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0 08:30~14:00
keti / 양우석 책임연구원
박*홍2017-01-10 오전 10:58:43
Cu 나 Al 과의 합금화는 용이할까요?KETI12017.01.10
일반적인 금속에서의 합금형태를 이루지는 않지만 Cu나 Al과의 복합체 형성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습니다.이*성2017-01-10 오전 10:52:40
내구성은 어떻게 되나요?KETI12017.01.10
기본적으로 그라핀은 강철에 200배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구리보다 100배이상의 전기가 잘 통하며, 특히 탄성이 뛰어나 늘리거나 구부러져도 전기적성질을 잃지않습니다.박*우2017-01-10 오전 10:51:32
필터로 걸러진 황산의 순도는 정확히 어떤가요?KETI12017.01.10
80%이상으로 온도, 습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납니다.최*석2017-01-10 오전 10:50:54
연구와 동시에 기술의 표준 특허에 대한 KETI의 대응도 함께 하시고 계신중인가요?KETI12017.01.10
그래핀 기술의 표준화에 대한 중요성을 KETI도 인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관련된 특허를 진행하고있습니다.신*일2017-01-10 오전 10:50:40
물질에 대한 ROHS 는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MSDS 등 안전과는 큰 장벽은 없는지요..?KETI12017.01.10
산화 그라핀이 정식 제품으로 등록되어있지않아 ROHS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안전분야에서는 나노라는 장벽과 반응중인 황산을 이용한다는 장벽이 존재합니다.김*식2017-01-10 오전 10:45:24
[질문] 현재 꿈의 소재 그래핀을 활용하여 산업체에 잘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예를 한번 들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KETI12017.01.10
지금 상용화된 제품으로는 중간제로서 잉크 및 페이스트화를 달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에 연구중입니다.허*현2017-01-10 오전 10:44:31
기존 실리콘 웨이퍼를 대체할 가능성도 있나요?KETI12017.01.10
실리콘 웨이퍼와는 응용분야가 다르기때문에 현재 기술로서는 대체할 가능성이 미비합니다.김*식2017-01-10 오전 10:44:26
[질문] 그래핀을 박리하여 제조시에 제조시간과 페수등의 문제가 있다고 하셨는데요, 그 해결 방안이 궁금 합니다.KETI12017.01.10
제조시간의 문제는 층간의 산화제 삽입속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전단응력을 인가하는 장치를 고안하였습니다. 반응이 끝난 황산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실험도 진행하였습니다.김*식2017-01-10 오전 10:43:37
[질문] 꿈의 나노 물질인 그래핀 소재를 활용할수 있는 우리의 산업분야는 어느 분야 인지요?KETI12017.01.10
배터리, EMI 전자파차폐, 반도체 컴퍼짓, 센서 등등 여러 응용분야에 연구중입니다.김*식2017-01-10 오전 10:42:41
[질문] 신소재인 그래핀을 만약에 IoT 디바이스나 장치등에 활용한다면 어떤 용도도 사용이 가능 할지요?KETI12017.01.10
IoT 디바이스에서 센서가 탑재되어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분야에 전극 및 센서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