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15:00~18:00
e4ds / 조성재 교수
최*빈2025-07-15 오후 4:53:58
노이즈가 생기면 전원 IC 문제인지, 패턴 때문인지 판단이 잘 안됩니다. 원인을 빠르게 추려내는 디버깅 순서가 있을까요?e4ds012025.07.15
전원 문제인지 패턴때문인지를 구분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전원을 깨끗한 전원으로 공급해보는 것입니다.홍*철2025-07-15 오후 4:52:52
중간에 잠깐 휴식시간이 있나요?e4ds2025.07.15
현재 녹화 방송이어서 중간 시간을 끊기가 애매한것 같습니다. 다음번에는 이런 세세한 부분을 잘 챙겨보도록 하겠습니다. ㅜㅜ;;;김*진2025-07-15 오후 4:49:16
다층 PCB에서 GND분리라는 개념은 Top층부터 내층 포함하여 Bottom층까지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DGND는 DGND끼리 AGND는 AGND끼지 저항 낮추기 위한 VIA를 설치하는거고 나중에 Source쪽이나 한점으로 GND를 연결하고 물론 한점 면적은 회로내 소모전류를 계산해서 적당한 굵기로 연결하면 되는 개념일까요?e4ds012025.07.15
층으로 분리한다는 개념이 아니고 같은 전원이라도, 같은 GND라도 전원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는 분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회로마다 전원과 GND를 분리하면 패턴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보통은 디지털전원과 아날로그전원, 디지털GND와 아날로그GND를 분리해서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더 분리할수도 있습니다.김*민2025-07-15 오후 4:43:53
감사합니다.김*선2025-07-15 오후 4:43:05
IC 전원에 Decap과 bead를 조합해 달아야 할까요. 결국 IC의 전원 리플를 잡는 용도라면 decap 만으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요.e4ds012025.07.15
decap으로도 충분한 경우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bead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최*재2025-07-15 오후 4:38:04
예 감사합니다박*근2025-07-15 오후 4:31:19
전원 분리가 중요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렇게 실험으로 비교 확인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e4ds012025.07.15
감사합니다.^^김*진2025-07-15 오후 4:26:55
다층 PCB에서 GND분리는 한 점에서 시작해서 돌아갈 때까지 서로 GND끼리 만나지 않아야 한다는 거지요? GND VIA를 많이 설치한다고 분리가 되는 개념은 아닌거죠?e4ds012025.07.15
비아를 많이 설치하는 것과 패턴분리와는 다른 것입니다. 비아를 많이 설치하는 것은 패턴의 저항을 줄이고 폐루프 면적을 줄이기 위한 방편입니다.김*선2025-07-15 오후 4:26:42
말씀하신대로 전원과 gnd를 분리를 최우선으로 설계했다면 bead는 불필요할까요?e4ds012025.07.15
전원과 GND의 패턴분리를 하면 간섭효과를 최대로 줄일수 있지만 패턴 분리를 하더라도 하나의 구동회로의 부하 전류가 변화하면 역시 전원 노이즈가 발생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bead나 필터를 추가할 경우도 발생합니다.김*진2025-07-15 오후 4:22:30
[질문]SMPS 회로와 주변 블럭이 이격을 시키라고 하셨는데 어느정도 기준이 되는 거리가 있을까요?e4ds012025.07.15
기준이 되는 거리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거리가 멀수록 방사노이즈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결국은 구현하는 시스템에 맞게 적정하게 하면 됩니다.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SMPS와 회로(특히 아날로그회로)가 너무 가까우면 안된다는 것입니다.[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강정규 070-4699-5321 , news@e4ds.com