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14 10:30~12:00
Microchip Technology Inc. / 김민근 책임
전*욱2023-02-14 오전 10:38:06
싱글페어도 컨넥터는 RJ45인가요?Microchip_Brandon2023.02.14
아닙니다. 보통 in-line connector가 적용됩니다. 뒷 부분에도 나오는데 산업용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connector가 있습니다.조*익2023-02-14 오전 10:37:47
산업용으로 사용시 케이블 길이가 문제가 됩니다 해당 부분의 길이로 1Gbps 달성 가능한 기술이 반영될지 기술적 답변 부탁합니다Microchip_Jean2023.02.14
오토모티브 환경에서 1Gbps에 의한 SPE는 이미 양산 적용 되어서 생산중 입니다.강*호2023-02-14 오전 10:36:08
HKMC 적용 사례가 있으신지요?Microchip_Frank2023.02.14
현재 여러 OEM에서 CAN/LIN 대체를 위한 여러 Application 개발/검토 중이며, 자세한 사항을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HKMC 쪽에서도 관련 스펙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 OEM의 경우 24년말, 25년부터는 실차종이 나올것으로 예상합니다.이*학2023-02-14 오전 10:35:34
케이블 타입에서 트위스트 케이블이 적용되어야 노이즈에 안정적인가요?Microchip_Brandon2023.02.14
네, 그렇습니다. Differential signal에서 발생하는 common mode noise를 제거하기 위해 twisted pair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그 외, 오토모티브에 적용하기 위해 SPE의 PHY 설계부터 전체 bandwidth를 줄이도록 만들어졌습니다.조*익2023-02-14 오전 10:35:01
제가 알기로 몰렉스에서 미래 기술 포트폴리오 자료를 공개 했다는 의견이 있는데 혹시 마이크로칩스에서도 있는지 문의 합니다Microchip_Jean2023.02.14
마이크로칩은 현재 10Base-T1S뿐만이 아닌 MultiGig Bit 솔루션에 대한 제품 로드맵도 가져감으로써 앞으로 더욱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오토모티브 환경에 대해서도 준비하고 있습니다.이*제2023-02-14 오전 10:33:17
SPE를 적용하기 위한 대략적인 솔루션 비용을 알 수 있을까요?Microchip_David2023.02.14
비용적인 측면 별도로 문의 주시면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조*익2023-02-14 오전 10:32:58
네트워크 표준을 위해 통일된 spe 새로운 기반 마련 기술로 생각하는데 다양한 기술 장벽에 문제가 없을지 의견 부탁합니다Microchip_Frank2023.02.14
기본적으로 IEEE spec을 준수하여 개발된 스펙으로, 기존 레거시 이더넷에서 검증된 프로토콜을 준수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존 이더넷과의 호환성을 위해서 마이크로칩에서 제공하는 PHY 제품은 RMII,MII, SPI, OA-3pin interface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Microchip_Brandon2023.02.14
기술 지원의 측면을 말씀하시는 가라면 타벤더 대비 월등한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허*현2023-02-14 오전 10:31:19
쉘드포함된 이더넷케이블의 쉴드라인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양쪽 모두 연결하나요? 어느 한쪽만 하나요?Microchip_Jean2023.02.14
UTP이므로 별도의 Shield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신 Twist가 된 케이블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별도의 고무와 같은 재질로 감싸져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Jacketed cable이라고도 부릅니다.황*현2023-02-14 오전 10:26:30
앤드 디바이스는 센서등 간단한 기능만 하고.. 이를 네트웍으로 통합하여 어플을 구성할려고 합니다.Microchip_Jean2023.02.14
말씀하시는 엔드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IVI환경 자체가 먼저 이더넷으로 구현이 되어있다면 말씀하신 것처럼 엔드단말까지 구현이 가능합니다.황*현2023-02-14 오전 10:24:53
보통 회사에서 허브는 상용제품을 사용하고 앤드 단말은 이더넷 지원만 하면 되는Microchip_Jean2023.02.14
허브의 사용제품이 이더넷 스위치 허브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오토모티브 환경에서는 센트럴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고, 엔드 단말은 오토모티브 환경에서 기존 CAN/LIN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