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균 : 사용하는 전력용량에 따라서 싱글엔디드와 하프브릿지로 나눠서 설계를 한것인지 궁금합니다.
Infineon_1 : Single ended는 파워가 커질 수록 전압 또한 높아지므로 IGBT 내압 또한 높은 제품이 필요하므로 용량이 커지게 되면 half bridge로 사용하시게 됩니다.
문*진 : 초음파 발진 부분에서 노이즈를 최소화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와 ocs 는 어떤 것인지요?
Microchip_Douglas : High Freq에서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은 crystal 결정의 물성에 관한 것입니다. 또한 앞서 설명한 mount package의 구성이 신뢰성과 high Q를 개런티 합니다. 이런 아이디얼한 발진을 전제로 하여, 주변회로의 FB에서 공진주파수 주변의 Band Pass 필터등의 MUX를 구성하여 noise cancelation 알고리즘을 구성할수도 있습니다.
김*열 : OSC의 출력 주파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VCXO와 VCSO와 같이 종류별로 주파수 범위가 다른가요?
Microchip_Douglas : 크리스탈의 주파수 범위는 어떤 진동모드를 사용하는가(어떤컷을 이용하는가) 또한 진동모드에 따른 체적이 얼마만큼 큰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일 두께 진동모드를 쓴다고 하면 두께가 얇을수록 주파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vcxo와 vcso 자체만으로 주파수의 범위가 더 높다 낮다고 이야긱 하기는 어렵습니다.
Microchip_Douglas : 약간의 오타는 이해 부탁드립니다. ㅎㅎ
박*영 : Proximity와 force의 경우에는 self cap sensing을 위해 어떤것을 다르게 설정해야 하나요? 신호 설정 이외에도 다른것을 설정해야하는게 있을까요?
Infineon_1 : Proximity sensing 의 경우에는 센서 주변의 기생커패시터를 줄여주기 위해 shield 설정이 필요하지만, force sensing 의 경우에는 특별한 설정을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정*균 : adc, dac, op amp 성능과 몇개가 들어가 있는지요?
Infineon_2 : 각 기능들은 PSoC의 시리즈마다 들어가 있는 개수가 틀립니다. 기본적으로는 ADC x 1, DAC x 1, opamp x 2 구성이되고 추가적으로 시리즈별로 더 들어가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Datasheet를 보고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김상** : [질문] 전작인 스트라틱스 10 FPGA(Stratix 10 FPGAs)보다 성능이 구체적으로 어느정도나 향상되었나요?
intel2 : Core fabric Performance는 기존에 Statix 10 의 Hyperflex 구조보다 향상된 2nd hyperflex 구조로 최대 40% 성능 향상이 있며 High Speed channel의 경우 Tile 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신*호 : Xeon과의 Coherent I/F는 CXL로 연결되나요? 아니면 intel의 QPI나 UPI로 연결되나요?
Intel4 : CXL로 연결될 예정입니다. R-Tile에서 지원합니다.
김*열 : [질문] 측정 오차 보정을 위한 자체 기능은?
tektronix2 : 소스미터 등의 계측기에는 NPLC(Number of PowerLine Cycle)과 Auto zero 기능이 있습니다.
이*진 : 일반적인 전원 측정과 배터리 전원 측정시 장비나 방법에 있어서 다른 점이 특별히 있는지요? 저는 (그동안 전원 소스에 대한 구분없이 그냥 전원 레벨이나 전류만 보고 구분없이 측정해왔었습니다..)
tektronix2 : 완성된 셀 수준이라면, 전압 레벨에 따른 방전테스트를 진행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웨비나 내용 중에 셀 사이클링 테스트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더 자세한 문의는 저희 메일로 전달부탁드립니다.
박*춘 : MEMS 센서에서 노이즈에 대한 보산회로가 있나요?
ST4 : 내부에 노이즈 줄이기 위한 Filter가 있습니다.
채*기 : STHS34PF80 감지 최대 거리는 어떻게 되나요?
ST2 : idle한 상황에서 아래와 같습니다. Reach up to 4 meters without lens for objects of 70 x 25 cm² and up to 6 meters for assumable human body size
ST2 : 노이즈가 없는 실험실 테스트 조건으로는 6M까지 감지 가능합니다. 다만, APPLICATION상에서의 활용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만, 인감지에는 2~3M정도가 안정적입니다.
