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조명 시장 요구사항 및 Single Stage Flyback방식의 LED 조명 기술 개요

서*준 : 조명회로의 수명은 어느 정도 되나요? 오래 사용하면 부품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이 있나요?

fairchild0 : 조명수명은 전체 수명을 보통 5만시간을 이야기 하는데 power에서 수명을 보증할지는 의문입니다 보통 cap수명이 짧습니다

Cortex®-M0+ 기반의 Atmel®|SMART™ SAM D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주변 개발 환경 소개

정*엽 : home IoT를 응용하기 위해서 일반 가전제품과의 Interface도 개발되어져 있는 것들이 있나요?

atmel9 : SAMD20 + WIFI, Zigbee,BT 를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놓은 제품이 있습니다. ( MCU + wireless device ) , SAMD20 의 경우 Wireless 로 다른 장치와 연결하면서 가전제품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정*문 : [질문] MCU에 임베디드 플래시 대신 비휘발성 메모리를 넣은 제품도 생산되는지요?

atmel2 : 저희는 Flash 내장버전 MCU와 Flashless 버전인 MPU 가 있습니다. SRAM은 내장되어져 있기는 하나, Flash 대신 비휘발성 메모리 제품은 없습니다.

DC 전압에 실린 미세 노이즈 측정 (Power Rail 신호무결성 측정)

서*준 : FFT 측정으로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는데 노이즈 성분도 측정이 되어서 실제 신호의 주파수 지터특성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100KHZ 파형을 측정하면 노이즈에 의해 다양한 주파수가 측정되어서 실제 신호의 주파수 지터특성 파악이 어렵습니다. 노이즈 주파수를 무시할 수 있는 좋은 측정 방법이 있는지요? 실제 100KHZ 출력신호는 101KHZ~99KHZ에서 출력되는데 이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지 측정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keysight0 : 말씀하신 경우는 100Khz 신호가 잘 나오는지 확인하시는 방법은 이신호에 대한 Ref clock를 잡아서 ref clock과 입력 신호를 비교하야 지터 성분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준 : 어떤 측정구간에서(외부에서 스코프로 입력되는 측정 시작/정지 신호 입력구간)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의 최대주파수와 최저주파수를 실시간 측정헤서 스코프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나요? 특정구간에서 신호이상 유무를 판단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스코프에는 이런 기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keysight0 :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FFT를 이용해서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단 이때 주파수 성분은 신호에 들어있는 모든 성분이기 때문에 Gain을 확인 하시여 확인 해야 합니다.

시스템 설계 확장성과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AC-DC 그린 모드 벅 스위치

이*용 : EMI 시험에 나타나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필터를 사용하는데 EMI 방안은 회로적으로 적용되어있는지요

fairchild1 : 네 회로에도 구성되어 있으며 IC에 jitter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용 : 라이증 소모전력은 순간적으로 높으면 노이즈 리플도 같이 상승하는데 노이즈 제거를 위한 회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요

fairchild1 : Noise 제거를 위한 구성은 external component로 구성해야합니다.

진동계를 이용한 효과적인 설비관리

박*열 : 베어링 윤활방법 및 사용환경에 따라 마모정도가 틀린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말씀하신 마모패턴 알고리즘으로 베어링 사양을 얼마나 상세하게 선택이 가능한가요?

fluke1 : Fluke-810은 베어링타입을 입력하게 되어있지 않습니다. 마모주파수를 탐지하여 진단합니다. 볼타입인지 저널타입인지 선택할 뿐입니다.

박*우 : 진공펌프 베어링 보수중입니다. sensor bandwidth와 하모닉스를 고려했을 때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한 RPM은 최대 어느정도가 될까요?

fluke1 : Fluke-81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최대치는 200~20,000rpm입니다.

PollEx DFE/SI를 활용한, SI/PI/EMC 대응 설계

김*영 : LCD module I/F로 LVDS, eDP, Vx1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고속 differential signal의 SI 도 문제없이 가능하겠지요? 또한 0.65T, 8층, build-up PCB의 경우도 simulation 가능한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polliwog0 : 넵, 현재 USB3.0등 High Speed Differential Simulation도 많이들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정*호 : 기존SI tool 의 경우 초기 setup에 따라 AC/DC 결과가 많이 차이가 나는데 본 tool은 이러한 문제가 없는지요 ?

polliwog1 : 기본적으로 SI Tool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Parameter들이 있습니다. Stack Up, Material 정보, Driver/Receiver Model(IBIS, Spice, Linear Model)등이 필요한데 이 정도 정보는 있어야 가능하고, 이외에 나머지 정보는 가급적이면 자동으로 검출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TI 오토모티브 LED 조명 솔루션을 조명한다.

김*보 : high side currnet sensing을 하는 경우 출력단이 Vcc단락이될 경우 OCP 검출은 어떻게 하죠?아니면 내부 OCP 센싱은 어떻게 하는지요?

ti0 : IC 내부 감지 기능이 있습니다.

정*엽 : 센싱용 저항으로 LED 전류를 제어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다면 이 저항에 대한 방열 설계가 필요한지요? 그리고 보드 설계시 큰 면적을 차지 하지 않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ti0 : TPS92602에 대한 질문인지요. 이는 사용 전류에 따라 차이를 갖습니다.

또 하나의 SoC(System on chip), System on MAX 10

한*욱 : 자동차 분야에서 MAX10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떤부분으로 예상하시는지요..또한 ISO26262 대응 현황 또는 계획이 있는지요..

altera9 : Functional safety 관련된 사항은 Cyclone 및 SoC device 위주로 FSDP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MAX-1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준비될 예정입니다.

한*욱 : 자동차 분야에서 MAX10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떤부분으로 예상하시는지요..또한 ISO26262 대응 현황 또는 계획이 있는지요..

altera9 : Functional safety 관련된 사항은 Cyclone 및 SoC device 위주로 FSDP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MAX-1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준비될 예정입니다.

IoT부터 모터 제어까지 최신 32비트 MCU 제품의 종류와 개발 환경

신*섭 : 원격 펌웨어 업로드도 가능한것 같은데요? WIFI로 되는 있는 솔루션이 있을까요..?

e4ds : 메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

곽*진 : 강의 대로라면 참 훌륭한데요오토모티브 관련해서 사용할려면 신뢰성 인증 관련해서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은데

freescale0 : 오토모티브의 경우 오토 퀄 된 MCU가 따로 있습니다.

DC Power 제어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다양한 전력 측정 및 분석

po***** : 암메타는 전류 프로프의 동작과 유사 한것인가요 ? 그러면 온도 특성이 어떠게 되는지요 ?

keysight0 : 전류프로브는 션트 형태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제품의 경우에는 zero 션트로 저항값 없이 측정 가능합니다. 온도역시 저항체의 (션트)의 영향이므로 온도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서*준 : 션트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전류측정을 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인가요?

keysight0 : 전압을 0V로 출력시키고 current를 모니터링하는 형태 정도 입니다.

저전력 스페셜리스트 STM32L0, 베일을 벗다!

한*남 : STM32Cube에서 저전력 설계를 위한 Tip에 대한 설명부탁드립니다

st0 : STM32cube에서 Power consumption calculator 탭에 보시면 Vdd Power Supply 설정 및 clock source설정, 각 peripherals 의 소모전류 설정을 가능하여 저전력 설계를 위해 참고로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