으로 배터리 내구연한이 있기때문에 그렇다고 영구는 아닐것 같은데요.사용기간이 얼마로 생각하시는지요?

ti0 : 말씀하신데로 밧데리의 자가 방전 때문에 영구는 힘듭니다. metering application인 경우 밧데리 수명을 10년정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CB의 고속신호 전송 특성의 이해와실제 보드에서의 측정 데모

이*우 : 측정 시 gnd 위치에 따라 폐루프가 형성되어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가깝게 gnd을 잡고 측정하는 것인지요?

dsf9 : 예, gnd가 멀면 루프 인덕턴스가 커지므로 측정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김*진 : 신호 감쇄의 주로 원인이 LCR에 의한 임피던스 매칭 이외에 다른 부분을 의심할수도 있는지

dsf9 : 예, 유전체에 의한 손실이 크고요. trace의 roughness도 고속신호에서는 영향을 줍니다.

5G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5G 무선 통신기술 웹세미나

무* : FBMC의 여러 강점이 있는데 과거에는 어떠한 이유로 표준단체에서 좀더 빨리 표준에 적용되지 않았는지요?

keysight2 : FBMC는 1960년대부터 연구가 되어 왔니만 OFDM대비 필터 구현도가 복잡해 대부분의 표준 단체에서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P1901 에서 는 채택)

박*성 : 시스템 뷰에서 제가 만든 알고리즘을 넣을 수 있나요? (코딩이 가능 한가요?) 그리고 물리계층에서 channel coding도 넣을 수 있나요?

keysight8 : Matlab script 를 사용하거나 Visual Studio C++ 모델을 사용하여 Custom알고리즘을 넣으실 수 있습니다. Channel Coding도 넣을 수 있습니다.

NI myRIO를 이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따라하기

임*재 : myRIO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개발 이전에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은 무엇이 있는지요? 즉, 왜 myRIO를 굳이 선택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ni9 :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myRIO의 경우 FPGA와 Real-Time O/S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용 하게되었고 소형 장비를 개발함으로써 사이즈도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한*준 : 프로그램 개발 완성 후 버그나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 툴이 별도로 있나요?

ni3 : 네, Software validation 툴이 별도로 있습니다.

전문가급 열화상카메라 100% 활용하기

강*완 : 측정거리에 따라 온도츠정 오차에 변화가 있나요?

fluke2 : 거리에 따른 오차는 따로 없고,거리가 멀어져서 물체가 작아지면 낮은 해상도의 제품으로는 구분이 어려워서 검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김*식 :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가용 열화상카메라를 100% 활용하려면 고려해야하는 가장 중요한 팁은 무엇인지요?

fluke2 : 우선 그 제품의 기능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 기능들을 어떻게, 어떤 분야에 사용하면 좋은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는 사용 목적에 따라 촬영 기법도 달라지며 기능도 달라지게 됩니다.

LED 조명 시장 요구사항 및 Single Stage Flyback방식의 LED 조명 기술 개요

권*원 : PF나 THD를 향상하는 방법은 어떤 건가요

fairchild0 : DCM으로 설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앞단에 필터에도 영향이 있겠지만 트랜스에Lm 전압을 감지하는 부분도 파형을 보면서 해결해야 합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