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27 10:30~12:00
Tektronix / 박영준 상무
김*태2024-02-27 오전 10:54:21
전기자동차가 발전해가는 요즘 기존 내연자동차와 달리 더 강조되는 통신상의 문제점등이 있을까요?tektronix12024.02.27
전기적 특성에서의 통신상 문제라기보다,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운용 설계, BMS, OBC 등의 전력쪽의 컨트롤이 더많은 화두 입니다. ADAS, infotainment 등은 기존 내연기관이나 전기차에 따른 다른 설계방식의 차이는 아닙니다.정*균2024-02-27 오전 10:40:40
대부분의 자율주행 자동차는 라이다를 이용한다고 봐야 되는지요? 혹시, 자율주행시 라이다 이외의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tektronix12024.02.27
거리 인식의 경우 도플러효과를 이용한 Radar , 자동 출발정지, 급제동을 위해서는 초음파센서등도 사용 되고있습니다. 라이다 센서의 경우는 후처리를 위한 정보 처리를 위한 경우 더욱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정*균2024-02-27 오전 10:34:40
자동차안에서 유선대신 무선통신으로 모든 정보를 취합하는 방법도 있는지 궁금합니다.tektronix12024.02.27
무선통신과 유선통신의 범위가 달라서 사용 범주는 다릅니다. 유선 통신의 경우 고속신호 통신을 사용해서 디스플레이 및 ADAS 에 많이 사용하고, 무선 통신으로는 외부의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사용됩니다.서*영2024-02-27 오전 10:28:32
[질문]저속 차량 Network Technology로는 급증한 차량의 전자 장치를 빠르게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속 Data 통신을 위한 Automotive Ethernet 등의 고속 차량 Network 통신 기술이 차량의 필수 요소는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tektronix12024.02.27
기존의 Low speed serial 측정하던 방식에서 고속 측정을 위해 오토모티브 이더넷을 기반으로 백본 측정을 하고, ADAS 등에서 PCIE, eDP 등 여러가지 인터페이스를 사용합니다. 또는 USB등도 고속의 인터페이스도 사용하며, 금일 소개드릴 자료에서 MIPI 등의 application 도 소개합니다.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