강*구 : 기존 Qi 1.2.4 인증 받은 송신 제품에서 SSS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인증 칩을 적용하여 Qi 1.3을 인증 받는 방법도 가능한가요?
Microchip_Peter : Qi 1.2.4에서 몇가지 기능이 추가 및 변경되었으며, 그중 인증이 한가지 입니다. 또한 기존 Qi 1.2.4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들이 Qi 1.3용으로 신규 솔루션이 나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진* : Qi ID를 받기 전에 Qi1.3 인증 개발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Microchip_Peter : 테스트를 위해서 마이크로칩에서는 Dummy 인증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정 : [질문] Power density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인버터 구성 요소 대응등 인피니언만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Infineon_1 : 안녕하세요. Power density를 높이기 위해 낮은 Rds_on과 switching loss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고, package도 SMD, Through hole, module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김상** : [질문]빠른 충전 속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전력 수준이 3.6kW에서 22kW로 높아진 동시에 무게가 늘어나면 주행 거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OBC의 크기는 줄어들고 있고 최근에는 OBC의 전력 밀도를 현재 2kW/L 미만에서 4kW/L 이상으로 높이고자 하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는데 따른 인피니언만의 대응책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Infineon_1 : 안녕하세요. Infineon에서는 Si/SiC와 같은 다양한 technology의 device와 Best-in Class의 성능, 및 다양한 package로 high power density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박*언 : NFC 관련 최근 보안 이슈들은 없는지 문의 드립니다.
ST1 : 안녕하세요 보안 이슈는 없습니다만, ST는 encryption 기능이 있어 데이터가 전파될 때 외부 spy장비로 정보를 가져가더라도 해독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암호화 기능이 있습니다.
강*준 : 수고하셨습니다. NFC 전력 전송은 1W CONTINOUS 하게 최대 거리가 얼마일까요?
ST1 : 카드 종류, 리더의 안테나 크기마다 다릅니다만 저희 데모보드는 66mm x 66mm 안테나 크기를 가지는데 이때 V카드의 경우 170mm까지 나옵니다.
이*진 : [질문] 사람이 직접 하는 것 대비 시간과 정확도는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요?
CREAFORM1 : 안녕하세요!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캔하는 것과 정확도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스캔 시간의 경우 로봇 티칭 경로 최적화 및 세팅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가 스캔하는 것보다 더 빠른 스캔이 가능합니다.
김상** : [질문] 실제 산업현장에서 자동화 솔루션 도입을 위해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모든 광학식 측정장비의 최대 취약점이 온도변화라고 생각되는데 솔루션도입시 이를 보완해줄 방안은 무엇인지와 또한 휴대성이나 사용편의성도 고려해야하지않을까 생각해야하지않을까요?
CREAFORM1 :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설명드렸던 내용에 포함되었던 바와 같이, 물체 크기 및 요구 C/T, 그리고 측정 시스템을 설치할 공간의 넓이 등이 제일 중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온도의 경우 저희 장비에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키트가 포함되어 있기에, 온도 변화가 심해진 경우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시면 바뀐 온도에 대한 보상 값이 적용되어 계속 작업을 진행 가능합니다. 휴대성의 경우에는, 자동화 장비는 설치 및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성을 고려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만, 저희 장비의 경우 분리하여 휴대할 경우도 광학식 트래커 장비 중에서 가벼운 편이기에 휴대성이 좋은 편 입니다.
임*수 : 실내 공기질 센서라고 하면 VOC 센서가 먼저 떠오르거든요. VOC 센서로 CO2도 간접적인 측정을 할 수는 있는데, 인피니언의 CO2 센서의 측정치가 그보다는 정확한거겠죠? 가격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나요?
Infineon_1 : 반도체 방식의 VOC센서는 CO2를 직접측정하는것이 아니라, VOC를 측정하여 CO2를 간접 추정하는데다가, VOC이외에도 습도나 다른 가스에도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농도 측정의 정확성은 매우 떨어집니다. PAS CO2센서는 PAS 방식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직접 측정합니다. Infineon PAS CO2센서의 accuracy는 +/-30 ppm +-3 % of reading 입니다. 가격 관련해서는 인피니언 대리점을 통해 문의 부탁드립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